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년』의 순문학 번역과 복수(複數)의 내면 형식 = 『少年』の純文學の翻譯と複數の內面形式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9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화기의 모든 문학 형식이 번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 사실이라면, 『소년』은 신소설, 정치서사와 더불어 근대소설의 주요한 기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소년』이 번역한 순문학 작품들의 의미는 본격적으로 탐색되지 못했다. 만약 신소설의 주요한 공헌 중 하나가 소설의 문체와 관련된 종결어미의 확립이라면, 『소년』 역시 그러한 측면에서 근대소설의 기원에 관련된 역동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이 ‘하오체’ 종결어미이다.
      『소년』이 번역한 순문학 작품들에서는 많은 경우 서술자의 종결어미가 ‘~오/ㅅ소’로 끝나고 있는데, 이러한 서술문의 하오체 종결어미는 기존의 소설이나 최남선의 글에서 발견하기 어렵다. 이는 서구의 작품들을 일본어를 통해 중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언문일치체 실험의 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다’와 ‘~ㅆ다’, 그리고 ‘~오/소’의 문체는 서로 경쟁하면서 새로운 근대문학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 가능성들을 시험하고 있었던 것이다.
      『소년』에 직접 관여하고, 여러 편의 글을 남기기도 했던 이광수는 이러한 하오체의 영향을 받아 「헌신자」를 창작하게 된다. 「헌신자」에서 하오체의 사용과 더불어 눈에 띄는 것은 ‘나’로 지칭되는 1인칭 서술자의 출현이다. 이를 통해 하오체의 내면 고백적 성격을 알 수 있으며, 개화기의 다양한 문학 형식이 지닌 역동성을 볼 수 있다.
      번역하기

      개화기의 모든 문학 형식이 번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 사실이라면, 『소년』은 신소설, 정치서사와 더불어 근대소설의 주요한 기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소년』이 ...

      개화기의 모든 문학 형식이 번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 사실이라면, 『소년』은 신소설, 정치서사와 더불어 근대소설의 주요한 기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소년』이 번역한 순문학 작품들의 의미는 본격적으로 탐색되지 못했다. 만약 신소설의 주요한 공헌 중 하나가 소설의 문체와 관련된 종결어미의 확립이라면, 『소년』 역시 그러한 측면에서 근대소설의 기원에 관련된 역동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이 ‘하오체’ 종결어미이다.
      『소년』이 번역한 순문학 작품들에서는 많은 경우 서술자의 종결어미가 ‘~오/ㅅ소’로 끝나고 있는데, 이러한 서술문의 하오체 종결어미는 기존의 소설이나 최남선의 글에서 발견하기 어렵다. 이는 서구의 작품들을 일본어를 통해 중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언문일치체 실험의 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다’와 ‘~ㅆ다’, 그리고 ‘~오/소’의 문체는 서로 경쟁하면서 새로운 근대문학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 가능성들을 시험하고 있었던 것이다.
      『소년』에 직접 관여하고, 여러 편의 글을 남기기도 했던 이광수는 이러한 하오체의 영향을 받아 「헌신자」를 창작하게 된다. 「헌신자」에서 하오체의 사용과 더불어 눈에 띄는 것은 ‘나’로 지칭되는 1인칭 서술자의 출현이다. 이를 통해 하오체의 내면 고백적 성격을 알 수 있으며, 개화기의 다양한 문학 형식이 지닌 역동성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근대소설의 문체
      • 2.『소년』의 순문학 번역과 ‘하오체’
      • 3. 언문일치 운동과 내면 형식
      • 4. 이광수 문학의 두 기원과 고백체 실험
      • 국문초록
      • 1. 서론 : 근대소설의 문체
      • 2.『소년』의 순문학 번역과 ‘하오체’
      • 3. 언문일치 운동과 내면 형식
      • 4. 이광수 문학의 두 기원과 고백체 실험
      • 5. 결론 : 근대소설의 윤리
      • 참고문헌
      • 日文抄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희, "후기 근대 국어의 시제체계 변화에 따른 종결어미의 재편" 국어국문학회 (150) : 29-51, 2008

      2 안영희, "한일근대의 소설문체 -삼인칭과 종결어미-"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29-254, 2007

      3 김윤식,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40-41, 2000

      4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287-, 1975

      5 박진수, "한국.일본의 소설과 ‘언문일치체'" 일본연구소 0 (0): 135-152, 2007

      6 권보드래,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36-247, 2000

      7 최병우, "한국 근대 일인칭 소설연구" 한샘출판사 1995

      8 우정권, "한국 근대 고백소설의 형성과 서사양식" 소명출판 37-, 2004

      9 남기심, "통사론" 태학사 342-, 2001

      10 "최남선 전집" 역락 2005

      1 이승희, "후기 근대 국어의 시제체계 변화에 따른 종결어미의 재편" 국어국문학회 (150) : 29-51, 2008

      2 안영희, "한일근대의 소설문체 -삼인칭과 종결어미-"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29-254, 2007

      3 김윤식,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40-41, 2000

      4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287-, 1975

      5 박진수, "한국.일본의 소설과 ‘언문일치체'" 일본연구소 0 (0): 135-152, 2007

      6 권보드래,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36-247, 2000

      7 최병우, "한국 근대 일인칭 소설연구" 한샘출판사 1995

      8 우정권, "한국 근대 고백소설의 형성과 서사양식" 소명출판 37-, 2004

      9 남기심, "통사론" 태학사 342-, 2001

      10 "최남선 전집" 역락 2005

      11 이경우, "최근세국어 경어법연구" 태학사 103-143, 1998

      12 "청춘"

      13 이지영, "지문의 종결형태를 통해 본 고전소설의 서술방식: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265-291, 2007

      14 이연숙, "일본에서의 언문일치" 역사문제연구소 (70) : 323-345, 2005

      15 박유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65-66, 1997

      16 이재우,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 연구 : 방정환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17 김윤식, "이광수의 일어 창작 및 산문선" 역락 2007

      18 "이광수 전집" 삼중당 1971

      19 Rimmon-Kenan, S, "소설의 현대 시학" 예림기획 1999

      20 C. Booth, Wsyne, "소설의 수사학" 예림기획 198-, 1999

      21 Spiegel, Alan, "소설과 카메라의 눈" 르네상스 2006

      22 "소년"

      23 김병문, "발화기원 소거로서의 언문일치체의 의미에 관하여 ― 이광수의 1910년대 작품의 경우" 한국사회언어학회 16 (16): 81-103, 2008

      24 한기형, "문예공론장의 형성과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64-66, 2008

      25 "대한흥학보"

      26 "대한유학생회학보"

      27 "김동인 전집" 조선일보사 1988

      28 정선태, "근대의 어둠을 응시하는 고양이의 시선" 소명출판 48-52, 2006

      29 한기형, "근대어․근대매체․근대문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30 김현정,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양상과 언문일치" 어문연구학회 60 : 221-239, 2009

      31 고영근, "국어형태론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55-, 1999

      32 이기문, "국어사 개설" 민중서관 214-, 1972

      33 李姸淑, "국어라는 사상" 소명출판 2006

      34 고영근, "국어경어법연구" 집문당 461-465, 1984

      35 한길, "국어 종결어미 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205-208, 1991

      36 박갑수, "고전문학의 문체와 표현" 집문당 2005

      37 Swift, J, "걸리버 여행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38 權寧珉, "開化期 小說의 文體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4

      39 임화, "新文學史" 한길사 148-158, 1993

      40 권두연, "『소년』, 문체 실험의 장" 민족문학사학회 (36) : 112-146, 2008

      41 이주나, "『소년(少年)』지(誌)의 문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13 : 223-262, 2007

      42 波田野節子, "『무정』을 읽는다" 소명출판 109-110, 2008

      43 손유경,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의 개인과 인류" 한국현대소설학회 (46) : 251-28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