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치료를 통한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8207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5156 판사항(6)

      • DDC

        615.8515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v, 129 p.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선남
        권말부록: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
        참고문헌: p. 120-12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학업중단위기학생들을 상담하면서 겪는 경험을 집단 미술치료와 해석학적 탐구를 통하여 상담자들이 생각하는 상담에 대한 정의, 동기, 내담자들의 모습, 소진과 대처방법, 상담경험의 변화와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1년 이상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을 지속하고 있는 7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2014년 3월 29일부터 3월 30일까지 2일간 마라톤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집단의 역동성과 미술작품을 이용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 질문과 추후 면접을 실시하였다. 마라톤 집단미술치료 전 과정을 녹음하고 녹취한 내용을 해석학적 탐구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은 상담을 내담자들이 자신의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자신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펼치며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현재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주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적극적인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숙련된 학생상담자원봉사자로 자연스럽게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나눔을 실천하고, 도움을 주기 위한 마음이 동기가 되었다. 둘째,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에 참여하는 내담자들은 거짓말, 약속 불이행, 낮은 도덕성, 어른들에게 화남, 자유롭지 않음, 무기력하며 우울해 하는 모습들이 있었다. 이러한 모습에 대해 상담자들은 안타깝고 답답하며, 인내심의 한계와 갈등을 느끼기도 했으며, 동시에 도와주고 해결해주고 싶어 하는 마음도 있었다. 셋째,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은 자신의 몸 상태가 좋지 않거나 상담이 많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등 자기효능감이 낮아질 때, 내담자들이 약속시간을 지키지 않거나, 부모님이 제 역할을 하지 않을 때, 행정적으로 소통이 잘 되지 않을 때 소진을 경험하였다. 상담자들은 동료 상담자 또는 가족들의 지지를 받고, 스스로 가치를 발견하며, 자신만의 전환법, 예를 들면 운동, 여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를 받음으로써 대처하고 있었다. 넷째, 상담자들은 상담경험에 있어 처음의 학교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조급함에서 좀 더 여유를 가지게 되었고, 자신의 역전이, 미해결과제 등을 알아차리고, 현재 상황에 대해 더욱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점검하는 가운데 상담자 역시 성장하고 있었으며, 상담을 하고 있는 자기 자신의 소중함과 건강, 상담하며 보람을 느끼는 등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의 선입견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자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학생상담자원봉사자로 시작하여 전문성에 있어서 부족한 면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내담자들에 대한 열정과 끈끈한 팀워크, 알아차림과 전문성 향상에의 노력들이 학업중단숙려제에 맞는 상담자가 되어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은 상담장소의 부족, 안전사고 시 보호체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불충분한 지원, 부족한 내부 행정인력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상담과정에서 잘 챙겨주고 싶은 마음이 이중관계로 작용하여 상담을 방해하고 소진을 높이지 않을까 염려되는 면이 있었지만, 내담자들에게 따뜻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지나친 경계는 상담을 오히려 부자연스럽게 만들어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심층면접에서 야기된 작품과 집단 역동을 통한 심층면접에서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의 생생한 삶의 경험을 언어보다 더 진실되고 풍부하게 전해들을 수 있었으며, 그림이 전해주는 직접적인 시각적 효과로 인해 집단 역동이 촉진될 수 있다는 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학업중단위기학생들을 상담하면서 겪는 경험을 집단 미술치료와 해석학적 탐구를 통하여 상담자들이 생각하는 상담에 대한 정의, 동기, 내담자들의 ...

      본 연구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학업중단위기학생들을 상담하면서 겪는 경험을 집단 미술치료와 해석학적 탐구를 통하여 상담자들이 생각하는 상담에 대한 정의, 동기, 내담자들의 모습, 소진과 대처방법, 상담경험의 변화와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1년 이상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을 지속하고 있는 7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2014년 3월 29일부터 3월 30일까지 2일간 마라톤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집단의 역동성과 미술작품을 이용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 질문과 추후 면접을 실시하였다. 마라톤 집단미술치료 전 과정을 녹음하고 녹취한 내용을 해석학적 탐구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은 상담을 내담자들이 자신의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자신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펼치며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현재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주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적극적인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숙련된 학생상담자원봉사자로 자연스럽게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나눔을 실천하고, 도움을 주기 위한 마음이 동기가 되었다. 둘째,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에 참여하는 내담자들은 거짓말, 약속 불이행, 낮은 도덕성, 어른들에게 화남, 자유롭지 않음, 무기력하며 우울해 하는 모습들이 있었다. 이러한 모습에 대해 상담자들은 안타깝고 답답하며, 인내심의 한계와 갈등을 느끼기도 했으며, 동시에 도와주고 해결해주고 싶어 하는 마음도 있었다. 셋째,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은 자신의 몸 상태가 좋지 않거나 상담이 많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등 자기효능감이 낮아질 때, 내담자들이 약속시간을 지키지 않거나, 부모님이 제 역할을 하지 않을 때, 행정적으로 소통이 잘 되지 않을 때 소진을 경험하였다. 상담자들은 동료 상담자 또는 가족들의 지지를 받고, 스스로 가치를 발견하며, 자신만의 전환법, 예를 들면 운동, 여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를 받음으로써 대처하고 있었다. 넷째, 상담자들은 상담경험에 있어 처음의 학교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조급함에서 좀 더 여유를 가지게 되었고, 자신의 역전이, 미해결과제 등을 알아차리고, 현재 상황에 대해 더욱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점검하는 가운데 상담자 역시 성장하고 있었으며, 상담을 하고 있는 자기 자신의 소중함과 건강, 상담하며 보람을 느끼는 등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의 선입견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자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학생상담자원봉사자로 시작하여 전문성에 있어서 부족한 면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내담자들에 대한 열정과 끈끈한 팀워크, 알아차림과 전문성 향상에의 노력들이 학업중단숙려제에 맞는 상담자가 되어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은 상담장소의 부족, 안전사고 시 보호체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불충분한 지원, 부족한 내부 행정인력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상담과정에서 잘 챙겨주고 싶은 마음이 이중관계로 작용하여 상담을 방해하고 소진을 높이지 않을까 염려되는 면이 있었지만, 내담자들에게 따뜻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지나친 경계는 상담을 오히려 부자연스럽게 만들어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유연성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심층면접에서 야기된 작품과 집단 역동을 통한 심층면접에서는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의 생생한 삶의 경험을 언어보다 더 진실되고 풍부하게 전해들을 수 있었으며, 그림이 전해주는 직접적인 시각적 효과로 인해 집단 역동이 촉진될 수 있다는 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with students at high risk were explored through art therapy and hermeneutic inquiry. The items such as the counselor's definition of counseling, motivation, the clients, burnout and the way to respond to it, change in counselling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life were inquired.
      7 counselors whose counselling experience was one year or above received an intensive group art therapy from March 29, 2014 to March 30, 2014. They were given intensive group art therapy including an in-depth interview using the dynamics of the group and artwork. Additional questions and interviews, if necessary, were given. The whole group art therapy was recorded. The recorded content was analyzed using hermeneutic inqui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defined counselling as accepting students as they are, so the students could find their potentials or work on their possibility. Also, counseling was an active process leading students to a positive direction. Counselors who were skilled volunteer counselors for students naturally started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counseling, which was motivated by their wish to help others.
      Secon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lies, breaking a promise, low morality, being angry with adults, not having freedom, lethargy, and depressed behavior. The counselors felt sorry for the students showing these attitudes and wanted to help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At the same time, the counsellor felt angry with their attitudes.
      Third, the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felt burnout when they experienced low self-efficacy; specifically when they were not feeling good or felt counseling a burden. They also felt burnout when the clients didn't make counseling appointments or when their parents were not doing their job or when they felt that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was not smooth. The counselors received support from fellow counselors or family members. They responded to burnout by doing exercise, having leisure time, finding their own value, or taking a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Fourth, the counselors did not rush the students back to school; rather they seemed more composed and sensitive to their countertransference or unresolved tasks. They became grateful for the current situations. In addition, they matured as they reflected on their values and beliefs. They could feel the importance of themselves as a counselor, found the counseling rewarding, and were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is study brought a change in the prejudice the researcher had.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were less professional because they started counseling as a voluntary counselor for students. However, their efforts to be more professional, passion for the clients, good teamwork, and noticing suggest that they were changing into a better counselor that suits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The counselors had difficulty due to the problems such as a lack of proper counseling place, safety system against accidents, lack of support to improve professional ability, and lack of staff workers.
      There was a concern that counselors' high regard for the clients could interfere in counseling and result in burnout. On the other hand, the clients could feel warmth or stability from the counselor's high regard for them. Excessive guarding could make counseling unnatural, reducing the effects of counseling.
      The works cre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the in-depth interview through group dynamics showed what counselors at the school burnout delay program experienced more vividly than verbal speech.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effects of art therapy that the direct visual effects of drawings could cause group dynamic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with students at high risk were explored through art therapy and hermeneutic inquiry. The items such as the counselor's definition of counseling, motivation, the clien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with students at high risk were explored through art therapy and hermeneutic inquiry. The items such as the counselor's definition of counseling, motivation, the clients, burnout and the way to respond to it, change in counselling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life were inquired.
      7 counselors whose counselling experience was one year or above received an intensive group art therapy from March 29, 2014 to March 30, 2014. They were given intensive group art therapy including an in-depth interview using the dynamics of the group and artwork. Additional questions and interviews, if necessary, were given. The whole group art therapy was recorded. The recorded content was analyzed using hermeneutic inqui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defined counselling as accepting students as they are, so the students could find their potentials or work on their possibility. Also, counseling was an active process leading students to a positive direction. Counselors who were skilled volunteer counselors for students naturally started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counseling, which was motivated by their wish to help others.
      Secon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lies, breaking a promise, low morality, being angry with adults, not having freedom, lethargy, and depressed behavior. The counselors felt sorry for the students showing these attitudes and wanted to help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At the same time, the counsellor felt angry with their attitudes.
      Third, the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felt burnout when they experienced low self-efficacy; specifically when they were not feeling good or felt counseling a burden. They also felt burnout when the clients didn't make counseling appointments or when their parents were not doing their job or when they felt that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was not smooth. The counselors received support from fellow counselors or family members. They responded to burnout by doing exercise, having leisure time, finding their own value, or taking a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Fourth, the counselors did not rush the students back to school; rather they seemed more composed and sensitive to their countertransference or unresolved tasks. They became grateful for the current situations. In addition, they matured as they reflected on their values and beliefs. They could feel the importance of themselves as a counselor, found the counseling rewarding, and were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is study brought a change in the prejudice the researcher had.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 counselors at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were less professional because they started counseling as a voluntary counselor for students. However, their efforts to be more professional, passion for the clients, good teamwork, and noticing suggest that they were changing into a better counselor that suits the school dropout delay program. The counselors had difficulty due to the problems such as a lack of proper counseling place, safety system against accidents, lack of support to improve professional ability, and lack of staff workers.
      There was a concern that counselors' high regard for the clients could interfere in counseling and result in burnout. On the other hand, the clients could feel warmth or stability from the counselor's high regard for them. Excessive guarding could make counseling unnatural, reducing the effects of counseling.
      The works cre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the in-depth interview through group dynamics showed what counselors at the school burnout delay program experienced more vividly than verbal speech.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effects of art therapy that the direct visual effects of drawings could cause group dynam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자의 선입관 6
      • 3. 연구문제 10
      • 4. 용어의 정의 11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자의 선입관 6
      • 3. 연구문제 10
      • 4. 용어의 정의 11
      • Ⅱ. 연구방법 13
      • 1. 해석학적 탐구 13
      • 2. 해석학적탐구의 연구절차 17
      • 1) 연구문제 설정 17
      • 2) 자료수집 18
      • 3) 자료분석 및 텍스트 작성 18
      • 4) 연구결과 및 보고서 정리 20
      • 3. 연구참여자 21
      • 4. 연구절차 22
      • Ⅲ.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 경험의 이해 27
      • 1.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생각하는 상담의 정의와
      • 시작하게 된 동기 29
      • 2.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만난 내담자들의 모습과
      • 상담자로서의 자신의 모습 40
      • 3.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이 느끼는 소진과 대처방법 56
      • 4.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의 상담경험 변화 및 삶의 의미 83
      • Ⅳ. 연구자 인식의 변화 104
      • 1.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는 전문가인가? 104
      • 2.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는 스스로를 전문가로 인식하고 있는가? 106
      • 3.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들의 자기계발 노력은 충분한가? 109
      • 4. 기관은 학업중단숙려제 상담자를 지원하고 보호하고 있는가? 111
      • Ⅴ. 논의 및 결론 114
      • 참 고 문 헌 120
      • 영 문 초 록 126
      • 부 록
      • [부록 1]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 1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