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기술연관분석을 활용한 기술융합구조 분석: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사례 = Analysis of Technology Convergence Structure Using technology Input-output Analysis: Case of Convergence R&D Development Project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00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술연관분석으로 단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제에 투입된 기술간 융합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술연관분석은 산업구조분석의 체계를 기술기획 분야에 적용한 것이다. 본 사례...

      본 연구는 기술연관분석으로 단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제에 투입된 기술간 융합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술연관분석은 산업구조분석의 체계를 기술기획 분야에 적용한 것이다. 본 사례는 기술연관분석을 활용하여 기술과 제품 간 연관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 '12년 중소기업 융 복합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한 401개 과제이다.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401개 개별과제에 대해서 투입된 기술은 기술로, 개발과제에서 산출을 제품으로 정의하고 이를 투입과 산출의 행렬로 정리하였다. 투입으로 정의한 기술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상의 소분류를 분류하고, 산출로 정의한 제품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상의 세세분류로 정의하였다. 즉, 기술을 투입으로, 제품을 산출로 정의하여 기술의 파급도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기술연관도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IT융합에서는 임베디드 S/W의 기술파급도가 가장 높았으며, ET융합에서는 금형의 기술파급도가 가장 높았고 BT융합은 기능성 화장품 개발기술의 기술파급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IT융합에서 기술파급도가 높은 요소기술이 많았으며, ET융합에서 기술파급도가 높은 요소기술이 작았다. 따라서 기술파급도가 높은 요소기술에 대한 투자가 융합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하며 전체적으로 IT분야가 요소기술의 투자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onvergence status among input technologies used in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echnology I-O analysis. It was another version of industry input-output analysis which is used in technology planning. This case is an analysis of ass...

      This study analyzed convergence status among input technologies used in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echnology I-O analysis. It was another version of industry input-output analysis which is used in technology planning. This case is an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technology an product.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401 tasks that applied to '2012 Convergen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promoted by Korea Technology &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process of analysis is as followed. First step, we made a matrix table as an input of technology input-output analysis. Input was defined by technology and output was defined by the product. Input technology was defined in a 3-digit code under National Science Technology Classification and output products were defined in a 5-digit under National Standard Industry Code. Second, the Spillover ratio among technologies were calculated and was used to make a picture of technology linkage. As a result of analysis, technology spillover of embedded S/W was the highest in IT convergence, mold product in ET convergence, and functional cosmetics development technology in BT convergence. In general, IT convergence had many element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spillover, and ET had a small number of element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spillover. Therefore, investment effect of element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large if investment on element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spillover is important for vitalizing converg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수, "한국 제조업 지식네트워크 구조변화의 특성" 6 (6): 71-98, 1998

      2 김지은, "특허정보를 활용한 산업융합성 평가 방법론 : 기술연관분석" 대한산업공학회 39 (39): 212-221, 2013

      3 윤장혁, "특허정보를 이용한 기술융합의 학제적 동향 분석: 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의 사례" 엘지씨엔에스 10 (10): 21-31, 2011

      4 유선희, "특허인용분석을 통한 기술분야의 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1 (31): 1-11, 2006

      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산업의 융합 유형별 사례 및 전망"

      6 최희운, "첨단기반기술의 기술연관 분석 및 사전조사 연구" 과학기술처 1988

      7 지식경제부, "중소기업 지식ㆍ기술 융합 촉진에 관한 법률(안)"

      8 유태수, "정보통신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술연관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996

      9 엄융의, "우리나라 융합연구 패러다임의 정립에 관한 정책연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0

      10 지식경제부, "산업융합촉진법"

      1 김문수, "한국 제조업 지식네트워크 구조변화의 특성" 6 (6): 71-98, 1998

      2 김지은, "특허정보를 활용한 산업융합성 평가 방법론 : 기술연관분석" 대한산업공학회 39 (39): 212-221, 2013

      3 윤장혁, "특허정보를 이용한 기술융합의 학제적 동향 분석: 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의 사례" 엘지씨엔에스 10 (10): 21-31, 2011

      4 유선희, "특허인용분석을 통한 기술분야의 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1 (31): 1-11, 2006

      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산업의 융합 유형별 사례 및 전망"

      6 최희운, "첨단기반기술의 기술연관 분석 및 사전조사 연구" 과학기술처 1988

      7 지식경제부, "중소기업 지식ㆍ기술 융합 촉진에 관한 법률(안)"

      8 유태수, "정보통신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술연관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996

      9 엄융의, "우리나라 융합연구 패러다임의 정립에 관한 정책연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0

      10 지식경제부, "산업융합촉진법"

      11 김덕현, "산업간 융합 패러다임과 기업의 활용 전략" (62) : 58-80, 2010

      12 박준형, "기업 간 특허인용 관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MR-QAP분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 (19): 21-37, 2013

      13 최진호, "기술예측을 위한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7 (17): 227-240, 2011

      14 고병열, "기술연관분석을 통한 중소기업형 전략적 기술개발과제의 우선순위 도출" 한국기술혁신학회 6 (6): 373-390, 2003

      15 오경준, "기술연관분석을 이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정보 도출: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사업적용을 중심으로" 3 (3): 67-84, 2000

      16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안)"

      17 교육과학기술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08년 재편)범부처 활용체계 구축"

      18 Scherer. F.M, "Using Linked Patent and R&D Data to Measure Interindustry Technology Flows" Griliches 417-461, 1984

      19 Rosenberg, Nathan, "Technolog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23 (23): 414-443, 1996

      20 UNESCO, "Method for Priority Determin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21 Schmookler, J, "Invention and Economic Growth"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22 Kidama F, "Emerging Patterns of Innovation: Source of Japan's Technological 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23 박병무, "97건설기술 연구개발사업 사전기획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