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生化學的 測定方法에 依한 우리나라 女大生들의 Riboflavin 營養狀態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riboflavin nutritional status by biochemical test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4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 食品營養學科 , 1984

      • 발행연도

        198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94.1 판사항(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54p.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riboflavin(RF)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 거주 여대생 48명 (정상식이를 하는 숙명여대 재학생 31명과 lacto-ovo vegetarian 인 삼육대 재학생 17명)을 대상으로 1984년 5월부터 7월사이에 식이섭취조사, 임상검사 및 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과 신장, 체중은 각각 20.48세, 159.16cm, 51.14kg이었으며 두 집단간에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채식을 하는 삼육대생들의 신장과 체중이 약간 낮았다. 전 대상자에게서 구각염, 설염등의 비타민B₂결핍증상은 임상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2. 전 대상자의 1일 1인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1547.46kcal, 단백질 63.54g, RF 1.43mg, 1000kcal당 RF 섭취량은 0.96 mg 이었다. 숙명여대생들의 1일 1인 평균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1682.75kcal, 단백질 70.03g, RF 1.40 mg, RF(mg/1000 kcal)0.85mg이었으며 삼육대생들의 1일 1인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1300.75kcal, 단백질 51.72g, RF 1.47mg, RF(mg/l000 kcal) 1.16mg 이었다.
      채식을 하는 삼육대생들이 정상식이를 하는 숙명여대생들에 비하여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RF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RF( mg/1000kcal)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3. 전 대상자에게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을때 평균 EGRAC는 1.24 이었고 EGRAC가 1.2이상으로 결핍으로 판정된 대상자는 48명 중 31명(64.58%)이었다. 숙명여대생들의 평균 EGRAC는 1.19이었고 대상자 31명중 17명(55 %)이 결핍으로 판정되었으며, 삼육대생들은 평균 EGRAC가 1.32로 17명 중 14명(82%)이 결핍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삼육대생들의 RF 결핍이 더 심한 것으로 보이나 두 집단간에 평균 EGRAC 측정치는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1차 생화학적 검사에 의하여 RF 결핍이 판정된 대상자 31명 중 22명을 대상으로 1일 5mg의 RF을 1주일간 복용시킨 후 다시 EGRAC를 측정하였을때 전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5. 전 대상자의 1일 1인 평균 영양소 섭취량과 EGRAC 와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조사하였을때 큰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식이 중 RF이 권장량에 비하여 충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RF 결핍을 가진 대상자가 전체의 64.58 %를 차지하고 있었다. 결핍으로 판정된 대상자들은 RF의 투여로 정상으로 회복된 것을 보아 RF의 생화학적 기능에 손상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의 권장량 수준을 재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겠다.
      여러 식이섭취 조사들로 부터 여대생들보다 RF섭취 수준이 낮고 구각염, 설염 등 RF 결핍 증상이 관찰된 집단에 대한 정확한 영양상태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riboflavin(RF)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 거주 여대생 48명 (정상식이를 하는 숙명여대 재학생 31명과 lacto-ovo vegetarian 인 삼육대 재학생 17명)을 대상으로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riboflavin(RF)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 거주 여대생 48명 (정상식이를 하는 숙명여대 재학생 31명과 lacto-ovo vegetarian 인 삼육대 재학생 17명)을 대상으로 1984년 5월부터 7월사이에 식이섭취조사, 임상검사 및 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과 신장, 체중은 각각 20.48세, 159.16cm, 51.14kg이었으며 두 집단간에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채식을 하는 삼육대생들의 신장과 체중이 약간 낮았다. 전 대상자에게서 구각염, 설염등의 비타민B₂결핍증상은 임상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2. 전 대상자의 1일 1인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1547.46kcal, 단백질 63.54g, RF 1.43mg, 1000kcal당 RF 섭취량은 0.96 mg 이었다. 숙명여대생들의 1일 1인 평균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1682.75kcal, 단백질 70.03g, RF 1.40 mg, RF(mg/1000 kcal)0.85mg이었으며 삼육대생들의 1일 1인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1300.75kcal, 단백질 51.72g, RF 1.47mg, RF(mg/l000 kcal) 1.16mg 이었다.
      채식을 하는 삼육대생들이 정상식이를 하는 숙명여대생들에 비하여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RF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RF( mg/1000kcal)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3. 전 대상자에게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을때 평균 EGRAC는 1.24 이었고 EGRAC가 1.2이상으로 결핍으로 판정된 대상자는 48명 중 31명(64.58%)이었다. 숙명여대생들의 평균 EGRAC는 1.19이었고 대상자 31명중 17명(55 %)이 결핍으로 판정되었으며, 삼육대생들은 평균 EGRAC가 1.32로 17명 중 14명(82%)이 결핍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삼육대생들의 RF 결핍이 더 심한 것으로 보이나 두 집단간에 평균 EGRAC 측정치는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1차 생화학적 검사에 의하여 RF 결핍이 판정된 대상자 31명 중 22명을 대상으로 1일 5mg의 RF을 1주일간 복용시킨 후 다시 EGRAC를 측정하였을때 전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5. 전 대상자의 1일 1인 평균 영양소 섭취량과 EGRAC 와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조사하였을때 큰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식이 중 RF이 권장량에 비하여 충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RF 결핍을 가진 대상자가 전체의 64.58 %를 차지하고 있었다. 결핍으로 판정된 대상자들은 RF의 투여로 정상으로 회복된 것을 보아 RF의 생화학적 기능에 손상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의 권장량 수준을 재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겠다.
      여러 식이섭취 조사들로 부터 여대생들보다 RF섭취 수준이 낮고 구각염, 설염 등 RF 결핍 증상이 관찰된 집단에 대한 정확한 영양상태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boflavin(RF)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 dietary survey by 3-day food record, clinical diagnosis and biochemical test by Erythrocyte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Coefficient(EGRAC) were conducted on 48 students living in Seoul : 31 students were on normal diet and 17 students were lacto-ovo vegetarians.
      The resus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1. Mean 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20.48 ± 0.32 years old, 159.16 ±0.71cm and 51.14±0.78k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but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had lower values in their mean height and weight than omnivorous students.
      2. Mean nutrient intakes of the students were 1547.46± to 38.99 kcal in calorie, 63.54±1.90g in protein. Mean RF intakes were 1.43 ±0.04mg per day, and 0.96±0.03mg per 1000 kcal.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lacto-ovo vegetarian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tudents on normal diet but daily RF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and daily RF(mg) per 1000kcal was higher in lacto-ovo vegetarian students(P<0.05). In both groups, RF intakes either in mg per day or in mg per 1000kcal per day were higher than Korean RDA levers.
      3. Mean EGRAC value of total subjects was 1.24±0.24 and the number of subjects having EGRAC values higher than 1.2 and therefore concluded to be deficient in RF status was 31 out of 48(64.58%). Mean EGRAC value of the omnivorous students was 1.19±0.23 and the number of students concluded to deficient was 17 out of 31(55%); those of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were 1.32 ±0.23 and 14 out of 17(82%). Therefore,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seemed to be more deficient in RF, but mean EGRAC values of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4. Among the 31 subjects who had EGRAC values higher than 1.2 and thus concluded to be deficient in RF, 22 subjects were given 5mg/day of RF for one week and tested again for EGRAC. All subjects returned to normal after 1 week with their EGRAC ≤1.2.
      5. When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an daily nutrient intakes and EGRAC values.
      From these results, although subjects were sufficient in their dietary RF intakes compared to RDA, the prevalence RF deficiency among the subjects was estimated to be 64.58%. All the subjects who had EGRAC values hibher than 1.2 and given RF supplementation of 5mg per day returned to normal after 1 week, showing that they had some lesions in biochemical function with regard to RF. Therefore, presnet study as in other previous reports suggests that present RDA level should be reexamined. The RF intakes (mg/day) of students on normal diet was similar to those of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but the former group showed more severe deficiency in biochemical test, so dietary composition seemed to affect RF metabolism. More research is required on this subject. Many previous dietary surveys in Korea showed that many groups have RF intakes lowerthan RDA levels and showed clinical symtoms of RF deficiency such as glossitis, cheilosis. These groups may have severe biochemical lesions and more thorough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in these groups should be concuc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boflavin(RF)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 dietary survey by 3-day food record, clinical diagnosis and biochemical test by Erythrocyte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Coeff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boflavin(RF)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 dietary survey by 3-day food record, clinical diagnosis and biochemical test by Erythrocyte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Coefficient(EGRAC) were conducted on 48 students living in Seoul : 31 students were on normal diet and 17 students were lacto-ovo vegetarians.
      The resus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1. Mean 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20.48 ± 0.32 years old, 159.16 ±0.71cm and 51.14±0.78k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but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had lower values in their mean height and weight than omnivorous students.
      2. Mean nutrient intakes of the students were 1547.46± to 38.99 kcal in calorie, 63.54±1.90g in protein. Mean RF intakes were 1.43 ±0.04mg per day, and 0.96±0.03mg per 1000 kcal.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lacto-ovo vegetarian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tudents on normal diet but daily RF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and daily RF(mg) per 1000kcal was higher in lacto-ovo vegetarian students(P<0.05). In both groups, RF intakes either in mg per day or in mg per 1000kcal per day were higher than Korean RDA levers.
      3. Mean EGRAC value of total subjects was 1.24±0.24 and the number of subjects having EGRAC values higher than 1.2 and therefore concluded to be deficient in RF status was 31 out of 48(64.58%). Mean EGRAC value of the omnivorous students was 1.19±0.23 and the number of students concluded to deficient was 17 out of 31(55%); those of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were 1.32 ±0.23 and 14 out of 17(82%). Therefore,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seemed to be more deficient in RF, but mean EGRAC values of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4. Among the 31 subjects who had EGRAC values higher than 1.2 and thus concluded to be deficient in RF, 22 subjects were given 5mg/day of RF for one week and tested again for EGRAC. All subjects returned to normal after 1 week with their EGRAC ≤1.2.
      5. When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an daily nutrient intakes and EGRAC values.
      From these results, although subjects were sufficient in their dietary RF intakes compared to RDA, the prevalence RF deficiency among the subjects was estimated to be 64.58%. All the subjects who had EGRAC values hibher than 1.2 and given RF supplementation of 5mg per day returned to normal after 1 week, showing that they had some lesions in biochemical function with regard to RF. Therefore, presnet study as in other previous reports suggests that present RDA level should be reexamined. The RF intakes (mg/day) of students on normal diet was similar to those of lacto-ovo vegetarian students but the former group showed more severe deficiency in biochemical test, so dietary composition seemed to affect RF metabolism. More research is required on this subject. Many previous dietary surveys in Korea showed that many groups have RF intakes lowerthan RDA levels and showed clinical symtoms of RF deficiency such as glossitis, cheilosis. These groups may have severe biochemical lesions and more thorough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in these groups should be concuc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요약 = vi
      • I. 서론 = 1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7
      • 1. 조사대상 및 기간 = 7
      • 목차
      • 요약 = vi
      • I. 서론 = 1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7
      • 1. 조사대상 및 기간 = 7
      • 2. 연구내용 = 7
      • 1) 임상검사 = 7
      • 2) 식이 섭취조사 = 7
      • 3) 생화학적 검사 = 7
      • 3. Erythrocyte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Coefficient(EGRAC)의 측정방법 = 8
      • 1) 원리 = 8
      • 2) 시약 및 기구 = 10
      • 3) 혈액채취 및 시료 준비 = 11
      • 4) 방법 = 12
      • 4. Riboflavin 투여 = 13
      • 5. 통계분석 = 14
      • III. 실험 결과 = 15
      • 1. 임상검사 = 15
      • 2. 식이섭취조사 = 15
      • 3. 생화학적 검사 = 20
      • 4. Riboflavin 투여 = 24
      • 5. 식이섭취조사와 생화학적검사 결과들의 비교 = 26
      • IV. 고찰 = 32
      • V. 결론 = 42
      • VI. 참고문헌 = 44
      • ABSTRACT =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