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수업 운영 경험과 위드코로나 수업 방향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Class Operation in COVID-19 and Perception of Class Direction in With COVID-19 Era: Focusing on the Standard Frame of Class Experti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7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전문성 기준틀을 중심으로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및 블렌디드 러닝 수업 경험을 탐색하고, 위드코로나 시대를 위한 수업 방향성에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전문성 기준틀을 중심으로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및 블렌디드 러닝 수업 경험을 탐색하고, 위드코로나 시대를 위한 수업 방향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 2021학년도초등학교에서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 26명이다. COVID-19 상황에서의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26명 중 6명을 대상으로 설문 문항에 대한 구체적 질문과 향후 초등학교 수업의 방향성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상황에서 교사들은 모두 초임교사로 돌아간 느낌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전문적 지식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너무나 친숙했던 교실 환경과 수업 방식들이 낯설게만 느껴지게 되었고 교사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및 블렌디드 러닝 수업 전문성에 대하여 더욱더 큰 책임감을 떠안게 되어, 교사들은 내부적·대외적으로 노력하며 발전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의 교육 여건을 정상화하기 위한 ‘위드코로나’ 교육 정책의 방향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함께 공생하는 수업을 구상함으로써 새로운 기회의 가능성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사와 학생이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계속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blended learning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ing on the standard frame of class expertise, and to investigate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blended learning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ing on the standard frame of class expertise,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for the “With Corona” era.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s in 2020 and 2021.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of class oper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and 6 out of 26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specific questions about the questionnaire and identifying what direction th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future elementary classes should maintain from the present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VID-19 situation, all teachers felt like they were returning to the beginning teachers, and they tried to respond to the new professional knowledge required by the times. In additio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that were so familiar came to feel unfamiliar, and teachers took on more and more responsibility for the professionalism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blended learning classes. Overall,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held common perceptions about the direction of the “With Corona” educational policy which sought to normalize education conditions in schools, but teachers also recognized the potential of the new opportunities afforded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envisioning a class in which offline and online classes could coexist.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continue to consider how to effectively support teachers and students to engag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post-COVID-19 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