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 카이유와가 모든 종교에는 성과 속의 요소가 공존한다고 말했던것처럼, 인간의 문화 삶에는 항상 그런 대극적인 요소가 상존해왔다. 엘리엇의 작품에도 그러한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80248
김성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Korean
T. S. 엘리엇 ; 성 ; 속 ; 대립적요소 ; 종교 ; 『황무지』 ; 「프루프록의 연가」 ; T. S. Eliot ; The Sacred ; The Secular ; Opposite elements ; Religion ; The Waste Land ;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KCI등재
학술저널
61-82(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로제 카이유와가 모든 종교에는 성과 속의 요소가 공존한다고 말했던것처럼, 인간의 문화 삶에는 항상 그런 대극적인 요소가 상존해왔다. 엘리엇의 작품에도 그러한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
로제 카이유와가 모든 종교에는 성과 속의 요소가 공존한다고 말했던것처럼, 인간의 문화 삶에는 항상 그런 대극적인 요소가 상존해왔다. 엘리엇의 작품에도 그러한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요소는 매우 흥미롭게 뒤섞여 나타난다. 엘리엇의 변동이 심했던 종교적인 배경은 별개로, 엘리엇은자신이전의 고전문학의 유산을 충실하게 흡수했던 작가였다. 물론, 그 전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고전으로부터 그가 받았던 영향을 고려한다면, 엘리엇은 고전을 호위하고 유지하려는 작가로읽힐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모더니즘을 형성하는 매우 혁신적인 인물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작품속에는 매우 상반된 요소들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 그의 작품속에는 매우 종교적이고, 철학적이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황무지』와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같은 그의 작품속에는당대를 비롯 다양한 대중적인 요소들이 함께 공존한다. 다시 말해, 가장 성스럽게 다루어지는 성경과 같은 텍스트가 도시의 뒷골목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저속한 요소들과 병치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스러운 요소와 세속적인 요소의 공존에 대한 인식은 엘리엇 작품의 이해뿐만 아니라, 엘리엇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해석의 관점도 함께 제시해 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라르, 르네,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3
2 프로이트, 지그문트, "토템과 타부" 문예마당 1995
3 박정환, "엘리엇 시: 현대문명과 종교" 한국문학과종교학회 7 (7): 1-25, 2002
4 최영승, "엘리엇 문학의 대중문화적 요소: 『투사 스위니』를 중심으로" 한국T.S.엘리엇학회 18 (18): 131-156, 2008
5 니체, 프리드리히, "선악을 넘어서" 청하 1982
6 Crawford, Robert, "Young Eliot: From St. Louis to The Waste Land" Farrar, Straus and Giroux 2015
7 Gish, Nancy K., "Time in the Poetry of T. S. Eliot: A Study in Structure and Theme" Barnes & Noble Books 1981
8 Moody, A. D., "Thomas Stearns Eliot: Poet" Cambridge UP 1980
9 Crawford, Robert, "The Savage and the City in the Work of T. S. Eliot" Clarendon Press 1987
10 Eliot, T. S., "The Letters of T. S. Eliot: Volume I 1898-1922" HBJ Book 1988
1 지라르, 르네,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3
2 프로이트, 지그문트, "토템과 타부" 문예마당 1995
3 박정환, "엘리엇 시: 현대문명과 종교" 한국문학과종교학회 7 (7): 1-25, 2002
4 최영승, "엘리엇 문학의 대중문화적 요소: 『투사 스위니』를 중심으로" 한국T.S.엘리엇학회 18 (18): 131-156, 2008
5 니체, 프리드리히, "선악을 넘어서" 청하 1982
6 Crawford, Robert, "Young Eliot: From St. Louis to The Waste Land" Farrar, Straus and Giroux 2015
7 Gish, Nancy K., "Time in the Poetry of T. S. Eliot: A Study in Structure and Theme" Barnes & Noble Books 1981
8 Moody, A. D., "Thomas Stearns Eliot: Poet" Cambridge UP 1980
9 Crawford, Robert, "The Savage and the City in the Work of T. S. Eliot" Clarendon Press 1987
10 Eliot, T. S., "The Letters of T. S. Eliot: Volume I 1898-1922" HBJ Book 1988
11 Eliot, T. S., "The Complete Poems and Plays of T. S. Eliot" Faber and Faber 1969
12 최종수, "T. S. 엘리엇의 성과 속에 대한 집념" 11 (11): 59-70, 2001
13 Jaidka, Manju, "T. S. Eliot’s Use of Popular Sources" The Edwin Mellen Press 1997
14 애크로이드, 피터, "T. S. Eliot: 영혼의 순례자" 책세상 1999
15 Pinion, F. B., "T. S. Eliot Companion" The Macmillan Press Limited 1986
16 Agamben, Giorgio, "Stanzas: Word and Phantasm in Western Culture" U of Minnesota P 1993
17 Eliot, T. S., "Poems Written in Early Youth" Farrar, Straus Giroux 1967
18 Spears, Monroe K., "Dionysus and the City : Modernism in Twentieth- Century Poetry" Oxford UP 1970
「드라이 샐베이지즈」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Paradigms of Consciousness in T. S. Eliot’sThe Waste Land and The Cocktail Par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2 | 0.12 | 0.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1 | 0.36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