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진을 활용한 유아교육연구방법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3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유아교육연구는 그 주제나 연구방법 면에서 다원화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더불어 질적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새로운 연구방법이라고 ...

      최근 들어, 유아교육연구는 그 주제나 연구방법 면에서 다원화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더불어 질적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새로운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 사진을 활용한 연구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사진을 보충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의미로, 그리고 주요 분석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진의 상위 개념인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사진의 해석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시각적 이미지에 기반한 연구의 역사와 유아교육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사진을 활용한 시각적 이미지 연구의 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연구에서 사진을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연구의 다원화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판단되며, 유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며, 궁극적으로는 연구결과의 최종적인 수혜자인 유아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ways in which photography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for qualitative Inqui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 anthropology, sociology, and education, various perspectives regarding...

      This study discusses the ways in which photography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for qualitative Inqui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 anthropology, sociology, and education, various perspectives regarding visual images and photography are discussed. Also the history of image-based research in the educational research and other academic field is reviewed. Finally, several ways of using photography as a research method, such as historical context analysis, description and/or explanation of young children's activities, experiences, even feelings, and tools of interview, are proposed, Using photography as an alternative inquiry method has many advantages to listen to young children's voice,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6 (6): 96-110, 1997b

      2 최인진, "한국 사진사 1631-1945" 눈빛 1999

      3 유혜령, "학습지 광고의 영상 텍스트에 나타난 아동교육의 신화" 8 (8): 105-118, 1999

      4 이승원, "학교의 탄생" 휴머니스트 2005

      5 강정원, "치료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과정:탐색에서 성장까지" 2002

      6 유혜령, "질적 아동연구를 위한 해석학의 방법론적 시사" 18 (18): 57-71, 1997a

      7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2005

      8 최기영,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아동의 양육과 생활" 23 (23): 105-119, 2002

      9 정진,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아동인식" 22 (22): 109-124, 2001

      10 Burke, "이미지의 문화사" 심산문화(원본발간일 2001년) 2005

      1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6 (6): 96-110, 1997b

      2 최인진, "한국 사진사 1631-1945" 눈빛 1999

      3 유혜령, "학습지 광고의 영상 텍스트에 나타난 아동교육의 신화" 8 (8): 105-118, 1999

      4 이승원, "학교의 탄생" 휴머니스트 2005

      5 강정원, "치료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과정:탐색에서 성장까지" 2002

      6 유혜령, "질적 아동연구를 위한 해석학의 방법론적 시사" 18 (18): 57-71, 1997a

      7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2005

      8 최기영,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아동의 양육과 생활" 23 (23): 105-119, 2002

      9 정진,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아동인식" 22 (22): 109-124, 2001

      10 Burke, "이미지의 문화사" 심산문화(원본발간일 2001년) 2005

      11 정태철 역, "이미지와 환상" 사계절출판사^원본발간일 1971년 2004

      12 김인식 편역, "이미지와 글쓰기:롤랑바르트의 이미지론" 세계사 1998

      13 고미경, "유치원에서 ‘착한 아이’ 되어가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4 최미숙, "유아발달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 경향 탐색" 24 (24): 187-205, 2004

      15 염지숙, "유아교육연구의 다원화:탐구 방법과 주제를 중심으로" 21 (21): 185-204, 2001

      16 최미숙,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연구방법론적 조명 유아교육연구 를 중심으로" 14 (14): 199-220, 1994

      17 황해익, "유아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방법론 고찰:1980년 이후를 중심으로" 8 : 111-135, 1998

      18 진동선, "영화보다 재미있는 사진이야기" 푸른 세상 2003

      19 이숙재, "어린이 놀이터와 놀이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14 (14): 109-132, 1994

      20 Aris, "아동의 탄생" 새물결 2003

      21 이경률, "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사진과 존재 그리고 인덱스" 마실출판사 2002

      22 주형일, "사진매체의 수용을 통해 본 19세기 말 한국 사회의 시각문화에 대한 연구" 47 (47): 354-425, 2003

      23 김종헌, "사진 이미지와 철학 읽기:푼크툼과 아우라를 중심으로" 52 : 193-208, 2001

      24 Walker, "비주얼 컬처" 루비박스(원본발간일 1997년). 2004

      25 Berger, "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2002

      26 이순형, "보육시설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18 (18): 23-38, 1997

      27 Berger,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미진사(원본발간일 1989년 1997

      28 백혜리, "백동자도(百童子圖)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아동인식" 21 (21): 67-81, 2000

      29 백혜리, "백동자도(百童子圖)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아동인식" 19 (19): 59-76, 1999

      30 Sontag, "바르트와 손탁" 1994

      31 사진론, "바르트와 손탁" 1994

      32 백혜리, "묵재일기(默齋日記)에 나타난 조선 중기 아동의 생활" 24 (24): 63-100, 2004

      33 Berger, "말하기의 다른 방법" 눈빛 출판사(원본발간일 1982년). 2004

      34 변윤희,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그림책의 글과 그림 읽기" 22 (22): 339-362, 2002

      35 Percival,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 대광문화사(원본발간일 1985년) 1986

      36 Collier, "photography as a research method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86

      37 최재혁, "^상징 고찰" 15 : 1-23, 2004

      38 Becker, "Visual Sociology, documentary photography, and photojournalism: It's almost all a matter of context" Visual Sociology 10 (10): 1 5-2 14, 1995

      39 Dempsey, "Using photo-interviewing as a tool for research and evaluation" 55-62, 1994

      40 Worth,S, "Through Navajo Eyes" Indiana University Press 1972

      41 Foster, "Thinking aloud about history Children's and adolescents' responses to historical photographs" 27 (27): 179-214, 1999

      42 English,F.W, "The utility of the camera in qualitative inquiry" 17 (17): 8-15, 1988

      43 Harrington, "The use of reflexive photography in the study of the freshman year experience" 1998

      44 Preskill,H, "The use of photography in evaluating school culture" 8 (8): 183-193, 1995

      45 Eisner,E, "The promise and perils of alternative forms of data representation" 26 : 4-10, 1997

      46 Secondulfo, "The meaning of things A working field for visual sociology" 12 (12): 33-45, 1997

      47 Huxley,A, "The art of seeing" Harper 1942

      48 Orellana,M.F, "The aesthetics of an urban landscape:Learning from children's view of their social worlds" 14 : 73-89, 1999

      49 Prosser, "The Status of Image Based Research A Sourcebook for Qualitative Researchers" Falmer Press 97-112, 1998

      50 Orellana, "Taking the walk: Children reading urban evironmental print" 52 (52): 612-619, 1999

      51 유혜령, "TV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기호 세계와 교육 이념에 관한 고찰" 15 (15): 37-55, 1995

      52 Salmon,K, "Remembering and reporting by children:The influence of cues and props" 21 (21): 267-300, 2001

      53 Fischman, "Reflections about images, visual culture, and educational research" 30 (30): 28-33, 2001

      54 Schratz&, "Pupils using photographs in school self-evaluation A sourcebook for qualitative researchers" Falmer Press 235-251, 1998

      55 Diamond,K.E,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disabilities:The Salience of disability in children's ideas about others" 16 (16): 458-475, 1996

      56 Wang,C, "Photovoice: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8 (8): 185-192, 1999

      57 Wang, "Photovoice as a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strategy" 13 (13): 75-86, 1998

      58 Prosser, "Photographs within the sociological research process" Falmer Press 115-130, 1998

      59 Bateson,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42

      60 Hine,L, "Men at work" Macmillan 1932

      61 Project Zero &, "Making Learning Visible: Children as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Reggio Children 2001

      62 Field method,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278-293, 1977

      63 Wagner, "Information in and about photographs Images of information Still photography in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11-22, 1979

      64 Trachtenberg, "Images as history Mathew Brady to Walker Evans" 1989

      65 Riis,J, "How the other half lives:Studies among the tenements of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971

      66 Walker, "Finding a silent voice for the researcher using photographs in evaluation and research Qualitative Voices in Educational Research" 72-92, 1993

      67 Cambridgeport School, "Documenting individual and group learning as professional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mbridgeport Children's Center 2003

      68 Margolis, "Class pictures: Representations of race and ability in a century of school photography" Visual Sociology 14 : 7-36, 2000

      69 Weinger, "Children living in poverty Their perception of Career opportunities" 320-330, 1998

      70 Ewen,S, "All consuming images:The politics of style in contemporary culture" Basic Books 1988

      71 이대균, "1990년대 전,후반기 유아교육관련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6 (6): 219-23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