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채널 공격에 안전한 타원곡선 스칼라 곱셈 알고리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39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카드와 같이 계산능력이나 메모리가 제한된 암호학적인 장치를 구현할 때 부채널 공격을 고려해야 할뿐만 아니라 장치내에 내장되어 있는 암호학적인 알고리즘은 적은 메모리를 이...

      스마트카드와 같이 계산능력이나 메모리가 제한된 암호학적인 장치를 구현할 때 부채널 공격을 고려해야 할뿐만 아니라 장치내에 내장되어 있는 암호학적인 알고리즘은 적은 메모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연산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채널 공격에 대한 윈도우 기반의 대응방법으로 Moller 방법, Okeya-Takagi 방법, Overlapping window 방법등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Moller 방법과 Okeya-Takagi 방법은 SPA에 안전한 대응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공격들(DPA, Second-Order DPA, Address-DPA)을 방어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산이 요구되며 Overlapping window 방법은 많은 저장 공간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응방법들에 대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각각의 대응방법들의 장점을 이용하여 기존의 모든 부채널 공격에 안전하면서 효율적인 대응방법을 제안한다. 더욱이 제안하는 대응방법은 혼합 좌표계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cryptosystem designers implement devices that computing power or memory is limited such as smart cards, PDAs and so on, not only he/she has to be careful side channel attacks(SCA) but also the cryptographic algorithms within the device has to be ...

      When cryptosystem designers implement devices that computing power or memory is limited such as smart cards, PDAs and so on, not only he/she has to be careful side channel attacks(SCA) but also the cryptographic algorithms within the device has to be efficient using small memory. For this purpose, countermeasures such as Moller's method, Okeya-Takagi's one and overlapping window method, based on window method to prevent SCA were proposed. However, Moller's method and Okeya-Takagi's one require additional cost to prevent other SCA such as DPA, Second-Order DPA, Address-DPA, and so on since they are immune to only SPA. Also, overlapping window method has a drawback that requires big memory. In this paper, we analyze existing countermeasures and propose an efficient and secure countermeasure that is immune to all existing SCA using advantages of each countermeasure. Moreover, the proposed countermeasure can enhance the efficiency using mixed coordinate syst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윈도우 기반의 대응방법
      • Ⅲ. 제안 방법 (w-NAF를 이용한 Overlapping window 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윈도우 기반의 대응방법
      • Ⅲ. 제안 방법 (w-NAF를 이용한 Overlapping window 방법)
      • Ⅳ. 안전성과 효율성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著者紹介〉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타원곡선 암호시스템에서 랜덤 m-ary 방법을 사용한 전력분석 공격의 대응방법" 13 (13): 35-43, 2003.

      2 "전력분석공격을 효율적으로 방어하는 타원곡선 비밀키의 랜덤화" 13 (13): 169-177, 2003.

      3 "랜덤한 덧셈-뺄셈 체인에 대한 부채널 공격" 14 (14): 121-133, 2004.

      4 "Timing attacks on implmentation of Diffie-Hellman RSA, DSS, and other systems" 104-113, 1996.

      5 "The Width-NAF Method Provides Small Memory and Fast Elliptic Scalar Multiplications Secure against Side Channel Attacks" 2612 : 328-342, 2003.

      6 "Standards for Efficient Cryptography Group . Specification of Standards for Efficient Cryptography."

      7 "Securing Elliptic Curve Point Multiplication against Side- Channel Attacks" 324-334, 2001.

      8 "Resistance against Differential Power Analysis for Elliptic Curve Cryptosystems" 1717 : 292-302, 1999.

      9 "Preventing SPA/DPA in ECC systems using the Jacobi form" 2162 : 391-401, 2001.

      10 "Folding 기법을 이용한 전력분석 공격에 대응하는 고속 스칼라 곱셈" 13 (13): 57-64, 2003.

      1 "타원곡선 암호시스템에서 랜덤 m-ary 방법을 사용한 전력분석 공격의 대응방법" 13 (13): 35-43, 2003.

      2 "전력분석공격을 효율적으로 방어하는 타원곡선 비밀키의 랜덤화" 13 (13): 169-177, 2003.

      3 "랜덤한 덧셈-뺄셈 체인에 대한 부채널 공격" 14 (14): 121-133, 2004.

      4 "Timing attacks on implmentation of Diffie-Hellman RSA, DSS, and other systems" 104-113, 1996.

      5 "The Width-NAF Method Provides Small Memory and Fast Elliptic Scalar Multiplications Secure against Side Channel Attacks" 2612 : 328-342, 2003.

      6 "Standards for Efficient Cryptography Group . Specification of Standards for Efficient Cryptography."

      7 "Securing Elliptic Curve Point Multiplication against Side- Channel Attacks" 324-334, 2001.

      8 "Resistance against Differential Power Analysis for Elliptic Curve Cryptosystems" 1717 : 292-302, 1999.

      9 "Preventing SPA/DPA in ECC systems using the Jacobi form" 2162 : 391-401, 2001.

      10 "Folding 기법을 이용한 전력분석 공격에 대응하는 고속 스칼라 곱셈" 13 (13): 57-64, 2003.

      11 "Differential Power Analysis" 388-397, 1999.

      12 "DPA Countermeasures by Improving the Window Method" 303-317, 2003.

      13 "A Second-Order DPA Attack Breaks a Window-Method Based Counterm- easure against Side Channel Attack" 2433 : 389-401, 2002.

      14 "A Practical Countermeasure against Address-bit Differential Power Analysis" 2279 : 382-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 0.50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