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가 청년 정치인을 지지하는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3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한국 유권자들이 청년 의원 확대 및 정치인 세대교체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먼저 다수의 유권자가 한국에서 청년세대의 정치적 ...

      본 논문은 최근 한국 유권자들이 청년 의원 확대 및 정치인 세대교체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먼저 다수의 유권자가 한국에서 청년세대의 정치적 대표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청년 정치인의 확대 주장에 많은 공감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86세대를 기득권이라 인식하는 유권자일수록 청년 정치인의 확대 필요성에 더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거대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보다는 군소정당 지지자들이 청년 정치인의 확대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적 효능감과 정치 관심도가 청년 정치인 확대의 필요성에 상당히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성별, 이념, 지역, 그리고 소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요약하자면, 우리 국회의 청년 대표성 확대 필요성과 관련해 다양한 유권자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심리학적 요인들의 영향력이 강하게 부각되었다. 다시 말해, 유권자들은 그들이 청년 정치인과 사회경제적 배경 등의 측면에서 많은 동질성이 있어서라기보다는, 한국 정치의 일반적 발전과 진보를 위한 또 하나의 선택지로써 청년 대표성 확대를 통한 정치인 세대교체를 추구한다는 조심스러운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at Korean voters have in recent years about the expansion of youth lawmakers and the generational change of politicians. First of all,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 large number of voters believe that the political re...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at Korean voters have in recent years about the expansion of youth lawmakers and the generational change of politicians. First of all,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 large number of voters believe that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is not sufficiently secured in Korea, and that they sympathize with the argument of expanding the number of young politicians. In particular, voters who perceive the 86 generation as vested interests were found to be more sympathetic to the need to expand young politicians, and supporters of minor parties were more positive about expanding young politicians than those who support the big party. On the other hand, internal efficacy and political interes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need for expanding youth politicians, while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identified at gender, ideology, region and income levels. In summary, various voter factors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the need to expand youth representation in our National Assembly, but among them,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has been strongly highlighted. In other words, voters are more likely to want a young "politician"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olitics, rather than because they have a lot of homogeneity with young politici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데이터와 연구 설계
      • Ⅳ. 분석 결과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데이터와 연구 설계
      • Ⅳ.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갑윤, "한국인의 투표행태" 후마니타스 2011

      2 민준기, "한국의 정치" 나남출판 1996

      3 김욱, "한국의 선거Ⅴ: 제16대 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오름 2006

      4 어수영, "한국의 선거Ⅴ: 제16대 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오름 2006

      5 강원택, "한국의 선거 정치" 푸른길 [서울] 2003

      6 윤종빈, "한국에서의 현직의원 지지에 관한 연구: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0 (40): 145-164, 2006

      7 윤성이,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실체와 변화" 세종연구소 12 (12): 163-182, 2006

      8 조기숙, "한국 정당재편성의 역사와 기제: 세대교체, 전환, 혹은 동원?" 한국정당학회 19 (19): 63-100, 2020

      9 엄기홍, "투표행태의 이해" 한울 2017

      10 최준영, "투표행태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7

      1 이갑윤, "한국인의 투표행태" 후마니타스 2011

      2 민준기, "한국의 정치" 나남출판 1996

      3 김욱, "한국의 선거Ⅴ: 제16대 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오름 2006

      4 어수영, "한국의 선거Ⅴ: 제16대 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오름 2006

      5 강원택, "한국의 선거 정치" 푸른길 [서울] 2003

      6 윤종빈, "한국에서의 현직의원 지지에 관한 연구: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0 (40): 145-164, 2006

      7 윤성이,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실체와 변화" 세종연구소 12 (12): 163-182, 2006

      8 조기숙, "한국 정당재편성의 역사와 기제: 세대교체, 전환, 혹은 동원?" 한국정당학회 19 (19): 63-100, 2020

      9 엄기홍, "투표행태의 이해" 한울 2017

      10 최준영, "투표행태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7

      11 정다빈, "청년세대의 의회 진출 확대를 위한 정치제도적 과제" 동서문제연구원 31 (31): 33-62, 2019

      12 정다빈, "지방선거에서 청년 세대의 대표성 제고 방안연구: 지방의회의 입법 활동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7-26, 2018

      13 장승진, "제19대 총선의 투표 선택: 정권심판론, 이념 투표, 정서적 태도" 한국정치학회 46 (46): 99-120, 2012

      14 이재철,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참여: 당일투표와 사전투표의 결정요인 비교분석" 한국정치정보학회 21 (21): 187-214, 2018

      15 안형기, "정치참여 결정요인으로서의 인지적 효능감: 네티즌의 투표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27-49, 2006

      16 윤혜영, "정치대표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1): 5-26, 2019

      17 박원호, "정당은 유권자에게 얼마나 유의미한가?: 한국의 무당파층과 국회의원 총선거"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15-144, 2012

      18 이윤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청년 사회・정치참여의 필요성 및 방안" 법과사회이론학회 (61) : 29-54, 2019

      19 조성대, "이념의 정치와 한국의 선거 : 공간이론으로 본 한국의 대통령선거" 오름 2015

      20 이갑윤, "국회의원선거에서 후보자 요인의 영향력: 14-16대 총선을 중심으로" 34 (34): 149-170, 2000

      21 최태욱, "고령화 저성장 양극화 시대의 청년정치 부상 가능성" 민주사회정책연구원 (31) : 259-285, 2016

      22 Berelson, Bernard. R., "Vo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4

      23 Welch, Susan, "The Effects of Charges of Corruption on Voting Behavior in Congressional Elections, 1982-1990" 59 (59): 226-239, 1997

      24 Campbell, Augus, "The American Vo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25 Fiorina, Morris. P.,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Yale University Press 1981

      26 Bone, Hugh. A, "Politics and Voters" McGraw-Hill Book Company 1976

      27 Lipset, Seymour. M,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Free Press 1967

      28 Enelow, Jamesm, "Ideology, Issues, and the Spatial Theory of Elections" 76 (76): 493-501, 1982

      29 Groseclose, Timothy, "Golden Parachutes, Rub ber Checks, and Strategic Retirements from the 102d House" 38 (38): 75-99, 1994

      30 Downs Anthony,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Harper and Law 1957

      31 Miller, Warren 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Data Sourcebook 1952–1978"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32 Lowi, Theodore J, "American Government:Freedom and Power" W. W. Norton & Company 1995

      33 한정훈, "2012년 국회의원선거분석" 나남 2012

      34 이용마,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 계층균열구조의 등장" 한국정치학회 48 (48): 249-27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