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2분 달리기 시 속도 변화에 따른 몸통과 넙다리근육의 활성도 및 피로도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06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2분 달리기 시 속도 변화에 따른 몸통과 넙다리근육의 활성도 및 피로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I대학교의 건강한 남학생 9명으로 구성하였...

      본 연구의 목적은 12분 달리기 시 속도 변화에 따른 몸통과 넙다리근육의 활성도 및 피로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I대학교의 건강한 남학생 9명으로 구성하였다. 12분 달리기의 속도는 개인의 100 M 달리기 기록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 기록의 60%, 70% 및 80%의 속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근활성도는 최대적분근전도값을 근거로 각 근육의 신호를 표준화하였고, 근피로도는 평균주파수(MPF)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검증은 반복측정에 의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근활성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큰볼기근과 중간볼기근은 80%에 비해 60%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 및 넙다리두갈래근은 60%에 비해 80%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음으로, 근피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배곧은근과 척추세움근 및 중간볼기근은 60%와 70%에 비해 80%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배가로근은 60%에 비해 80%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안쪽넓은근은 80%에 비해 60%와 70%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달리기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넙다리근육은 활성 수준이 높아지는 반면에 몸통근육은 피로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uscle activation and fatigue on muscles of core and thigh according to different running speed during 12 minutes ru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men. The speed of 12 minutes run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uscle activation and fatigue on muscles of core and thigh according to different running speed during 12 minutes ru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men. The speed of 12 minutes run standardized a record to run with the personal 100 M, and divided into 60%, 70% and 80% of this record. Peak integrated electromyogram was used to measure muscle activities and mean power frequency was used to measure muscle fatigue. Signals of EMG of each muscle was standardiz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The results of muscle activation, 60% level in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were higher than 80% level. However, 80% level in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and biceps femoris were higher than 60% level. In muscle fatigue, 80% level in rectus abdominis, erector spinae, and gluteus medius were higher than 60% and 70% levels. The 80% level in transverse abdominis were higher than 60% level. However, 60% and 70% levels in vastus medialis were higher than 80% level.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running speed whereas the muscle activation of the thigh were increased, the muscle fatigue of the core muscle became higher than befo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승욱, "트레이닝 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 단거리 달리기 기능향상에 관한 연구 : Plyometric Training과 Circuit Training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배성재, "초등학교 학생의 200m 달리기시 정상 속도 및 근 피로 구간의 운동역학적 분석" 5 : 86-92, 2004

      3 김정태, "중심안정화 운동의 진행단계와 형태에 따른 요부 근육의 활성 비교" 한국웰니스학회 6 (6): 275-286, 2011

      4 김로빈, "중량부하 달리기 시 하지부상 예방을 위한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929 (929): 929-937, 2012

      5 정인근, "장거리 육상선수의 스포츠상해 실태 및 원인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617-624, 2007

      6 류지선, "오래달리기 시 피로가 생체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40 (40): 1011-1025, 2001

      7 김태삼, "오래 달리기 시 하지 근지구력에 따른 몸통의 3차원 각 변화" 한국운동역학회 17 (17): 61-73, 2007

      8 유승원, "시각장애아의 슬관절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131-140, 2001

      9 곽창수, "달리기 속도의 증가에 따른 운동화 중저의 경도와 신발바닥의 두께가 신발의 볼 굴곡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15 (15): 153-168, 2005

      10 McNitt-Gray, J. I., "kinetics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drop landing from three heights" 26 (26): 1037-1046, 1993

      1 현승욱, "트레이닝 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 단거리 달리기 기능향상에 관한 연구 : Plyometric Training과 Circuit Training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배성재, "초등학교 학생의 200m 달리기시 정상 속도 및 근 피로 구간의 운동역학적 분석" 5 : 86-92, 2004

      3 김정태, "중심안정화 운동의 진행단계와 형태에 따른 요부 근육의 활성 비교" 한국웰니스학회 6 (6): 275-286, 2011

      4 김로빈, "중량부하 달리기 시 하지부상 예방을 위한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929 (929): 929-937, 2012

      5 정인근, "장거리 육상선수의 스포츠상해 실태 및 원인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617-624, 2007

      6 류지선, "오래달리기 시 피로가 생체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40 (40): 1011-1025, 2001

      7 김태삼, "오래 달리기 시 하지 근지구력에 따른 몸통의 3차원 각 변화" 한국운동역학회 17 (17): 61-73, 2007

      8 유승원, "시각장애아의 슬관절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131-140, 2001

      9 곽창수, "달리기 속도의 증가에 따른 운동화 중저의 경도와 신발바닥의 두께가 신발의 볼 굴곡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15 (15): 153-168, 2005

      10 McNitt-Gray, J. I., "kinetics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drop landing from three heights" 26 (26): 1037-1046, 1993

      11 Whittle, M. W., "Three-dimens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plevis and lumbar spine during normal gait" 18 : 681-692, 1999

      12 Simon, S. R., "The response of joints to impact loading-Ⅱ : In vivo behavior of subchondral bone" 5 : 267-272, 1972

      13 Hayes, P. R.,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muscular endurance and kinematic changes during a run to exhaustion at VO2max" 18 (18): 898-903, 2004

      14 Schache, A. G., "The coordinated movement of the lumbo-pelvic-hip complex during running : A literature review" 10 : 30-47, 1999

      15 O’shea, J. P., "Scientific principles and methods of strength fitness" Lew & Philadelpia 1983

      16 Bennel, K. L., "Musculoskeltal injuries in track and fields : Incidenc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28 : 69-75, 1996

      17 Hislop, H. J., "Muscle testing" Saunders 1995

      18 Macera, C., "Lower extremity injuries in runners : Advances in prediction" 13 : 50-57, 1992

      19 Neumann, D. 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osby 2002

      20 Bahr, B., "Incidence and mechanisms of acute ankle inversion injuries in volleyball : A retrospective cohort" 22 (22): 595-600, 1994

      2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7th Ed.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22 Anthony, G. S., "Effect of running speed on lower limb joint kinetics" 43 (43): 1260-1271, 2011

      23 Schache, A. G.,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in the three-dimensional angular rotations of the lumbo-pelvis-hip complex during treadmill running" 21 : 105-118, 2003

      24 Zhang, S., "Contributions of lower extremity joints to energy dissipation during landings" 32 : 812-819, 2000

      25 Van Mechelen, W., "Can running injuries be effectively prevented?" 19 : 161-165, 1995

      26 James, S. L., "Biomechanical and meuromuscular aspects of running" Exercise and Sport 1973

      27 Delagi, E. F., "Anatomic guide for the electromyograph(2nd Ed.)" Charles C Tomas 1981

      28 Sayfarth, A., "A movement criterion for running" 35 : 649-655, 2002

      29 Walter, S. D., ""The ontario cohort study of running-related injuries" 149 : 2561-256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