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문융합의 관점에 기반한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연구 : 중점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427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5.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Curriculum development on the basis of academic convergence in design of space directing : focus on development of core-course program

      • 형태사항

        xvi, 285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진민
        참고문헌: p. 235-23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공간연출디자인의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통합 및 상호관계성의 개념을 축으로 한 총체성에 기초하여 학문융합과 공간연출디자인의 현대적 의미를 그 기본에 두고, 교육과...

      본 논문은 공간연출디자인의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통합 및 상호관계성의 개념을 축으로 한 총체성에 기초하여 학문융합과 공간연출디자인의 현대적 의미를 그 기본에 두고,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 개발을 병행 고찰한다. 아울러 본 논문은 공간연출디자인의 역사적 경위 및 현황을 규명하여 교육과정 개발절차를 체계화하고, 학문융합의 관점에 기반한 공간연출디자인의 중점 교과목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향후 공간연출디자인 관련 업계 및 학계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학문융합의 관점에 기반한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연구-중점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라 제목하고, 제1장의 서론, 제2,3,4장의 본론, 제5장의 결론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목적 및 의의, 범위 및 방법에 관해서 논한다. 또한 본 논문의 개념적 대상이 되는 학문융합,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의 기본적 용어 정의에 대해 논술한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학문융합의 고찰과 공간연출디자인의 현대적 의미에 관해 논하고, 이에 수반되는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모듈 방법론에 관하여 각각 고찰하며 제4절에서 제 2장 전체를 정리한다.
      제1절 학문융합의 고찰 경우, 총체성 이론에 기초한 융합개념과 공간디자인의 융합교육 필요성을 고찰하여 상호 유기적 관계성에 관해 논하고 있다. 특히, 학문융합의 총체성은 개별 학문 간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상호 유기적 관계성을 논하고 있다.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의 현대적 의미 경우, 브랜드 아우라로서의 공간연출을 파악함과 동시에 총체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연출디자인을 고찰한다. 이는 협의적 개념의 연극연출을 넘어서 공간-마케팅-브랜드-디자인이 융합되어 상호 소통하는 매개체로서의 공간연출디자인을 논하고 있다.
      제3절 교육과정개발 및 모듈 개발 방법론의 경우, 마쉬와 윌리스(Marsh&Willis)의 체계적 접근방식 중 워커(Walker)의 숙의 모형(Deliberation Model)을 통해 공간연출디자인의 교육과정개발 절차를 수립하고 있다.
      제4절 소결에서는 학문융합에 기반 한 공간연출디자인의 교육과정 개발은 개별학문의 고유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타학문과 상호 유기적 관계의 통합을 이루는 학문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논지로 하며 본 장 전체를 마무리하고 있다.

      <제3장 공간연출디자인의 역사적 경위 및 현황>에서는 상술한 제2장에 근저한 본론으로서, 공간연출디자인의 역사적 경위와 공간연출디자인의 현황으로 나누어 논술한다. 특히, 공간연출디자인의 현황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 및 교육현황과 교육사례로 나누어 각각 그 조사대상으로 삼고 있다.
      제1절 공간연출디자인의 역사적 경위의 경우, 현재 공간연출의 사전적 정의가 전무하여 공간과 연출의 역사로 나누어 개념을 고찰한다. 아울러 본 절은 앞장의 공간연출디자인의 현대적 의미와 공간연출의 역사를 통해 공간연출디자인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공간연출디자인은 무대연출의 개념을 넘어서 인간이 살아가는 모든 공간 환경에서 여러 요소들을 상호 유기적인 관계성 속에서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즉, 공간연출디자인은 일상과 비일상. 하드와 소프트. 실재와 비실재적의 모든 공간 환경 요소들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상호 관계성’의 디자인이다.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의 현황의 경우, 연구현황, 교육현황, 실제교육사례현황으로 각각 분석하여 사례조사의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첫째, 연구현황에서는 공간연출디자인의 선행연구현황, 융합연구현황, 디자인융합연구현황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분야별, 연도별 구분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있다. 특히, 연도별 및 분야별 공간연출디자인의 선행연구특징은 1970년대 건축 및 섬유분야에서 쇼윈도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연구 발표되었으나 2000년 이후 플라워, 푸드 등 비일상적이며 소프트한 주제와 이벤트, 파티, 전시디스플레이와 같이 일시성적 공간연출디자인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공간연출디자인의 연구주제는 연극무대 보다는 공간디자인 관련 분야들이 주로 발표되고 있다.
      둘째, 교육현황에서는 디자인융합대학 현황, 공간연출디자인의 교육과정 현황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특성을 밝히고 있다. 공간연출디자인의 교육과정 현황은 공간연출(空間演出)을 전공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4년제 대학을 조사대상으로 한정한다. 일본의 교육과정은 분과학문의 실내, 건축, 도시 등 각각 절리 된 교과목이 아닌 공간의 수평적·수직적 개념확장을 통해 인간이 공간과 매개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과 동일한 선상에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국내의 경우, 종합대학의 공간연출관련 학과는 한국종합예술대학 연출과 1곳, 중앙대 공연영상학부 공간연출전공 1곳이 전부이다. 두 학교의 공간연출전공은 공간 범위대상을 연극무대로 한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공간연출디자인의 공간적 범주는 확장하여 한국의 조사대상은 ‘공간연출디자인’을 교과명으로 사용하는 형식적 측면과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 공간연출수업이 이루어지 교과목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 실제교육사례현황은 국내에서 20여년 간 공간연출디자인수업을 진행해 온 S여대 공간연출디자인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제3절의 소결에서 공간연출디자인은 디자인, 아트, 마케팅, 공학, 인문학으로 통합 및 상호 유기적 관계성의 개념을 축으로 한 총체성을 이루면서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야함을 장으로 정리하고 있다.

      <제4장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및 중점교과 모듈개발>에서는 제1절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 개발의 전제,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의 수립절차, 제3절 공간연출디자인 중점교과 모듈 개발, 제4절 소결로 제4장의 전체를 정리하고 있다.
      제1절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 전제의 경우, 선행연구 분석과 프로세스 접근에 대해 각각 논술하고 있다.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수립절차의 경우, 워커의 토대·숙의·설계 3단계를 통해 거시적 절차와 선행연구 및 아이즈너의 예술적 모형을 통해 미시적 절차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한 설계기본방향 및 개발모형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교육목표는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융합적 인재로서 공간디자인에 대한 전문지식을 지니면서 동시에 인접분야에 대한 스킬을 보유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양성하는데 있다. 둘째, 교육내용은 개별학문의 고유성은 인정하면서 아트, 디자인, 마케팅, 공학, ICT 학문 간의 상호 유기적 관계성을 이루고 대상, 차원, 분야를 학문분야로 다루고 있다. 넷째, 교육과정 구성은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진행될수록 평면-입체-공간으로 확장되는 확장교육, 2D(그래픽)-3D(제품)-4D(공간)으로의 입체식 교육, 개별학문의 고유한 영역이 있는 다학제에서 개별학문의 영역 구분이 없는 초학제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제3절 공간연출디자인 중점교과 모듈 개발의 경우, 개별학문에 대해 각각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통합 및 상호 관계성의 개념을 축으로 한 ‘총체성’에 기본 개념을 두고 있다. 교육모듈은 ‘통합성’에서 접근한 [모듈1], ‘상호 관계성’에서 접근한 [모듈2], ‘총체성’ 개념에서 접근한 [모듈3]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모듈1]은 하나의 셀(cell)과 같이 단위체(unit)로 적용된다. [모듈2]는 4~5개의 셀이 통합된 [모듈1]이 상호 관계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불규칙한 카오스(chaos)적 조직체를 이룬다. [모듈3]은 [모듈2]의 불규칙한 패턴의 조직체들이 통합 및 상호관계성의 개념을 축으로 한 총체성을 이룬다. 이러한 모듈을 이용한 공간연출디자인의 중점 교과목은 초급과정의 융합연출디자인1, 중급과정의 융합연출디자인2, 상급과정의 융합연출디자인3으로 구분한다. 개발된 중점교과목은 브랜드·마케팅·디자인을 교과중심수업으로 하는 융합연출디자인1, 디자인·아트·마케팅·인문학을 학습자중심으로 하는 융합연출디자인2, 디자인·아트·공학·ICT를 문제중심수업으로 하는 융합연출디자인3으로 하고 있다.
      제4절의 소결에서는 본 장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끝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전체를 정리하는 결론 및 제언과 향후 연구를 결론으로서 논하며 전체를 끝맺고 있다. 본 논문은 교육학분야의 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디자인교육과정 개발이라는 점에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연극분야의 연출교육이 일부 운영되고 있지만 실무현장 및 국내연구동향 파악을 통해 개발된 점에서 독자성이 있다. 향후 관련분야의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2
      • 제2절 연구 목적 및 의의 = 11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16
      • 제4절 선행연구 고찰 = 23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2
      • 제2절 연구 목적 및 의의 = 11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16
      • 제4절 선행연구 고찰 = 23
      • 제5절 연구의 기본적 용어 정의 = 28
      • 1. 학문융합 = 28
      • 2. 공간연출디자인 = 29
      • 3. 교육과정 개발 = 30
      • 4. 교육 모듈 = 31
      • 제2장 이론적 배경 = 32
      • 제1절 학문융합의 고찰 = 33
      • 1. 총체성 이론에 기반 한 융합의 개념 고찰 = 33
      • 2. 총체적 개념으로서의 공간디자인과 융합교육 = 42
      •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의 현대적 의미 = 45
      • 1. 브랜드 아우라로서의 공간연출 = 45
      • 2. 총체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연출디자인 = 51
      • 제3절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 개발 방법론 = 56
      • 1. 교육과정 개발 = 56
      • 2. 교육 모듈 = 63
      • 제4절 소결 = 64
      • 제3장 공간연출디자인의 역사적 경위 및 현황 = 66
      • 제1절 공간연출디자인의 역사적 경위 = 67
      • 1. 공간과 연출의 역사 = 67
      • 2. 공간연출디자인의 재정의 = 71
      •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의 현황 = 77
      • 1. 연구현황 = 77
      • 2. 교육현황 = 94
      • 3. 실제교육사례현황 = 116
      • 제3절 소결 = 134
      • 제4장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및 중점교과 모듈 개발 = 136
      • 제1절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 개발의 전제 = 137
      • 1. 교육과정 개발의 전 = 137
      • 2. 교육과정 개발절차 선정 = 138
      • 3. 교육모듈 개발의 전제 = 143
      • 제2절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의 수립절차 = 144
      • 1.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144
      • 2. 교육과정 설계 기본방향 = 147
      • 3.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54
      • 제3절 공간연출디자인 중점교과 모듈 개발 = 165
      • 1. 교육 모듈 방향 = 165
      • 2. 교육 모듈 개발 = 168
      • 제4절 소결 = 223
      • 제5장 결론 = 224
      • 제1절 결론 및 제언 = 225
      • 제2절 향후 연구 = 2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