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더에러의 개념과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적용한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 = Flagship Store Design based on the Concept and Space Patchwork of Ader Err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8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fashion industry is shifting from online to offline shopping. This has led to an increase in offline store visits and the expansion of not only branded offline stores but also e-commerce offline stor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visit rate...

      The modern fashion industry is shifting from online to offline shopping. This has led to an increase in offline store visits and the expansion of not only branded offline stores but also e-commerce offline stor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visit rate of offline stores, it is necessary to plan experience-oriented programs instead of sales-oriented programs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This paper aims to design the flagship store of ADER ERROR by applying the changes of offline stores.
      Ader Error is a representative fashion brand in South Korea that creates not only fashion but also space, video, and various cultural contents by gathering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to form new perspectives. Ader Error is a combination of 'Ader', which means 'people who express aesthetic things', and 'Error', and has a meaning of 'people who discover aesthetic things in various errors'. Based on the philosophy of 're-editing', Ader Error designs using 'patchwork'.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shion design and flagship store cases of Ader Error based on Ader Error's design characteristic 'F.I.N.E'. Furthermore, it analyzed the way the company designs and communicates with consumers.
      In this study, Dongdaemun, which was selected as the site,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hrough the heterogeneous appearance of the buildings in Dongdaemun, we found that the site looks like a patchwork. This led to the design concept of 'space patchwork'. This concept means converting two dimensions into three dimensions, and it is defined as a way to organize the space around the surface elements, and it is set to solve the spatial structure by utilizing only the surface elements without using the column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pace, which are the floor, wall, ceiling, and colum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a program plan and an interior and exterior design plan for the Ader Error flagship store using the 'space patchwork' method. Program patchwork combin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ite with the basic program to derive a new program, such as an exotic dessert cafe through a patchwork with Gwangjang Market, a vintage store through a patchwork with Dongmyo Guze Market, and a customization shop through a patchwork with Changshin-dong Sewing Street.
      To give the space a three-dimensionality, the walls and floor surfaces were overlapped, and the height of the floor was adjusted to create the sense of a patchwork of spaces. In addition, the Dongdaemun Design Plaza (DDP), which can be viewed from each space, was intended to create a visual patchwork of land and space that is difficult to experience. Accordingly, the Ader Error Space Patchwork flagship store is not just a sales space, but a space tha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view and various experi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시대 패션 산업은 온라인 쇼핑에서 오프라인 쇼핑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증가하고,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 뿐만 아니라 이커머스 오프라인 매장의 확대로 이...

      현시대 패션 산업은 온라인 쇼핑에서 오프라인 쇼핑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증가하고,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 뿐만 아니라 이커머스 오프라인 매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 판매 중심이 아닌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계획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오프라인 매장의 변화를 적용한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아더에러는 한국의 대표적인 패션 브랜드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며 패션뿐만 아니라 공간, 영상,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브랜드이다. 아더에러는‘미적인 것을 표현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Ader’와 ‘Error’를 합성하여 ‘다양한 오류 속에서 미적인 것을 발견하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더에러는 ‘재편집’철학을 바탕으로 ‘패치워크’를 활용해 디자인해 나가고 있다. 아더에러의 디자인 특성인 ‘F.I.N.E’을 기준으로 아더에러의 패션 디자인과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더에러가 디자인해 나가는 방식과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지로 선정한 동대문을 분석하여 장소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동대문에서 볼 수 있는 건축물의 이질적인 모습을 통해 대지가 패치워크 된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디자인 콘셉트로 도출하였다. 이 개념은 2차원을 3차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면 요소를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정의하였으며, 공간의 구성요소인 바닥, 벽, 천장, 기둥 중 기둥을 사용하지 않고 면 요소만을 활용하여 공간 구조를 해결하도록 설정하였다.
      위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활용하여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의 프로그램 계획과 실내외 디자인 계획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패치워크는 대지 주변 환경과 기본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것으로, 광장시장과의 패치워크를 통해 이색 디저트 카페, 동묘구제시장과의 패치워크를 통해 빈티지 스토어, 창신동 봉제거리와의 패치워크를 통해 커스터마이징 샵을 도출하였다.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벽면과 바닥면을 중첩하고, 바닥의 다양한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이 패치워크 된 듯한 느낌을 형성했다. 또한, 각 공간에서 바라볼 수 있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를 통해 흔히 경험하기 어려운 대지와 공간의 시각적 패치워크를 체험하도록 의도하였다. 이에 따라,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는 단순한 판매 공간이 아닌, 입체적인 시각과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디자인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 제2장 아더에러 개념과 디자인 특성 4
      • 2.1 아더에러 배경 고찰 4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 제2장 아더에러 개념과 디자인 특성 4
      • 2.1 아더에러 배경 고찰 4
      • 2.1.1 아더에러의 시작과 의미 4
      • 2.1.2 아더에러의 브랜딩 방식 5
      • 2.1.3 아더에러의 콜라보레이션 7
      • 2.1.4 아더에러의 로고 전략 9
      • 2.2 아더에러의 디자인 개념 및 특성 15
      • 2.2.1 아더에러의 디자인 개념 15
      • 2.2.2 아더에러의 디자인 특성 ‘F.I.N.E’ 분석 15
      • 2.2.3 아더에러의 패치워크 특성 17
      • 2.3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조사 20
      • 2.3.1 사례조사 개요 20
      • 2.3.2 아더 홍대 스페이스 22
      • 2.3.3 아더 성수 스페이스 23
      • 2.3.4 아더 신사 스페이스 24
      • 2.3.5 아더 서면 스페이스 26
      • 2.4 소결 27
      • 제3장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적용한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 29
      • 3.1 대지 선정 및 분석 29
      • 3.1.1 대지 개요 29
      • 3.2 동대문 패션 산업 30
      • 3.2.1 동대문 패션 산업 배경 30
      • 3.2.2 동대문 패션 산업 특성 31
      • 3.3 대지 및 주변 지역 장소 특성 32
      • 3.3.1 대지 주변 시설 32
      • 3.3.2 대지 주변 도보 환경 40
      • 3.4 대지에 나타난 공간적 패치워크 43
      • 3.4.1 공간 패치워크 개념 43
      • 3.4.2 동대문 지역의 공간과 시간의 패치워크 44
      • (1) 공간의 패치워크 44
      • (2) 시간의 패치워크 45
      • (3) 공간과 시간의 패치워크 45
      • 3.4.3 동대문 지역의 이미지 패치워크 46
      • 3.5 패치워크를 통한 디자인 콘셉트 도출 53
      • 3.5.1 재료와 로고의 패치워크 53
      • (1) 재료의 패치워크 54
      • (2) 로고의 패치워크 55
      • 3.5.2 디자인 콘셉트 도출 : 스페이스 패치워크 (Space PatchWork) 56
      • 3.6 소결 58
      • 제4장 스페이스 패치워크에 따른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 59
      • 4.1 디자인 콘셉트와 디자인 과정 59
      • 4.1.1 디자인 콘셉트 분석 59
      • 4.1.2 공간 및 패치워크의 물질화 계획 60
      • 4.1.3 콘셉트의 3차원 공간화 과정 61
      • (1) 벽면의 패치워크 활용 61
      • (2) 바닥면의 패치워크 활용 62
      • (3) 벽면과 바닥면의 패치워크 결합 62
      • 4.2 공간 프로그램 64
      • 4.2.1 사이트를 활용한 프로그램 패치워크 계획 64
      • (1) 광장시장 패치워크 프로그램 65
      • (2) 동묘구제시장 패치워크 프로그램 66
      • (3) 창신동 봉제거리 패치워크 프로그램 67
      • 4.2.2 프로그램 패치워크 69
      • 4.2.3 프로그램과 공간의 입체 구상도 71
      • 4.2.4 동선 구성 계획 72
      • 제5장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 실내외 계획안 73
      • 5.1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 외부 디자인 계획 73
      • 5.1.1 입면도 73
      • 5.1.2 주변 대지 콜라주 74
      • 5.2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 내부 디자인 계획 77
      • 5.2.1 배치도 77
      • 5.2.2 평면도 78
      • 5.2.3 단면도 81
      • 5.3 내부 공간 투시도 82
      • 5.3.1 공간 뒷 모습 82
      • 5.3.2 입구 83
      • 5.3.3 1층 전시 & 판매 공간 85
      • 5.3.4 2층 판매 공간 87
      • 5.3.5 1.5층 커스터마이징 샵 88
      • 5.3.6 2.5층 빈티지 스토어 90
      • 5.3.7 3층 카페 & 3.5층 카페 테라스 91
      • 5.3.8 공간의 입체감 투시도 92
      • 5.4 프레젠테이션 패널 93
      • 5.5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통한 최종 공간 모형 94
      • 제6장 결론 97
      • 참고문헌 100
      • ABSTRACT 1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