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인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인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현장답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외부공간 설계가 이루어진 25개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평면도, 위성사진, 관련사진을 수집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으로 희생자 추모, 지역 부대 국가의 명예 고양, 집단적 헌신과 정체성 등을 기본으로 하여 전쟁의 의미와 감정, 한국전쟁의 사실적 묘사 및 상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2.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기념공원이나 광장의 제한된 부지에 조성되어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을 추구하였다. 공간형태 다양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가 축을 이루는 것이 많이 나타났지만 일부 부정형도 있었으며, 공간적 연속성과 같은 간적 질서가 일부 메모리얼에서 나타났다. 3. 조경디테일은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념벽과 기념석,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旗)와 엠블렘 (emblem)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반도 지도 및 태극문양이 한국과 한국전쟁을 상징하기 위해 자주 도입되었으며, 잊혀진 한국전쟁을 기억하고 미군의 한국참전의 타당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Forgotten War(잊혀진 전쟁)'과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가 사용되었다. 4. 조각은 기념성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매체로서 활용되었다. 주로 사실적인 조각이 사용되었고, 일부는 추상적 형태를 갖는 것도 있었으며, 한국전쟁을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Washington D.C. 한국전쟁 참전용사 메모리얼(Korean War Veterans Memorial: KWVM)이나 Minnesota 한국전쟁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 KWM)의 조각은 현대적인 메모리얼의 상징적 매체로서 뛰어났다. 향후 한국과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비교문화적 연구와 설계양식론 관점에서 메모리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the United States(K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25 KWMUS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design conce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the United States(K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25 KWMUS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design concept, spatial form, landscape details, and sculp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in concepts of KWMUS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Korean War, show membership/locality/patriotism, express feelings and the meaning of war, and explain the Korean War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2. Most KWMUS in memorial parks and plazas were designed to pursue the completion of each memorial assuming the form of typical and symmetrical circles and squares. Also, spatial order including spatial sequence was seen in some of KWMUS. 3. Stone walls, stone monument, flags, emblems and paving were used as main landscape details.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aegeuk were often introduced to symbolize Korea and the Korean War, and the symbolic phrase, 'Forgotten War' or 'Freedom is Not Free' were written on the stone to keep the Korean War in the minds of Americans. 4. Sculptures were used as important media to represent the Korean War in a variety of ways. Most of them were formed realistically, except for a few sculptures that aimed to represent the Korean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In particular, the sculptures in Washington D.C. KWVM and Minnesota KWM were remarkable as symbolic media of war memorials in contemporary society.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comparatively KWM in Korea and the U.S. an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WM in the point of design sty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나, "워싱톤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 18 : 1-32, 2002

      2 "동아일보, 2010년 2월 8일"

      3 이상석,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 디테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29 (29): 71-83, 2001

      4 이상석, "경관,조형 & 디자인" 일조각 2005

      5 "http://www.stevensnewsservice.com/pr/pr055.htm"

      6 "http://www.koreanmemorial.org/statues.htm"

      7 "http://www.google.co.kr/"

      8 "http://koreanwarmemorial.sd.gov/"

      9 이상석,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254 : 142-151, 2009

      10 Wasserman, Judith R.,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17 : 42-61, 1998

      1 김영나, "워싱톤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 18 : 1-32, 2002

      2 "동아일보, 2010년 2월 8일"

      3 이상석,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 디테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29 (29): 71-83, 2001

      4 이상석, "경관,조형 & 디자인" 일조각 2005

      5 "http://www.stevensnewsservice.com/pr/pr055.htm"

      6 "http://www.koreanmemorial.org/statues.htm"

      7 "http://www.google.co.kr/"

      8 "http://koreanwarmemorial.sd.gov/"

      9 이상석,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254 : 142-151, 2009

      10 Wasserman, Judith R.,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17 : 42-61, 1998

      11 Lavoie, Caroline, "The wall/ruin:meaning memory in landscape" 4 (4): 27-28, 1998

      12 Jellicoe, G. A., "The Landscape of Symbols. Studies in Landscape design Vol Ⅲ"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13 Whittick, Arnold, "Symbols Signs and Their Meaning" Charles T. Branford Company 1961

      14 Gibson, Clare, "Signs and Symbol" Barns and Noble 1996

      15 Jorgensen, Karsten,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4 (4): 39-47, 1998

      16 Watkins, Zina L., "Memorials: Creating National, State. and Local Memorials" 2008

      17 Potteiger, Matthew, "Landscape Narratives.New" John Wiley & Sons 1998

      18 Schwartz, Barry, "Commemoration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he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42 : 946-967,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