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정 농악의 의례성(儀禮性) 연구 = A Ceremony of the Nongak which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Gangwo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01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신(洞神)을 즐겁게 하여 사람들의 바람을 표현하고, 나아가 원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체의례는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례 속에서 농악대는 제관(祭冠)과 더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

      동신(洞神)을 즐겁게 하여 사람들의 바람을 표현하고, 나아가 원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체의례는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례 속에서 농악대는 제관(祭冠)과 더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고에서는 강원도 지정 무형문화재 농악보존회의 의례 수행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농악대의 의례 내 기능은 신을 청하여 모시는 것과 물리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평창 용평면과 동해 괴란동 공동체의례에서 농악대는 청신(請神) 역할을 한다. 이곳에서는 공통적으로 정초에 서낭제를 지낸 뒤 대보름에 상쇠의 서낭쇠를 연주하며 서낭신을 서낭대에 받는다. 여기서 상쇠는 신을 청할 수 있는 사제자(司祭者)로 기능한다.
      평창 용평면 일대에서는 정초 서낭제를 지내고, 대보름 지신밟기 하기 전까지 농악을 울리지 않는다. 동해 괴란동 역시, 전통적으로 정초부터 대보름 사이에는 절대 농악기를 연주하지 않는다. 마을 사람들은 이 이유가 부정을 타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제천 오티별신제 사례를 견주어 볼 때 이는 쇠소리가 잡귀잡신들을 마을로 불러 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의례와 가신의례 사이에 시간적 공백을 두는 것은 농악대의 의례성과 관련이 있다.
      동해 괴란동에는 2008년까지 섣달그믐과 단오 전날 밤 유교식 제사 형태로 서낭제를 지냈다. 섣달그믐에 나쁜 것을 몰아내기 위한 목적의 섣달그믐 의례가 정초에 좋은 일이 있기를 바라는 의례보다 선행한다고 할 때 두 의례 중 그믐섣달이 먼저 생겼을 것이다. 그리고 섣달에 기원 목적의 유교식 제사에 앞서 한 해 동안 마을에 쌓인 좋지 않은 것들을 정화하는 의미에서의 농악대 제액(除厄) 관련 행위가 있었을 것이다. 그 형태는 이곳의 낙성연 행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낙성연의 핵심은 집안 구석구석을 다니며 악기 소리를 최대한 크게 내는 것이다. 섣달그믐 밤에 이루어진 행위는 낙성연 의례와 같이, 가능한 크게 농악기를 두드리면서 동네 곳곳을 다녔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realize their desire Village people please Village God in community rites. Farmers" band and those who participate in sacrif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ite. In community rites farmers" band who live Yongpyung-myun in Pyungchang and Goe...

      In order to realize their desire Village people please Village God in community rites. Farmers" band and those who participate in sacrif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ite. In community rites farmers" band who live Yongpyung-myun in Pyungchang and Goerandong in Donghae invite a Village God. Village people open 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in the beginning of January in common. Leading gong-player in a folk band is a mediator in the year"s first full moon.
      The People live Yongpyung-myun in Pyungchang hold 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in the beginning of January. On or after the year"s first full moon Farmers" band start performance. The People live Goerandong in Donghae did not perform from the beginning of January to first full moon. Not to suffer bad luck peoples maintain silence.
      The reason why space out community rites and deity of one"s family rites correlate with ceremonial feature of the Farmers" band. The ceremony of the New Year"s Eve of the lunar year which cast away evil spirits precede the ceremony beginning of January which are eager for good thing. That performance form can analogize new house celebration party. The point of the this party is to make a loud noise from cellar to raf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1. 머리말
      • 2.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정 농악의 의례(儀禮) 관련 활동
      • 3. 충북 제천 오티별신제 내 농악의 의례(儀禮) 수행 양상
      • 4. 강원지역 공동체의례 내 농악의 기능
      • 국문개요
      • 1. 머리말
      • 2.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정 농악의 의례(儀禮) 관련 활동
      • 3. 충북 제천 오티별신제 내 농악의 의례(儀禮) 수행 양상
      • 4. 강원지역 공동체의례 내 농악의 기능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