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 교육과정 내 의료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 개정안 연구 = The Revision of Social Work in Health Care Course Guideline in Social Work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0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급성 치료 중심에서 장기적 돌봄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보건의료의 환경변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법정 자격제도 도입이 이루어진 상황을 고려하여, 사회...

      본 연구는 급성 치료 중심에서 장기적 돌봄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보건의료의 환경변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법정 자격제도 도입이 이루어진 상황을 고려하여, 사회복지 교육과정 내 『의료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 개정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시판 중인 11종 교재 분석, 교수 및 의료사회복지사 등 5명의 전문가 대상 초점집단토론 2회, 교수 33명과 의료사회복지사 135명을 대상으로 개정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의료사회복지론』 교과목 개정안에서는 병원 내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넘어 보다 다양한 환경 속에서 보건의료와 사회복지의 협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차시 별로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Social Work in Health Care course guidelines in social work curriculum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from acute care model to health continuum model and the legalization of medical s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Social Work in Health Care course guidelines in social work curriculum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from acute care model to health continuum model and the legaliz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 qualific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ct in Korea. We conducted an analysis of 11 textbooks in Korea, two times of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5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and medical social workers, and web-based survey on 33 professors and 135 medical social workers in order to collect ideas on the revision of course guidelines. In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scope of the course guidelines should include cooperation between healthcare and social welfare in various settings beyond hospit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의료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과 보건의료 환경변화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 Ⅰ. 서 론 Ⅱ. 『의료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과 보건의료 환경변화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권호, "한국의 사회복지 2018-2019" 학지사 481-510, 2019

      2 강순희,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한인영, "의료현장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3

      4 이광재, "의료사회사업원론" 인간과복지 2005

      5 유수현, "의료사회사업론" 양서원 2017

      6 권육상, "의료사회사업론" 유풍출판사 2010

      7 김연수, "의료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제" 나눔의 집 2017

      8 김규수,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형설 2008

      9 조성상, "의료사회복지실천론" 신정 2019

      10 강흥구, "의료사회복지실천론" 정민사 2014

      1 최권호, "한국의 사회복지 2018-2019" 학지사 481-510, 2019

      2 강순희,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한인영, "의료현장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3

      4 이광재, "의료사회사업원론" 인간과복지 2005

      5 유수현, "의료사회사업론" 양서원 2017

      6 권육상, "의료사회사업론" 유풍출판사 2010

      7 김연수, "의료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제" 나눔의 집 2017

      8 김규수,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형설 2008

      9 조성상, "의료사회복지실천론" 신정 2019

      10 강흥구, "의료사회복지실천론" 정민사 2014

      11 윤현숙, "의료사회복지실천론" 나남 2011

      12 이효순, "의료사회복지론" 학지사 2016

      13 김경우, "의료사회복지론" 동문사 2007

      14 최권호, "의료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건강권 증진사업 『보건⋅의료⋅복지 301네트워크』 성과평가"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2021

      15 보건복지부, "의료⋅학교사회복지사 국가자격 제도 시행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12.1)"

      16 윤찬영, "영역별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건복지부 2019

      17 최권호, "보건사회복지 개념과 역할 재구성: 병원을 넘어"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9) : 368-403, 2015

      18 이은경, "보건복지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환경과 실행자의 역할 - 두 시범사업에 대한 E-S모델의 적용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55-183, 2010

      19 석희태, "보건과 보건의료 용어에 관한 재고"

      20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40년사" 2013

      21 竹中麻由美, "医療福祉事業の現状-状 医療ソーシャルワークを巡" (増刊) : 237-248, 2009

      22 杉山明伸, "医療ソーシャルワーカーのSense of Coherenceとその関連要因の検討" 20 : 1-18, 2018

      23 Pockett, R, "‘Health in all Placements’as a Curriculum Strategy in Social Work Education" 33 (33): 731-743, 2014

      24 Berger, C. 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hange on social work staffing in a hospital setting : A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work in hospitals" 37 (37): 1-18, 2003

      25 Berkman, B, "The emerging health care worl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41 (41): 541-551, 1996

      26 Neuman, K,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reengineering on job satisfaction for staff in hospital social work departments" 36 (36): 19-33, 2003

      27 Nam, S. I., "Role changes of hospital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58 (58): 703-717, 2019

      28 Cederbaum, J. A., "Public health social work as a unifying framework for social work’s grand challenges" 64 (64): 9-18, 2019

      29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4"

      30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Standards for Social Work Practice in Health Care Settings" NASW Press 2016

      31 Judd, R. G., "Hospital social work : Contemporary roles and professional activities" 49 (49): 856-871, 2010

      32 Gehlert, S., "Handbook of health social work" John Wiley and Sons 3-19, 2012

      33 Westerhuis, A, "European Structures of Qualification Levels: Reports on Recent Developments in Germany, Spain, France, the Netherlands and in the United Kingdom(England and Wales). Volume II"

      34 Barbour, R., "Doing focus groups" SAGE Publications 2007

      35 Browne, T., "Advancing social work education for health impact" 107 (107): S229-S235, 2017

      36 Mizrahi, T., "A longitudinal look at social work leadership in hospitals : The impact of a changing health care system" 30 (30): 155-165, 2005

      37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1-2022년도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38 행정안전부, "2020년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구축사업: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매뉴얼"

      39 우정엽, "2020 미국 대선 전망과 후보간 정책 비교" 2020

      4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년 국민건강보험 통계연보"

      41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2015 Educational policy and accreditation standards for baccalaureate and master’s social work program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1.1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