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성의 양육 참여와 평등한 부모 역할의 의미 구성 = 육아휴직제도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3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돌보는 아버지’의 의미를 성 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남성의 자녀 양육 참여는 핵가족화 경향 및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돌보는 아버지’의 의미를 성 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남성의 자녀 양육 참여는 핵가족화 경향 및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와 같은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와 맞물린 시대적 요청의 결과인 동시에, 친밀성에 대한 남성들의 요구가 가족 관계에서의 평등주의적 태도와 결합하면서 나타난 변화이다. 이에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남성들의 부성 실천 과정에서 드러나는 부모 역할에서의 평등 의미를 분석하고자, 육아휴직제도 사용 경험이 있거나 현재 휴직 중인 30-40대 아버지들을 심층면접 하였다.
      육아휴직제도를 사용한 남성들은 좋은 생계부양자이면서 좋은 양육자가 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체득하게 되며, 돌봄의 주체로 인식되는 것은 일종의 낙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좋은 아버지’, ‘좋은 남편’이 되기 위한 노력의 조건으로서 ‘돌봄’을 ‘선택’한다. 자녀를 돌보는 데 적극적인 남성이라 하더라도 그들이 인식하는 만큼 배우자와의 양육 분담이 균등하게 분배되지는 않게 되는 가운데, 오늘날의 젊은 아버지들은 ‘합리적’ 선택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성 평등한 부성을 실천하고 있다고 여기게 된다.
      합리적 양육 분담에 대한 믿음은 자녀 양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적 상황을 일시적으로 무마하는 데 유용하지만, 평등한 양육 참여와 책임에 관한 남성들의 소극적 이해는 가족 관계에서의 불평등을 은폐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드러나는 불균등한 균열의 지점에 주목하고, 돌봄을 둘러싼 지속적인 갈등과 협상 과정이야말로 평등한 가족 관계를 담보하는 요건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aring fathers” that comes to the fore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men’s parental leave. Men’s care involvement is not only the responses to various changes in family life, such as the nucleari...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aring fathers” that comes to the fore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men’s parental leave. Men’s care involvement is not only the responses to various changes in family life, such as the nuclearized family structure and the increase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but also the results from combining men’s desire for intimacy with the egalitarian attitude in family relationships. To analyze the meaning of equal parenting revealed from the practices of fathers who care for their child(ren) actively, in-depth interviews are made targeting for men of 30-40s who have used the parental leave or are using it.
      During the parental leave, men come to realize it is impossible to be a good breadwinner and good carer at the same time, and they worry that it can be a kind of stigma to be regarded as a primary carer. However, men choose the care to prove their efforts to be a good father and a good husband. Even though men try to involve the care eagerly, actual distribution of caring responsibility is skewed toward women, and yet young fathers think they practice gender equality in fatherhood based on the belief in “rational” choice.
      The belief in rationally shared care-involvement is useful to cover up the conflicts occurring in process of caring temporarily, but men’s narrow understanding of equal involvement and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raises the possibility for concealing the inequality in family relationshi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nequable cracks of parenting and regard the continuous conflicts and negotiations as the requirements for stable and equal family relationshi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이론적 논의
      • 3.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 4. 노동중심성을 맴도는 ‘도전’: 남성의 육아휴직을 둘러싼 쟁점들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이론적 논의
      • 3.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 4. 노동중심성을 맴도는 ‘도전’: 남성의 육아휴직을 둘러싼 쟁점들
      • 5. 양육 참여에 기반한 평등한 부모노릇의 구성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정, "후기 근대적 위기와 ‘돌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차가운 근대 cold modern'에서 ’따뜻한 근대 warm modern' 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71-97, 2006

      2 조윤경,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 재구성" 한국가족학회 23 (23): 169-205, 2011

      3 함인희, "현대사회 아버지상의 재발견" 2 : 1-24, 1997

      4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5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6 김두섭,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 2010

      7 한경혜, "중년기 남성의 역할 중요도와 일/가족 갈등" 10 (10): 93-113, 1998

      8 이숙현, "전문직 남성의 아버지 역할: 교수・의사를 중심으로" 13 (13): 31-50, 2001

      9 조선비즈, "재정부 사무관, 육아휴직 해놓고 해외유학?"

      10 강이수,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한울 2009

      1 조혜정, "후기 근대적 위기와 ‘돌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차가운 근대 cold modern'에서 ’따뜻한 근대 warm modern' 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71-97, 2006

      2 조윤경,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 재구성" 한국가족학회 23 (23): 169-205, 2011

      3 함인희, "현대사회 아버지상의 재발견" 2 : 1-24, 1997

      4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5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6 김두섭,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 2010

      7 한경혜, "중년기 남성의 역할 중요도와 일/가족 갈등" 10 (10): 93-113, 1998

      8 이숙현, "전문직 남성의 아버지 역할: 교수・의사를 중심으로" 13 (13): 31-50, 2001

      9 조선비즈, "재정부 사무관, 육아휴직 해놓고 해외유학?"

      10 강이수,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한울 2009

      11 김영옥,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 고용노동부 2013

      12 홍승아,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13 이나련, "연령대에 따른 기혼 남성의 생계 부양자 역할 의식" 한국가족관계학회 6 (6): 21-41, 2001

      14 조윤경,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실현과정을 통해 본 가족복지정책 이념의 재구조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9-56, 2012

      15 이지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61-89, 2009

      16 조주은, "신자유주의 시간압박 문화와 기혼여성노동자" 49 : 66-77, 2007

      17 제이콥스, "시간을 묻다: 노동 사회와 젠더" 한울 2010

      18 "성 인지 통계정보시스템"

      19 이영환, "생산적인 아버지 노릇과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발달적 결과: 단기종단적 연구" 22 (22): 65-76, 2001

      20 신경아,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담론적 지형과 변화" 한국여성학회 23 (23): 5-45, 2007

      21 신경아, "산업화 세대의 일 중심적 삶 :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17 (17): 239-276, 2011

      22 통계청, "사회조사보고서" 2009

      23 통계청, "사회조사보고서" 2011

      24 박선영, "비정규직 여성근로자 모성보호강화 방안" 보건복지부 2011

      25 한희정, "부성회복 리얼리티 프로그램 <아빠! 어디가?>(MBC) 수용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61-186, 2013

      26 "법제처"

      27 러딕, 사라, "모성적 사유" 철학과 현실사 2002

      28 이재경, "노동자계급 여성의 어머니 노릇(mothering)의 구성과 갈등: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2 (12): 82-117, 2004

      29 이재인, "노동권과 부모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보육정책" 한국가족학회 18 (18): 67-88, 2006

      30 홍승아, "남성의 육아휴직 이용경험을 통해서 본 “동등한 부모역할(equal parenthood)”의 가능성과 한계" 서울대학교 2014

      31 홍승아, "남성의 육아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32 김진희, "남성의 아버지 역할 수행과 유능감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남성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3-123, 2005

      33 김혜영, "남성의 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34 강혜경,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경험과 성별관계의 변화: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실천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0 (30): 133-167, 2013

      35 장지연, "남성 육아휴직 활용실태와 정책방향" 36-37, 2014

      36 이숙현,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1 (21): 1-28, 2009

      37 우명숙, "과잉노동사회의 일-생활의 불균형: 생애과정 접근으로 본 젠더화된 대응과 변동" 한국가족학회 23 (23): 127-160, 2011

      38 "고용노동부"

      39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 가족과 페미니즘" 또 하나의 문화 2003

      40 이재인, "가사노동 참여에 관한 한국 대기업 남성들의 경험과 인식: S재벌 직장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119-134, 2010

      41 Barker, G., "“Men, Families, Gender Equality and Care Work”. Men in Families and Family Policy in a Changing World"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Division for 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United Nations

      42 Doucet, A, "‘There’s a Huge Gulf between Me as a Male Care and Women’: Gender, Domestic Responsibility, and the Community as an Institutional Arena" 3 (3): 163-184, 2000

      43 Donaldson, M, "What is Hegemonic Masculinities?" 22 (22): 643-657, 1993

      44 Crittenden, A., "The Price of Motherhood: Why the Most Important Job in the World is Still the Least Valued" Metropolitan Books 2001

      45 Townsend, N. W., "The Package Deal: Marriage, work, and fatherhood in men’s lives"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46 Connell, R. W., "The Men and the Boy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47 Dowd, N. E., "The Man Question: Male Subordination and Privileg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0

      48 Hochschild, A. R., "The Commercialization of Intimate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49 Doucet, A., "Stay-at-home Fathering: A Strategy for Balancing Work and Home in Canadian and Belgian Families. Community" 10 (10): 455-473, 2007

      50 Daly, K, "Reshaping Fatherhood: Finding the Models" 14 (14): 510-530, 1993

      51 Dowd, N. E., "Redefining Fatherhood"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52 Cohen, T. F, "Men, Work, and Family" Sage 1993

      53 Hanlon, N., "Masculinities, Care and Equality: Identity and Nurture in Men’s Lives" Palgrave Macmillan 2012

      54 Gillis, J. R, "Marginalization of Fatherhood in Western Countries" 7 (7): 225-238, 2000

      55 Miller, T., "Making Sense of Fatherhood: Gender, Caring and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56 Bianchi, S. M.,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79 (79): 191-228, 2000

      57 Stacey J., "In the Name of the Family: Rethinking Family Values in the Postmodern Age" Beacon Press 1996

      58 Haataja, A., "Father’s Parental Leaves and Participation in Childcare in Finland"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59 Haas, L., "Fatherhood:Inter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2012

      60 Coltrane, S., "Family Man: Housework and Gender E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1 Doucet, A., "Do Men Mother?: Fathering, Care, and Domestic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6

      62 Featherstone, B., "Contemporary Fathering: Theory, Policy and Practice" Policy Press 2009

      63 Kimmel, M. S, "Changing Men: New Directions in Research on Men and Masculinity" Sage 1987

      64 Pleck, J. H, "Changing Men: New Directions in Research on Men and Masculinity" Sage 1987

      65 Fraser, N, "After the Family Wage: Gender Equity and the Welfare State" 22 (22): 591-618, 1994

      66 통계청, "2012년 3분기 지역별고용조사 잠정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2 1.42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5 1.76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