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채식주의 고3 남학생들의 Na, K 섭취수준과 스트레스가 혈압과 뇨중 Na, K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a, K intake and stress level on blood pressur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in third-grade lacto-ovo vegetarian male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76252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94.1 판사항(3)

      • DDC

        641.1 판사항(15)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61p.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인병이 점차 10대 청소년들에게도 문제시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채식주의(lacto-ovo vegetarian)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스트레스, 나트륨·칼륨 섭취 수준이 뇨중 나트륨·칼륨 배설량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채식을 하는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 식이 섭취량, 염미도, 스트레스 및 24시간 뇨중 배설량을 측정하고 이들과 혈압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7.74세였으며 BMI의 평균값은 20.44, Ro¨hrer 지수는 119.10, 그리고 평균 혈압은 112.25/70.50mmHg를 나타내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1일 평균 섭취 열량은 2676.83Kcal, 나트륨은 155.10mEq, 칼륨은 49.36mEq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최적 염미 농도 평균치는 0.42%로 0.4-0.5% 농도가 가장 좋다고 한 대상자가 66.7%를 차지하였으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71.4%로 가장 많았다. 한편 염미도 및 스트레스와 혈압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트륨 섭취량과 나트륨/칼륨 섭취 비율 간에, 뇨중 나트륨 배설량과 뇨중 칼륨 배설량 간에 각각 유의적인(P<0.01) 정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뇨중 나트륨/칼륨 배설 비율과 최적 염미도 간에 유의적인(p<0.05)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수축기 혈압과 BMI 및 Ro¨hrer 지수, 이완기 혈압과 BMI 간에는 유의적인(p<0.05) 정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이완기 혈압과 Ro¨hrer 지수 간에도 유의적인(p<0.01) 정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 결과는 연구 대상자들이 채식주의자들로서 나트륨 섭취량과 뇨중 배설량이 한국인 적정 범위에 속하였으며, 염미도와 스트레스 수준이 혈압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은 대상자들 모두가 정상 혈압자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성인병이 점차 10대 청소년들에게도 문제시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채식주의(lacto-ovo vegetarian)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스트레스, 나트륨·칼륨 섭취 수준이 뇨중 나트륨·칼륨 배설�...

      성인병이 점차 10대 청소년들에게도 문제시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채식주의(lacto-ovo vegetarian)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스트레스, 나트륨·칼륨 섭취 수준이 뇨중 나트륨·칼륨 배설량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채식을 하는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 식이 섭취량, 염미도, 스트레스 및 24시간 뇨중 배설량을 측정하고 이들과 혈압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7.74세였으며 BMI의 평균값은 20.44, Ro¨hrer 지수는 119.10, 그리고 평균 혈압은 112.25/70.50mmHg를 나타내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1일 평균 섭취 열량은 2676.83Kcal, 나트륨은 155.10mEq, 칼륨은 49.36mEq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최적 염미 농도 평균치는 0.42%로 0.4-0.5% 농도가 가장 좋다고 한 대상자가 66.7%를 차지하였으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71.4%로 가장 많았다. 한편 염미도 및 스트레스와 혈압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트륨 섭취량과 나트륨/칼륨 섭취 비율 간에, 뇨중 나트륨 배설량과 뇨중 칼륨 배설량 간에 각각 유의적인(P<0.01) 정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뇨중 나트륨/칼륨 배설 비율과 최적 염미도 간에 유의적인(p<0.05)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수축기 혈압과 BMI 및 Ro¨hrer 지수, 이완기 혈압과 BMI 간에는 유의적인(p<0.05) 정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이완기 혈압과 Ro¨hrer 지수 간에도 유의적인(p<0.01) 정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 결과는 연구 대상자들이 채식주의자들로서 나트륨 섭취량과 뇨중 배설량이 한국인 적정 범위에 속하였으며, 염미도와 스트레스 수준이 혈압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은 대상자들 모두가 정상 혈압자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geriatric diseases are gradually problematic in the teenage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Na, K intake and stress level on blood pressur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in third grade lacto-ovo vegetarian male high school students. Twenty-one lacto-ovo vegetarian high school third grade male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ir physical state, salt sensitivity, stress level, dietary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were measured follow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ses factors, and blood press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7.74 yrs, and the average score of BMI was 20.44. The average score of Ro¨hrer was 119.10, and that of blood pressure was 112.25/70.5OmmHg. All of these were in a normal range. Daily caloric intake was 2676.83Kcal and Na, K intakes were 152.76mEq, and 49.36mEq respectively.
      2 The most favored salt level was 0.42%, and 0.4-0.5% was the foremost(66.7%) among subjects. Also, 71.4% of subjects were susceptible to the disease associated with stress.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salt level and stress, blood pressure was observed.
      3.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Na intake and Na/K intake ratio, urinary Na excretion and urinary K excretion rate were shown(p<0.001),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st favored salt level and urinary Na/K excretion ratio.
      Also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BMI/Ro¨hrer score as well as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MI were observed(p>0.05). The diastolic bleed pressure possess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o¨hrer score(p<0.01)
      These results reveled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had dietary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within a normal range of Koreans. The most favored salt level and str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blood pressure of subjects and this may be due the fact that these subject had normal near bleed pressure.
      번역하기

      While the geriatric diseases are gradually problematic in the teenage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Na, K intake and stress level on blood pressur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in third grade lacto-ovo vegetarian male h...

      While the geriatric diseases are gradually problematic in the teenage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Na, K intake and stress level on blood pressur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in third grade lacto-ovo vegetarian male high school students. Twenty-one lacto-ovo vegetarian high school third grade male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ir physical state, salt sensitivity, stress level, dietary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were measured follow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ses factors, and blood press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7.74 yrs, and the average score of BMI was 20.44. The average score of Ro¨hrer was 119.10, and that of blood pressure was 112.25/70.5OmmHg. All of these were in a normal range. Daily caloric intake was 2676.83Kcal and Na, K intakes were 152.76mEq, and 49.36mEq respectively.
      2 The most favored salt level was 0.42%, and 0.4-0.5% was the foremost(66.7%) among subjects. Also, 71.4% of subjects were susceptible to the disease associated with stress.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salt level and stress, blood pressure was observed.
      3.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Na intake and Na/K intake ratio, urinary Na excretion and urinary K excretion rate were shown(p<0.001),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st favored salt level and urinary Na/K excretion ratio.
      Also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BMI/Ro¨hrer score as well as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MI were observed(p>0.05). The diastolic bleed pressure possess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o¨hrer score(p<0.01)
      These results reveled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had dietary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within a normal range of Koreans. The most favored salt level and str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blood pressure of subjects and this may be due the fact that these subject had normal near bleed press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1
      • I. 서론 = 3
      • II. 연구 내용 및 방법 = 8
      • 1. 연구 대상 및 기간 = 8
      • 목차
      • 국문요약 = 1
      • I. 서론 = 3
      • II. 연구 내용 및 방법 = 8
      • 1. 연구 대상 및 기간 = 8
      • 2. 연구 내용 = 8
      • 3. 연구 방법 = 9
      • 1) 식이 섭취 조사 및 식이 수거 = 9
      • 2) 24시간 뇨 수집 = 9
      • 3) 신체 계측 = 9
      • 4) 혈압 측정 = 10
      • 5) 최적 염미도 조사 = 10
      • 6) 스트레스 상태 조사 = 11
      • 4. 시료의 사전 처리 및 분석 = 11
      • 1) 식이 섭취 조사 = 11
      • 2) 식이 나트륨, 칼륨 분석 = 12
      • 3) 24시간 뇨 분석 = 12
      • 5. 통계 분석 = 12
      • III. 연구결과 = 14
      •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사항 = 14
      • 2. 식이 섭취 조사 결과 = 14
      • 1) 영양소 섭취 실태 = 14
      • ① 열량 및 영양소 섭취 = 17
      • ② 나트륨, 칼륨의 섭취 = 17
      • 3. 24시간 뇨 분석 결과 = 17
      • 4. 최적 염미도 조사 결과 = 18
      • 5. 스트레스 상태 조사 결과 = 18
      • 6. 나트륨, 칼륨 섭취와 뇨중 배설량과의 상관 관계 = 22
      • 7. 나트륨, 칼륨, 염미도, 스트레스와 혈압과의 관계 = 22
      • IV. 고찰 = 27
      •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사항 = 27
      • 2. 식이 섭취 조사 = 28
      • 3. 24시간 뇨 분석과 여러 요인과의 상관 관계 = 30
      • 4. 최적 염미도 조사 = 32
      • 5. 스트레스 상태 조사 = 33
      • 6. 나트륨, 칼륨, 염미도, 스트레스와 혈압과의 관계 = 34
      • V. 결론 = 38
      • 참고문헌 = 40
      • APPENDIX = 57
      • ABSTRACT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