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맞춰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공헌’이 목적인 CSR은 기업의 재무적 상황에 따라 지속하지 어려운 ...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맞춰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공헌’이 목적인 CSR은 기업의 재무적 상황에 따라 지속하지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산업계 및 학계에서는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여 왔다. pro bono CSR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통적 CSR 행태에서 진화하였다.
Pro bono CSR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지만, 아직 pro bono CSR에 대한 학술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pro bono CSR이 잘 정착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pro bono CSR 참여에 따른 기업의 효익(직원과 기업의 성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아직 pro bono CSR 구성개념의 명확한 구정정의 및 조작화, 선행 및 결과변수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부족하며 따라서 pro bono CSR 이론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pro bono CSR의 이론 개발에 기여하고 기업의 CSR 실무자들에게 pro bono CSR 추진 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1) pro bono CSR 개념의 구성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2) pro bono CSR의 결과 변수로서 참여직원의 심리적 상태 변화와 업무 성과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3) pro bono CSR과 그 결과변수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임직원 중 pro bono CSR 참여 경험이 있는 임직원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pro bono CSR이 직원의 긍정적 심리상태 변화(임파워먼트)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가 pro bono CSR과 참여 직원의 업무 성과(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pro bono CSR과 참여직원의 업무 성과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직원의 입장에서 pro bono CSR이 현업에서 수행하는 직무와 CSR의 특성을 동시에 가짐에 주목하여, pro bono CSR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직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과정을 직무특성모형과 임파워먼트 이론을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실증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에게 pro bono의 가치를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pro bono CSR의 직무특성을 고려하여 업무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핵심되는 말: pro bono CSR,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 직무특성모형, 이해관계자 이론, 사회교환적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