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무관련 재능기부 사회적 책임활동 (Pro Bono CSR)이 참여직원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10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 bono CSR i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pro bono CSR. In the previous study, the case of pro bono CSR was well established and explained the benefits of the company.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and manipulation of the pro bono CSR concept and no empirical studies on the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and compan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pro bono CSR b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present the constitutional definition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pro bono CSR concept; (2) to change the psychological state of participating employees as the outcome variable of pro bono CSR (3)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 bono CSR and its outcome variables.
      This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pro bono CSR employees in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confirming that pro bono CSR induces empowerment of employe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empower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 bono CSR and employee performances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ro bono CSR has the characteristics of job and CSR at the same time, and this study logically explains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empowerment between pro bono CSR and employee performances based on job characteristic model and empowerment theor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maximizing business value by logically presenting the value of pro bono to corporations and consideri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pro bono CSR.

      Key words: pro bono CSR,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haracteristics model, stakeholder theory, social exchange theory
      번역하기

      Pro bono CSR i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pro bono CSR. In the previous study, the case of pro bono CSR was well established and explained the benefits of the company.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and man...

      Pro bono CSR i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pro bono CSR. In the previous study, the case of pro bono CSR was well established and explained the benefits of the company.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and manipulation of the pro bono CSR concept and no empirical studies on the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and compan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pro bono CSR b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present the constitutional definition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pro bono CSR concept; (2) to change the psychological state of participating employees as the outcome variable of pro bono CSR (3)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 bono CSR and its outcome variables.
      This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pro bono CSR employees in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confirming that pro bono CSR induces empowerment of employe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empower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 bono CSR and employee performances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ro bono CSR has the characteristics of job and CSR at the same time, and this study logically explains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empowerment between pro bono CSR and employee performances based on job characteristic model and empowerment theor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maximizing business value by logically presenting the value of pro bono to corporations and consideri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pro bono CSR.

      Key words: pro bono CSR,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haracteristics model, stakeholder theory, social exchange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맞춰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공헌’이 목적인 CSR은 기업의 재무적 상황에 따라 지속하지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산업계 및 학계에서는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여 왔다. pro bono CSR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통적 CSR 행태에서 진화하였다.
      Pro bono CSR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지만, 아직 pro bono CSR에 대한 학술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pro bono CSR이 잘 정착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pro bono CSR 참여에 따른 기업의 효익(직원과 기업의 성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아직 pro bono CSR 구성개념의 명확한 구정정의 및 조작화, 선행 및 결과변수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부족하며 따라서 pro bono CSR 이론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pro bono CSR의 이론 개발에 기여하고 기업의 CSR 실무자들에게 pro bono CSR 추진 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1) pro bono CSR 개념의 구성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2) pro bono CSR의 결과 변수로서 참여직원의 심리적 상태 변화와 업무 성과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3) pro bono CSR과 그 결과변수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임직원 중 pro bono CSR 참여 경험이 있는 임직원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pro bono CSR이 직원의 긍정적 심리상태 변화(임파워먼트)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가 pro bono CSR과 참여 직원의 업무 성과(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pro bono CSR과 참여직원의 업무 성과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직원의 입장에서 pro bono CSR이 현업에서 수행하는 직무와 CSR의 특성을 동시에 가짐에 주목하여, pro bono CSR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직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과정을 직무특성모형과 임파워먼트 이론을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실증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에게 pro bono의 가치를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pro bono CSR의 직무특성을 고려하여 업무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핵심되는 말: pro bono CSR,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 직무특성모형, 이해관계자 이론, 사회교환적 이론
      번역하기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맞춰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공헌’이 목적인 CSR은 기업의 재무적 상황에 따라 지속하지 어려운 ...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맞춰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공헌’이 목적인 CSR은 기업의 재무적 상황에 따라 지속하지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산업계 및 학계에서는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여 왔다. pro bono CSR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통적 CSR 행태에서 진화하였다.
      Pro bono CSR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지만, 아직 pro bono CSR에 대한 학술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pro bono CSR이 잘 정착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pro bono CSR 참여에 따른 기업의 효익(직원과 기업의 성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아직 pro bono CSR 구성개념의 명확한 구정정의 및 조작화, 선행 및 결과변수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부족하며 따라서 pro bono CSR 이론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pro bono CSR의 이론 개발에 기여하고 기업의 CSR 실무자들에게 pro bono CSR 추진 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1) pro bono CSR 개념의 구성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2) pro bono CSR의 결과 변수로서 참여직원의 심리적 상태 변화와 업무 성과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3) pro bono CSR과 그 결과변수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임직원 중 pro bono CSR 참여 경험이 있는 임직원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pro bono CSR이 직원의 긍정적 심리상태 변화(임파워먼트)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가 pro bono CSR과 참여 직원의 업무 성과(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pro bono CSR과 참여직원의 업무 성과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직원의 입장에서 pro bono CSR이 현업에서 수행하는 직무와 CSR의 특성을 동시에 가짐에 주목하여, pro bono CSR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직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과정을 직무특성모형과 임파워먼트 이론을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실증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에게 pro bono의 가치를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pro bono CSR의 직무특성을 고려하여 업무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핵심되는 말: pro bono CSR,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 직무특성모형, 이해관계자 이론, 사회교환적 이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