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어말하기 능력향상을 위한 3분 스피치 활용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6105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420.7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7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해동
        참고문헌: p.58-61

      • 소장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세계화·국제화시대에 사회가 요구하는 개인의 외국어 구사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위해 초급의 영어 학습자에게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을 ...

      본 연구는 최근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세계화·국제화시대에 사회가 요구하는 개인의 외국어 구사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위해 초급의 영어 학습자에게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을 주고 자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말하기 교육을 초급단계 부터 활성화시켜 학습자들이 말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 중급 이상 학습자들의 말하기 활동으로 주로 사용하는 구두발표를 ‘3분 스피치’로 초급단계인 중학교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도봉구 소재의 한 여자 중학교 학생 128명으로 ‘Tell us about your friend'라는 주제에 대한 발표를 통해 사전 평가하여 27명을 실험집단을 선정하였다. 이들에게는 4회에 해당하는 발표주제를 주고 이를 준비하여 발표하도록 하고 나머지 101명의 통제집단에게는 이를 듣고 동료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의 3분 스피치활동 평가와 사전/사후 평가를 위해 사용한 교사 평가지, 5점 척도로 구성되어 학습자들의 평소 말하기 수업에 대한 인식과 3분 스피치의 효과를 묻는 사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해서는 SPSS.12.0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분석, 대응비교 t-test, 독립비교 t-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검증하여 얻어지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소 영어와 영어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영어를 잘하고 싶은 열망은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자신의 영어 수행능력에 있어서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으며 말하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능력부족, 소극적 성격 등으로 역시 자신감 부족이 영어 말하기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영어 환경에 대해서는 학교 이외의 장소에서 영어로 말할 기회가 자주 없거나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 현실적으로도 영어 말하기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활동 사전/사후 평가 결과, 약 8점 이상의 점수 향상이 나타나 말하기 3분 스피치가 말하기 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3분 스피치 실시 후에 학습자들의 반응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은 말하기 이외의 여러 영역에서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이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듣기 연습에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나 동료 발표의 청취가 듣기 훈련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분 스피치 후에 영어에 대한 자신감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반응이 훨씬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심층 면담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의 영어실력이 부족해 처음에는 3분 스피치에 대한 부담을 느꼈으나 발표를 통해 자신감을 얻었고 지속적으로 이 활동을 해나간다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느낀 우리나라 영어 말하기 교육의 문제점은 영어 말하기에 대한 기회부족과 학습자의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초급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초급의 학습자들에게도 다양한 말하기 활동을 통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자신감을 갖게 하여야 한다. 둘째, 문장암기나 인위적인 이야기를 통한 말하기가 아니라 좀 더 의미있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자신과 관련된 말하기를 지도하여야 한다. 셋째, 부족한 영어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말하기 활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업에서 활발한 말하기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우리사회가 요구하는 영어구사력을 갖춘 인재 개발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English speaking ability through oral presentation of one's personally related short story to others rather than memorizing just simple indifferent sentences. Thereby giving confidence crucial to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English speaking ability through oral presentation of one's personally related short story to others rather than memorizing just simple indifferent sentences. Thereby giving confidence crucial to English learning students at the beginner's level who wants to improve their spoken ability to meet the society's needs of the recent fast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ociety.
      In usual English class or in any language class, reading, writing, hearing and speaking should be integrated. But this is not the case in Korea's English class. Korea's class is crippled due to focused lesson only on the College Entrance Exam that excludes any evaluation on spoken language. The crowded classrooms, the lacking English class hours and the lack of English speaking teachers hinders desperately needed speaking lessons. So it was thought that if students were provided with chances to speak English in their early stages then their fear and hesitation in speaking English would drastically be reduced. Therefore, the oral presentation to enhance the spoken English is applied to the beginning level students as '3 minutes speech' and its effects are studi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normal perception of the students with regard to the English and English lessons? Second, What changes are there in students speaking abilities after the presentation of 3 minute speech? Third, what are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after the presentation of 3 minute speech? Forth, what is the daily life spoken English environment experienced by the students like?
      The subjects studied were 128 female students at a Girl's Middle School located at Dobong-Gu, Seoul where speaking lessons were vaguely done, limited only between the classmates with sentences provided in the text book. 27 students who either volunteered for the research or willingly accepted the offer to make a speech became the research group and the remaining 101 students as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SPSS.12.0K and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spondence comparison t-test, independent comparison t-verification, cross analysis with the significance level at 0.05.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desire to do well in spoken English were high versus their own assessment in the ability to speak were low. This is due to the lack of confidence in English resulting from having hardly any chance to speak in class or elsewhere and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 to learn spoken English was unfavorable. But after experiencing the 3 minutes speeches, there were clearly proven positive effects in both gaining confidence and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speak and listen English in both groups. In particular, the research group showed evident improvement in gaining confidence in English.
      The problems identified from this study are that the students had wrong perception of their speaking ability and lacked confidence an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current spoken English lessons. Hence, it is suggested that the beginner level students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frequent chances to speak English which allows them to gain confidence and that spoken English lessons should actively be pursued in the classes as English class hours are insufficient.
      If the identified problems are solved and the suggestion is adopted, it would positively affect in developing fluent foreign language speaking personnel fit for the international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필요성 = 2
      • 1.3 논문의 구성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필요성 = 2
      • 1.3 논문의 구성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2.1. 말하기 교육 = 5
      • 2.1.1 말하기 능력의 개념 = 5
      • 2.1.2 말하기 학습단계 = 8
      • 2.1.3 말하기 지도원칙 = 9
      • 2.2 구두발표의 특징 = 10
      • 2.2.1 구두발표의 유형 = 10
      • 2.2.2 구두발표 활동 = 11
      • 2.2.3 구두발표에 대한 선행연구 = 13
      • 2.3 말하기의 평가 = 15
      •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 19
      • 3.1 연구과제 = 19
      • 3.2 연구대상 = 19
      • 3.3 연구도구 = 20
      • 3.3.1 발표주제 = 21
      • 3.3.2 3분 스피치 발표에 대한 교사 평가지 = 21
      • 3.3.3 3분 스피치 발표에 대한 동료 평가지 = 22
      • 3.3.4 사후 설문지 = 22
      • 3.3.5 심층 면담 질문지 = 23
      • 3.4 연구절차 및 자료 처리방법 = 23
      • 3.4.1 연구절차 = 23
      • 3.4.2 자료 처리방법 = 24
      • 3.5 연구의 제한점 = 25
      • 제4장 연구결과 = 26
      • 4.1 영어와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결과 = 26
      • 4.1.1 영어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 26
      • 4.1.2 영어수업에 대한 의견 = 30
      • 4.2 일상생활에서의 영어 말하기환경에 대한 결과 = 34
      • 4.3 3분 스피치 활동 전, 후 말하기 변화 = 38
      • 4.4 3분 스피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활동에 대한 결과 = 41
      • 4.5 3분 스피치 발표에 대한 학생 심층 면담 결과 분석 = 48
      • 제5장 결론 = 52
      • 5.1 연구결과 = 52
      • 5.2 제언 = 56
      • 참고문헌 = 58
      • 부록 = 62
      • 부록 1 Questionnaire (설문지) = 62
      • 부록 2 3분 스피치 교사평가지 = 67
      • 부록 3 3분 스피치 동료 평가지 = 68
      • 부록 4 학생 심층 면담 질문지 = 69
      • ABSTRACT =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