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곡류 및 채소, 과일 섭취의 증가가 청소년의 체내 항산화능 개선 및 스트레스, 배변습관 개선에 미치는 영향 :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perceived stress and improved bowel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4565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학영양학과 , 2012. 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9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유경
        참고문헌 : p.63-69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식이를 하는 대조군과 현미와 채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채식체험군에 대하여 영양 상태를 비교하여 보고 일정 기간 동안의 채식이 체내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지 또한 채식으로 인하여 장 활동의 개선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최근 풍부한 채소와 과일 섭취를 하는 채식인의 식이는 체내 항산화능을 향상 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채식과 항산화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지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동물성 식품을 선호하고 가공식품에 쉽게 노출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항산화능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현미 및 채식위주의 영양중재가 항산화 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참여 학생을 선정하여 대조군(n=18명, 남=12, 여=6)과 채식체험군(n=25, 남=9, 여=16)으로 무작위 배정으로 구분하였고 중재기간인 8주를 기준으로 신체계측, 혈액분석 (일반혈액지표: Hb, Hct, RBC, 혈중무기질지표: Fe, Ca, 항산화능 지표: d-ROMs, BAP), 항산화식품섭취빈도조사, Rome Ⅲ 진단기준(constipation module)에 따른 배변습관 관련 설문조사를 연구 시작 전과 후 총 2회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혈액분석 결과 대조군에서Hct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 0.05), 채식체험군에서Hb, Hct, RB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 < 0.05) 두 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한편 항산화능 지표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d-ROMs은 대조군에서 전과 후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채식체험군에서 연구 시작 시 308.96±78.6(CARR U) 경계치에서 283.57±55.06(CARR U) 정상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BAP값은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 < 0.001). 채소와 과일만을 항목으로 연구 개발한 항산화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를(35항목) 통하여 식이섭취를 분석한 결과 채식체험군에서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A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01) 이에 따라 β카로틴의 섭취량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배변습관 관련 설문조사 결과로는 채식체험군에서 연구 시작 시 기능성변비로 진단되었던 학생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1). 본 연구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항산화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많은 채소와 과일의 섭취가 다량의 항산화 물질의 섭취로 이어져 체내의 항산화 상태를 높여주고, 이러한 영향은 체내에서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생성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채식 식습관이 동물성식품이나 다양한 가공식품을 접했던 학생들보다 체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수분과 섬유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식 식습관이 장 활동에 도움을 주어 배변습관이 완화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채소와 과일 위주의 식습관이 불규칙한 식사나 가공식품 및 패스트푸드의 이용증가 등의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변통을 갖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식이를 하는 대조군과 현미와 채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채식체험군에 대하여 영양 상태를 비교하여 보고 일정 기간 동안의 채식이 체내 항...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식이를 하는 대조군과 현미와 채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채식체험군에 대하여 영양 상태를 비교하여 보고 일정 기간 동안의 채식이 체내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지 또한 채식으로 인하여 장 활동의 개선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최근 풍부한 채소와 과일 섭취를 하는 채식인의 식이는 체내 항산화능을 향상 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채식과 항산화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지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동물성 식품을 선호하고 가공식품에 쉽게 노출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항산화능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현미 및 채식위주의 영양중재가 항산화 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참여 학생을 선정하여 대조군(n=18명, 남=12, 여=6)과 채식체험군(n=25, 남=9, 여=16)으로 무작위 배정으로 구분하였고 중재기간인 8주를 기준으로 신체계측, 혈액분석 (일반혈액지표: Hb, Hct, RBC, 혈중무기질지표: Fe, Ca, 항산화능 지표: d-ROMs, BAP), 항산화식품섭취빈도조사, Rome Ⅲ 진단기준(constipation module)에 따른 배변습관 관련 설문조사를 연구 시작 전과 후 총 2회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혈액분석 결과 대조군에서Hct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 0.05), 채식체험군에서Hb, Hct, RBC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 < 0.05) 두 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한편 항산화능 지표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d-ROMs은 대조군에서 전과 후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채식체험군에서 연구 시작 시 308.96±78.6(CARR U) 경계치에서 283.57±55.06(CARR U) 정상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BAP값은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 < 0.001). 채소와 과일만을 항목으로 연구 개발한 항산화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를(35항목) 통하여 식이섭취를 분석한 결과 채식체험군에서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A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01) 이에 따라 β카로틴의 섭취량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배변습관 관련 설문조사 결과로는 채식체험군에서 연구 시작 시 기능성변비로 진단되었던 학생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1). 본 연구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항산화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많은 채소와 과일의 섭취가 다량의 항산화 물질의 섭취로 이어져 체내의 항산화 상태를 높여주고, 이러한 영향은 체내에서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생성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채식 식습관이 동물성식품이나 다양한 가공식품을 접했던 학생들보다 체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수분과 섬유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식 식습관이 장 활동에 도움을 주어 배변습관이 완화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채소와 과일 위주의 식습관이 불규칙한 식사나 가공식품 및 패스트푸드의 이용증가 등의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변통을 갖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ietary factors in plant-based diets are important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Especially, phytonutrients in fruits and vegetable have been recognized as major contributor for decreased level of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witching the dietary habit to high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evaluated on the parameters of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healthy high school students. Forty three studen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n=25), or intervention group(n=18). Intervention group was provided for 8 weeks with main food source as whole grain and vegetabl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arameters, dietary intakes,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stress level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study. After 8 weeks, students on intervention group had decreased weight and BMI compared with the changes of the control group. The d-ROM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 only in the intervention group (p<0.05) after 8 weeks, but BAP was significant increased in both groups (p<0.001). Energy intake, total fat, cholesterol and sodi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group (p<0.05). Also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vitamin and phytonutrient intakes of all-trans-β-carotene, α-carotene, α-tocopherol, ascorbic acid, total phenols (p<0.05). Constipation symptoms was improved (p<0.05) and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intervention group.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ruits and vegetables supplementation showed improvement of the adolescent health.
      번역하기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ietary factors in plant-based diets are important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Especially, phytonutrients in fruits and vegetable have been recognized as major contributor for decreased level of oxidative stres...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ietary factors in plant-based diets are important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Especially, phytonutrients in fruits and vegetable have been recognized as major contributor for decreased level of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witching the dietary habit to high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evaluated on the parameters of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healthy high school students. Forty three studen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n=25), or intervention group(n=18). Intervention group was provided for 8 weeks with main food source as whole grain and vegetabl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arameters, dietary intakes,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stress level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study. After 8 weeks, students on intervention group had decreased weight and BMI compared with the changes of the control group. The d-ROM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 only in the intervention group (p<0.05) after 8 weeks, but BAP was significant increased in both groups (p<0.001). Energy intake, total fat, cholesterol and sodi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group (p<0.05). Also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vitamin and phytonutrient intakes of all-trans-β-carotene, α-carotene, α-tocopherol, ascorbic acid, total phenols (p<0.05). Constipation symptoms was improved (p<0.05) and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intervention group.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ruits and vegetables supplementation showed improvement of the adolescent heal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ⅱ
      • 표 목록 ⅳ
      • 부록 목록 ⅴ
      • 약어 정리 ⅵ
      • 목 차 ⅱ
      • 표 목록 ⅳ
      • 부록 목록 ⅴ
      • 약어 정리 ⅵ
      • Chapter 1. 문헌고찰 1
      • Ⅰ. 청소년기 건강 및 식생활 2
      • 1. 청소년기 건강의 문제점 2
      • 1) 비만 2
      • 2) 무분별한 체중조절 3
      • 3) 스트레스 4
      • 4) 배변습관 5
      • 2. 청소년기 식생활의 문제점 6
      • 1) 아침결식 6
      • 2) 외식 6
      • 3) 간식섭취 7
      • 4) 편식 8
      • Ⅱ. 청소년기 식생활 개선 모색 9
      • 1. 채소 및 과일 섭취 9
      • 2. 현미섭취 9
      • Ⅲ. 평가도구 10
      • 1. 스트레스 평가도구 10
      • 1) A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GARS) 10
      • 2) Perceived stress scale (PSS) 11
      • 2. 로마기준을 사용한 배변습관 평가 도구 11
      • 1) 기능성 변비 12
      • 2) 과민성 장 증후군 13
      • 3. 청소년 식생활 평가도구 14
      • 1) 24시간 회상법 14
      • 2) 식품 섭취 빈도 조사 14
      • References for literature review 16
      • Chapter 2.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perceived stress and improved bowel movement 21
      • Abstract 22
      • I. 서론 23
      • II. 연구방법 26
      • III. 결과 34
      • IV. 고찰 51
      • V. 요약 및 결론 60
      • VI. References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