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삼,산약,한약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NonEffects of Dietary Panax Ginseng, Dioscorea Japonica and Oriental Medicine Refuse on Productivity of Korean Native Chick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17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래닭 160수를 공시하여 인삼부산물(잎·줄기), 산약부산물(박피후 건조껍질), 한약(달인후 찌꺼기) 부산물을 각각 5%씩 기본사료에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래닭 160수를 공시하여 인삼부산물(잎·줄기), 산약부산물(박피후 건조껍질), 한약(달인후 찌꺼기) 부산물을 각각 5%씩 기본사료에 첨가 급여하였다. 시험기간은 부화후 8주령에 시작하여 20주령에 종료하였으며, 재래닭의 사료섭취량, 증체량, 사료요구율, 폐사율 등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에서 건물섭취량은 대조구가 125.79g 인삼구 122.26g, 산약구 122.30g, 한약구 123.72g으로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건물소화율은 대조구와 산약구에서 62.89% 및 61.20%로서 인삼구의 55.44%, 한약구의 59.76%보다 높았다(p<0.05). 체중변화는 전체적으로 수탉이 암탉보다 월등히 무거웠으며, 16주령에서는 대조구, 인삼구, 산약구, 한약구가 각각 1,436.6g, 1,427.2g, 1,546g, 1,442.0g로서 특히 산약구가 가장 무거웠다(p<0.05). 사료섭취량은 대조구 인삼구, 산약구, 한약구에서 각각 6,087g, 5,947g, 5,816g and 5,852g으로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사료요구율은 전 시험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특히 인삼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폐사수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재래닭의 생체중, 도체중 및 각 부분육 생산량은 처리구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복강지방량은 대조구와 한약구에서 산약구와 인삼구에 비해 높았다(p<0.05).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Panax Ginseng Refuse(PGR), Dioscorea Japonica Refuse(DJR) and Oriental Medicine Refuse(OMR) on performance(feed intake,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mortality) of Korean Native Ch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Panax Ginseng Refuse(PGR), Dioscorea Japonica Refuse(DJR) and Oriental Medicine Refuse(OMR) on performance(feed intake,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mortality) of Korean Native Chicken(KNC). KNC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4 dietary treatment : 1) control(commercial feed), 2) PGR(commercial feed supplemented with 5% panax ginseng leaves) 3) DJR(commercial feed with 5% dioscorea japonica hulls and 4) OMR(commercial feed with 5% oriental medicine refuse). 160 KNC were fed one of the above experimental diet for 12 weeks and slaughtered at 20 weeks of age.
      Daily DM intake of control, PGR, DJR and OMR diet were 125.79g, 122.26g, 122.30g and 123.72g,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The DM utilizability of control and DJR(62.89% and 61.20%) diets were higher(p<0.05) than those of PGR and OMR(55.44% and 59.76%)(p<0.05). 16 weeks weight of bird fed control, PGR, DJR and OMR diets were 1,436.6g, 1,427.2g, 1,546g and 1,422.0g respectively with DJR being the highest than other treatments(p<0.05). Total feed intake of control, PGR, DJR and OMR diets were 6,087g, 5,947g, 5,816g and 5,852g, respectively where control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The feed conversion of PGR, DJR and OMR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Chicken housed mortality of control, PGR, DJR and OMR were respectively 24, 15, 13 and 20 birds with rather lower mortality in the supplented groups(p<0.05). The body weight, carcass weight and carcass yield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But abdominal fat of chicken in control and OMR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DJR and PGR group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5-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한국축산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Animal Sciences and Technology
      2017-04-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한국축산학회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2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