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08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regarding the effects of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Seoul’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state of depression. Detailed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s of agel general wel...

      This research was regarding the effects of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Seoul’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state of depression. Detailed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s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tress level, public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Second, Doe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effects their work stress, public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ird, is the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the direct cause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depression level?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SPSS 1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percentage, comparison, and confidence. Also, t-test and oneway-ANOVA was used to observe the average difference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work stress, public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e major cause of work stress was excess amount of labor by 3.291 points, followed by work complications with 3.207 points and workers’ identity crisis by 2.291 points. Looking at the public support level, it had an average of 3.65 points, which is higher than average(median). The depression level had an average of 2.22points,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median). Therefor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tate of depression is fairly low.
      Also, higher the levels of work complications, work identity crisis, and the employees’excess amount of work indicat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depression level was low when the employees’ received positive public support.
      Next, according to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different age groups had different work stress caused by work complications. The research showed college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had more complications than the high school graduates. Groups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who had the most excessive amount of labor were in their 20’s and 30’s, college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those with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employees with social worker license. Also, the excessive amount of labor was high when their were less than thirty employees in on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 Those who were social worker like secretary general and nurse, had the high level of excessive amount of labor. Looking at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relation to the work identity crisis, those who received monthly salary of 2,010,000 won to 3,000,000 won had lower level of work identity crisis than the other groups. Looking at the experience level, employe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had more work identity crisis than those who had eight or more years of experience.
      Third, studying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public support level, those employees with social worker license receive high public support. Also, the social worker received more public support than social worker like secretary general and nurse.
      Lastly, we looked at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their depression. The employees with high work complications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Those with high work identity crisis also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However, receiving public supports from surrounding community had positive effect of lowering the level of depre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노인종합복지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노인종합복지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감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은 차이가 나는가? 셋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와 oneway-ANOVA를 통한 평균차이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의 실태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과다가 3.29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역할갈등이 3.207점, 역할모호성이 2.29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평균 3.65점으로 중앙값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울감 수준을 살펴보면, 평균 2.22점으로 중앙값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즉,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의 우울감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은 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역할과다가 심할수록 우울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에서 역할갈등을 살펴보면, 대졸 및 대학원졸 이상이 고졸에 비해 역할갈등을 가장 심하게 느끼고 있었다.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역할과다 차이에서는 연령에서는 20대와 30대가 역할과다가 높았고, 학력에서는 대졸 및 대학원졸 이상이, 근무기간에서는 1년에서 3년이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가 역할과다가 높았으며, 직원수가 30명 이하인 경우가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종사자들의 직위를 살펴보면 일반사회복지사가 기타(사무국장, 간호사)보다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역할모호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이 201만원에서 300만원인 종사자의 역할모호성이 다른 집단보다 낮았다. 근무기간을 살펴보면 1년미만의 근무를 한 종사자가 8년 이상의 근무를 한 종사자에 비해 역할모호성이 높았다.
      셋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에 따라서는 사회복지사들이 기타(사무국장,간호사)의 경우보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에 영향을 살펴보면,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는 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우울감이 높고, 역할의 모호성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지만, 주변대인관계망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4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4
      • 2.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지지 9
      • 3.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우울감 10
      • 4. 선행연구고찰 11
      • Ⅲ. 조사 방법 17
      • 1.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17
      • 2. 측정도구 17
      • 3.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9
      • 4. 분석방법 22
      • Ⅳ. 연구 결과 24
      • 1.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의 전반적인 경향 24
      • 2.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 26
      • 3.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 33
      • 4.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 36
      • 5.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39
      • Ⅴ. 요약 및 제언 41
      • 참고문헌 45
      • Abstract 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