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Curriculum and Instruction Based on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Recogn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0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3 teachers work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had 24 questions each with 5-Likert scale. After factor analysis, fiv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related with the curriculum and nin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about the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deleted. Therefore, thirty-four item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s: (a)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curriculum as follows: structure, support,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Working experiences, years of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credential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urriculum part. (b) The participants` instructional structure was managed together with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odule, instructional performance method and instructional execution;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methods of obtaining special education credential were important factors. (c)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reciprocate. This study discussed structural differentiation about the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e in the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having emotional disord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3 teachers work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3 teachers work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had 24 questions each with 5-Likert scale. After factor analysis, fiv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related with the curriculum and nin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about the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deleted. Therefore, thirty-four item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s: (a)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curriculum as follows: structure, support,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Working experiences, years of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credential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urriculum part. (b) The participants` instructional structure was managed together with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odule, instructional performance method and instructional execution;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methods of obtaining special education credential were important factors. (c)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reciprocate. This study discussed structural differentiation about the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e in the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having emotional disor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수, "효과적인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49-175, 2006

      2 조현국, "학교 유형별 기간제 교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학회 61 (61): 5-29, 2013

      3 김자경, "특수학급교사의 탈진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21-334, 2006

      4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5 최성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조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69-90, 2013

      6 전병운, "특수학교교사 수업능력 평가 기준" 2008

      7 강성종,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 제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53-278, 2010

      8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01-227, 2012

      9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 및 수업실행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형별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55-78, 2011

      10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별책1]"

      1 이상수, "효과적인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49-175, 2006

      2 조현국, "학교 유형별 기간제 교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학회 61 (61): 5-29, 2013

      3 김자경, "특수학급교사의 탈진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21-334, 2006

      4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5 최성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조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69-90, 2013

      6 전병운, "특수학교교사 수업능력 평가 기준" 2008

      7 강성종,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 제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53-278, 2010

      8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01-227, 2012

      9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 및 수업실행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형별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55-78, 2011

      10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별책1]"

      11 박남수, "특수교육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12 유영만, "탈(脫)-ISD(Post-ISD) 모델의 가능성과발전방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33-269, 2008

      13 이윤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4 박경희,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 구성요인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21, 2013

      15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6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조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263-285, 2011

      17 박은송,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의 과정과 어려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49-69, 2013

      18 조분래,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19 문장원, "정서․행동장애아 교육을 위한 과제와 대안 모색" 2008

      20 이은정, "장애 학생의 대규모 일반교육과정 중심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의 현황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45-67, 2009

      21 이옥인,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자기결정 학습전략이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표현 및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195-215, 2008

      22 박기용,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1-52, 2010

      23 박정서, "사회과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수업실천과 그 반성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71-100, 2012

      24 김원경, "발달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기본교육과정 운영 개선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45-67, 2009

      25 전경수, "문화의 이해" 일지사 2003

      26 서선진, "교육실습 중 경험한 수업설계 활동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및 수행실태에 대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43-166, 2012

      27 성열관, "교수적 실천의 유형학 탐색: Basil Bernstein의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71-96, 2012

      28 황인영, "교수적 수정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참여도, 문제행동, 학습 목표 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79-199, 2005

      29 김무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1-49, 2012

      30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01-124, 2005

      31 김민정, "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해 : 구조와 내러티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91-206, 2012

      32 고동희,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수업시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1-22, 2003

      33 Cuenca-Sanchez, Y., "Teach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o self-advocate through persuasive writing" 20 (20): 71-93, 2012

      34 Black, R. S., "Teachers’ views of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 The limitations of an individualistic perspective" 26 (26): 147-161, 2011

      35 Sullivan, P. D., "Survey of special education course work in school psychology training programs" 48 (48): 541-543, 1982

      36 Paik, S., "Supporting science teachers in alignment with state curriculum standard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 Teachers’preparedness, expectations and their fulfillment" 20 (20): 422-434, 2011

      37 Forness, S. R., "Prevalence of students with EBD : Impact on general education" 21 (21): 3-10, 2012

      38 Visscher-Voerman, I., "Paradigms i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 52 (52): 69-89, 2004

      39 Berry, A. B., "Issu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 recruitment, reten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Considerations in supporting rural teachers" 30 (30): 3-11, 2011

      40 Justice, C., "Inquiry in higher education : Reflections and directions on course design and teaching methods" 31 (31): 201-214, 2007

      41 Farley, C.,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21 (21): 37-43, 2012

      42 Pickover, S., "Emotional skills-building curriculum" 31 (31): 52-58, 2010

      43 Jung, L. A., "Designing intervention plans : Bridging the gap betwee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and implementation" 41 (41): 26-33, 2008

      44 Rowland, G., "Desig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41 (41): 79-91, 1993

      45 Simpson, R. L., "Critical educational program component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Science, policy, and practice" 32 (32): 230-242, 2011

      46 McDaniel, S. C., "Corrective reading as a supplementar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1 (21): 240-249, 2013

      47 Benner, G. J., "Closing the achievement gap of youth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rough multi-tiered systems of support" 36 (36): 15-29, 2013

      48 Hill, K. A., "Burnout experience of teachers serving students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in grades preK-8 within non-public special education day schools"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11

      49 Sktric, T. M., "Behind special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 Love 1991

      50 Wicks-Nelson, R.,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Prentice-Hall 2000

      51 White, J., "Assessing wellbeing at school entry using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 Professional perspectives" 55 (55): 87-98, 2013

      52 Snider, V. E., "Application of academic design principles to social skills instruction" 21 (21): 10-19, 2011

      53 Skerbetz, M. D., "Academic choice for included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57 (57): 212-222, 2013

      54 Lane, K. L., "A validation of the student risk screening scale fo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 Patterns in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s" 37 (37): 244-27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