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죽음준비교육 방안 =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lan based on practical problem in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71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only preparing for future death but also for happier and meaningful life. Death is a persistent problem faced by all human beings and can be found in connection with the Home Economics(HE) curriculum in that it is a ...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only preparing for future death but also for happier and meaningful life. Death is a persistent problem faced by all human beings and can be found in connection with the Home Economics(HE) curriculum in that it is a contextual practical problem of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practical problem-base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middle and high school 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name i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the Happy Life of Me and Family’. Also, 12 practical problems and the 4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to allow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death naturally in their lives and to practice meaningful everyday life for worthy death during the HE classes.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 study to examine the need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HE curriculum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HE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죽음준비교육은 단순히 미래의 죽음을 준비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행복하고 의미있는 삶을 위한 교육이다.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직면하는 항구적 문제이며 개인의 가치관과 자신이 속...

      죽음준비교육은 단순히 미래의 죽음을 준비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행복하고 의미있는 삶을 위한 교육이다.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직면하는 항구적 문제이며 개인의 가치관과 자신이 속한 사회에 따른 맥락적인 실천적 문제라는 점에서 가정 교과와의 연결고리를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ADDE모형에 따라서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나와 가족의 행복한 삶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은 12가지의실천적 문제와 중・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포함하고 있다. 가정과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이 가정과 수업에서 청소년이 죽음을 자신의 삶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가치 있는 죽음을 위한 의미 있는 일상의 삶을 실천하게 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 가정교과에서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 조사와 현장에서 교수・학습 과정안을 실행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e J., "홀로 맞는 죽음 5년 새 78% 증가・・・예방시스템 전무 [Alone deaths increased by 78% over five years · · · No prevention system at all]"

      2 Park Yongha, "한국 행복지수 낮은 까닭? 사회여건 기여도 적은 탓 [Why is the happiness index of Korea low? Due to the low social contribution]"

      3 정재걸, "한국 청소년의 도덕교육과 죽음교육중 -고등학교 도덕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59) : 441-469, 2015

      4 정재걸,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일본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325-356, 2015

      5 민들레, "한국 사회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노인간호학회 19 (19): 28-38, 2017

      6 Kim Minjae, "한국 '고령사회' 첫 진입…생산인구도 사상 첫 감소 [Korea's first entry into the 'aged society'...First-ever decline in production populatio n]"

      7 Hwang, J. G.,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School learning and education evaluation]" Education Science History 1998

      8 Yang Seonhui, "치료 ‘당하다’ 고독사 … 죽음 알아야 존엄 지킨다 [Dying alone while being treated on a hospital bed…Knowing the Death will protect your dignity]"

      9 유모아, "초등 도덕교육에서 죽음이해교육의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지봉환, "청소년의 죽음의식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5) : 203-228, 2007

      1 Lee J., "홀로 맞는 죽음 5년 새 78% 증가・・・예방시스템 전무 [Alone deaths increased by 78% over five years · · · No prevention system at all]"

      2 Park Yongha, "한국 행복지수 낮은 까닭? 사회여건 기여도 적은 탓 [Why is the happiness index of Korea low? Due to the low social contribution]"

      3 정재걸, "한국 청소년의 도덕교육과 죽음교육중 -고등학교 도덕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59) : 441-469, 2015

      4 정재걸,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일본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325-356, 2015

      5 민들레, "한국 사회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노인간호학회 19 (19): 28-38, 2017

      6 Kim Minjae, "한국 '고령사회' 첫 진입…생산인구도 사상 첫 감소 [Korea's first entry into the 'aged society'...First-ever decline in production populatio n]"

      7 Hwang, J. G.,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School learning and education evaluation]" Education Science History 1998

      8 Yang Seonhui, "치료 ‘당하다’ 고독사 … 죽음 알아야 존엄 지킨다 [Dying alone while being treated on a hospital bed…Knowing the Death will protect your dignity]"

      9 유모아, "초등 도덕교육에서 죽음이해교육의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지봉환, "청소년의 죽음의식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5) : 203-228, 2007

      11 이재영,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의식과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19 : 39-56, 2004

      12 정재걸, "청소년 죽음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중․고등학생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537-562, 2013

      13 한숙자, "청소년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2 : 174-200, 2009

      14 김지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의 교육적 가치와 지도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 김성기,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죽음교육의 필요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김지은, "중등 도덕·윤리교과에서의 죽음에 관한 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김신향, "죽음준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69-475, 2014

      18 윤매옥,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죽음 불안,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 (20): 513-521, 2009

      19 김용해, "죽음의 철학적 함의와 죽음교육의 필요성" 생명문화연구소 18 : 43-75, 2010

      20 김현주, "죽음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21 구인회, "죽음에 대한 철학적 이해" 생명의료법연구소 6 (6): 49-67, 2012

      22 이동윤,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29 (29): 113-137, 2016

      23 지봉환, "죽음교육의 정당화와 그것의 교수방법 탐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6 (56): 43-66, 2008

      24 金素希, "죽음교육의 교육 철학적 의미" 한국종교교육학회 15 : 205-223, 2002

      25 권미연,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249-275, 2017

      26 정재걸, "죽음교육에 대한 일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13) : 205-230, 2006

      27 Kübler-Ross, "죽음과 죽어감 [On death and dying]" Cheongmi 2018

      28 Noh Dohyeon, "죽음, 맞이하시겠습니까? 맞으시겠습니까? [Death, will you prepare or be confronted?]"

      29 Jeong Gyeongsuk, "죽음 준비교육 왜 필요한가? :기획취재…행복한 삶과 아름다운 마무리 [Why is d eath preparation education necessary? : Planned s ubject covering ... Happy life and beautiful finish]"

      30 Wi Aram, "정신질환으로 분류된 청소년 게임 중독...증상과 나쁜 영향은? [Youth game addiction cla ssified as mental illness...Symptoms and bad effect s?]"

      31 Kim Sora, "전 연령대 자살률 줄지만 10대만 증가…1년새 16.5% 상승 [Decrease the overall age gr oup suicide rate, but only the number of teenagers hasa 16.5% increase in a year]"

      32 Kim Ijin, "웰다잉을 준비하는 방법 [How to prepare for well-dying]"

      33 최용성, "영화를 활용한 웰빙 및 웰다잉교육의 통합적 접근"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241-269, 2016

      34 박시내,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53-68, 2011

      35 National Health Insurance Health Angel, "아버지의 마지막 선택[Father's last choice]"

      36 변상해, "아동의 죽음에 대한 개념형성의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211-223, 2009

      37 변현진,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 - 가족관꼐와 자원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4 (14): 1-9, 2002

      38 Decisions on life expectancy, "시사상식사전 [Sisa common sense dictionary]"

      39 정재걸,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본 독일 청소년 죽음교육의 한계와 대안" 동양사회사상학회 (28) : 171-197, 2013

      40 Banks, J., "다문화교육입문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Academy Press 1998

      41 Park Seungcheol, "나는 앞으로 얼마나 더 살까? [How long will I live in the future?]"

      42 Ulrich, B., "글로벌 위험 사회 [World risk society]" Ghil 2010

      43 김도희,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죽음교육 - 죽음 모티프 분석을 통한 교육 방법 모색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6) : 1-30, 2010

      44 노희연,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161-193, 2017

      45 이화식,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105-130, 2016

      46 Deeken, A., "よく生き よく笑い よき死と出会う [Live well, laugh well, meet good death]" 株式會社新潮社 2014

      47 Leviton, D., "The scope of death education" 1 : 41-56, 1977

      48 Yoon, S. I., "The meaning of death and pedagogical implication in Heidegger's ontology" Korea University 2009

      49 Fonseca, L. M., "The emergence of thanatology and current practice in death education" 64 (64): 157-169, 2011

      50 Lee, D. Y., "Human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erspective on existentialism death" Korea University 2017

      51 EBSSTORY, "EBS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 늙은개, 널 기억할게 [EBS There is no bad dog in the world: Old dog, I will remember you]"

      52 Yang, I. 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th" Korea University 2017

      53 Deeken,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2 : 1991

      54 Warren, W. G., "Death education and research: Critical perspectives" The Haworth Press 1989

      55 Corr, C. A., "Death and dying, life and living" Wadsworth 2013

      56 Kim Hyeongsik, "CMB집중토론, 끊임없는 자살 문제! 희망 넘치는 대한민국을 만들자 [CMB concentration debate, constant suicide problem! Let's create a hopeful Korea.]"

      57 Choi, S. H.,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eath preparation program" Chung-ang University 1995

      58 Johnston. R., "Adult learning for citizenship : Towards a reconstruction of the social purpose tradition" 18 (18): 175-190, 1999

      59 Lee, L. J.,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and urgent problem" 2 (2): 69-88, 2016

      60 Kang, S. B, "A study on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al based on meaning of the death in Korean classical novels" Ewha Womans University 2016

      61 Choi, M. K., "A study on educational value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ath in a novel" Sungkyunkwan University 2008

      62 Park, H. J., "A study on development of youth death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Sungkyul University 2015

      63 Chae, J. H., "A study on death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 basic study for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195-197, 2006

      64 Moon, Y. H., "A study of the juvenile delinquent an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10 : 185-203, 2007

      65 Laster, J. F., "A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74 (74): 41-44, 1982

      66 Ministry of Education, "2015 curriculum revision"

      67 Kim Deoksik, "100세시대 `행복수명`은 60대 [In the 100s, 'happiness life' is in their 60s]"

      68 김영례, "100세 시대와 죽음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 인문학연구소 (21) : 171-196, 2018

      69 Lee S., "'유언장 쓰고 수의 입고' 웰다잉 준비하는사람들 [Those who are preparing for well-being thr ough 'writing a will and putting on winding shee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