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방송제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BS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ombudsman program on broadcasting production : with reference to the SBS ombudsman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36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1993년에 시작한 한국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은 1999년 이후 통합방송법에 의거해서 형식적인 틀을 보장받게 되어, 이제 형식 뿐 아니라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시청자의 방송 참여와 비판적 여론 형성'의 장이 되고 있는지 살펴 볼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에 방송 3사 옴부즈맨 프로그램들 중에서 SBS 열린 TV 시청자 세상을 중심으로,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코너들 중에서는 시청자의 참여와 제작진의 피드백에 기여도가 있다고 생각되는 '주간 TV 브리핑'을 택하여 시청자 의견 수렴의 절차와 반영정도를 알아보았다. 8월 한달 방송 내용을 분석하고 옴부즈맨 프로그램 제작진 인터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을 실제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어떤 경로로 전달이 되고 전달된 후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프로그램 제작에 관여하는 지 정도를 알아보았다. 우선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시청하는 지 여부와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되는 동기를 물어보고,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을 'TV 주간 브리핑'을 통해 적어도 한 번 이상 지적 받은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설문 조사와 인터뷰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시청자 의견이 '주간 TV 브리핑'으로 방송되기까지 절차와 반영정도를 알 수 있었는데, 우선 옴부즈맨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가장 많이 의존하는 것이 바로 사내 심의팀의 일일 모니터 보고서 등이었고 다음이 옴부즈맨 프로그램 게시판에 올라오는 익명의 시청자 의견이었다. 만약 심의팀의 평가와 게시판에 올라온 시청자의 비판내용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일치할 때 우선적으로 방송내용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제작진 자체 내에서 프로그램을 본 것 중에 '비판할 거리'가 있다고 판단될 때 방송을 하였다.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시청자 의견을 반영하는 기준은 방송심의기준에 의거한다거나 하는 구체적인 것은 없었고 자체 제작진의 판단에 의한 것으로, 제작진들도 마땅한 심의기준이 있었으면 하고 바라고 있었다.
      또한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전달되는 경로는 방송에 의한 것이 전부였으며, 문서화가 된다거나 해서 다른 경로로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전달되는 경우는 없었다. 그나마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시청하거나, 관심을 갖고 시청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다. 또한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지적한 내용에 대해서도 공감하지 못해 이후 프로그램 제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진정한 '시청자 비판과 여론의 장'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옴부즈맨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으로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자사 프로그램을 홍보한다는 비난을 받는 대신 확실한 옴부즈맨 프로그램 자체 홍보로 시청자 및 제작진들에게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존재 의의를 알리고 시청자들의 호응을 먼저 얻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다른 프로그램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는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먼저 자체 반성을 선행하여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자막표기의 오류 등 기술적인 실수를 하거나, 판에 박힌 지적으로 시청자나 일선 제작진들로부터 외면 받지 않도록 모범을 보여야 한다.
      셋째, 형식적으로 편성을 보장받은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내용적으로도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면 세부적이고 강제적인 실천 조항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통합방송법에서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통한 시청자의 주권 확보를 명시했다면 그에 상응하는 세부적인 실천조항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사내에서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옴부즈맨 프로그램 역시 사내 메일 등 문서화하여 해당 제작진들이 언제든지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지적 당한 것을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사내 심의보고처럼 옴부즈맨 프로그램 방송내용 역시 심의팀과 연계하여 사내의 확실한 전달 경로를 확보, 참고자료 및 이후 제작 방향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번역하기

      1993년에 시작한 한국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은 1999년 이후 통합방송법에 의거해서 형식적인 틀을 보장받게 되어, 이제 형식 뿐 아니라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시청자의 방송 참여와 비판적 ...

      1993년에 시작한 한국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은 1999년 이후 통합방송법에 의거해서 형식적인 틀을 보장받게 되어, 이제 형식 뿐 아니라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시청자의 방송 참여와 비판적 여론 형성'의 장이 되고 있는지 살펴 볼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에 방송 3사 옴부즈맨 프로그램들 중에서 SBS 열린 TV 시청자 세상을 중심으로,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코너들 중에서는 시청자의 참여와 제작진의 피드백에 기여도가 있다고 생각되는 '주간 TV 브리핑'을 택하여 시청자 의견 수렴의 절차와 반영정도를 알아보았다. 8월 한달 방송 내용을 분석하고 옴부즈맨 프로그램 제작진 인터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을 실제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어떤 경로로 전달이 되고 전달된 후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프로그램 제작에 관여하는 지 정도를 알아보았다. 우선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시청하는 지 여부와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되는 동기를 물어보고,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을 'TV 주간 브리핑'을 통해 적어도 한 번 이상 지적 받은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설문 조사와 인터뷰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시청자 의견이 '주간 TV 브리핑'으로 방송되기까지 절차와 반영정도를 알 수 있었는데, 우선 옴부즈맨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가장 많이 의존하는 것이 바로 사내 심의팀의 일일 모니터 보고서 등이었고 다음이 옴부즈맨 프로그램 게시판에 올라오는 익명의 시청자 의견이었다. 만약 심의팀의 평가와 게시판에 올라온 시청자의 비판내용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일치할 때 우선적으로 방송내용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제작진 자체 내에서 프로그램을 본 것 중에 '비판할 거리'가 있다고 판단될 때 방송을 하였다.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시청자 의견을 반영하는 기준은 방송심의기준에 의거한다거나 하는 구체적인 것은 없었고 자체 제작진의 판단에 의한 것으로, 제작진들도 마땅한 심의기준이 있었으면 하고 바라고 있었다.
      또한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전달되는 경로는 방송에 의한 것이 전부였으며, 문서화가 된다거나 해서 다른 경로로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전달되는 경우는 없었다. 그나마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시청하거나, 관심을 갖고 시청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다. 또한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지적한 내용에 대해서도 공감하지 못해 이후 프로그램 제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진정한 '시청자 비판과 여론의 장'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옴부즈맨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으로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자사 프로그램을 홍보한다는 비난을 받는 대신 확실한 옴부즈맨 프로그램 자체 홍보로 시청자 및 제작진들에게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존재 의의를 알리고 시청자들의 호응을 먼저 얻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다른 프로그램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는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먼저 자체 반성을 선행하여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자막표기의 오류 등 기술적인 실수를 하거나, 판에 박힌 지적으로 시청자나 일선 제작진들로부터 외면 받지 않도록 모범을 보여야 한다.
      셋째, 형식적으로 편성을 보장받은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내용적으로도 해당 프로그램 제작진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면 세부적이고 강제적인 실천 조항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통합방송법에서 옴부즈맨 프로그램을 통한 시청자의 주권 확보를 명시했다면 그에 상응하는 세부적인 실천조항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사내에서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옴부즈맨 프로그램 역시 사내 메일 등 문서화하여 해당 제작진들이 언제든지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지적 당한 것을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사내 심의보고처럼 옴부즈맨 프로그램 방송내용 역시 심의팀과 연계하여 사내의 확실한 전달 경로를 확보, 참고자료 및 이후 제작 방향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A need exists to examine whether the Ombudsman Program, abbreviated as OP hereafter, which dates back to the KBS (Korea Broadcasting Society) OP in 1993, and was enfranchised by the Joint Broadcasting Act of 1999, has become an arena for viewers'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ing services, and a conduit of critical public opinion not only in form but also in substance.
      Of the OPs managed by the three broadcasting firms, I focused on the SBS's Open TV Viewers' World. Weekly TV Briefing was chosen to examine the procedures of handling the viewers' opinions and the extent of their incorporation, because this program is reputed to engender viewers' participation, and have feedback effect on the producers. Content analysis of the August programming of the OP was conducted, as well the OP production personnel interview was undertaken in parallel.
      Next, I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the OP are transmitted to the front-line producers; what is the nature of influence this information has on the program production; and what is the extent of the impact it has on programming.
      First,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producers, who were questioned in the Weekly TV Briefing at least once, enquiring whether they watched the OP periodically, what was their motivation for watching the OP, what was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of the OP, and what was their assessment of the necessity of these programs.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parallel.
      As a result, the process whereby viewers' opinions were handled leading to the Weekly TV Briefing and the extent to which viewer feedbacks was incorporated have been documented. First, OP producers dep ended foremost on the reports by the firm's monitoring teams, then on the anonymous articles that were posted on the OP bulletin. If the monitoring team report and the anonymous report coincided, the materials were adopted on a priority basis. Points brought out by the front-line producers themselves were also adopted. There was no specific set of criteria that governs whether viewers' input were adopted by the OP. Rather, the incorporation decision was made entirely by producers in charge. In fact, producers voiced their desire for evaluation guidelines.
      The transmission route of OP contents to on-site producers was solely through the airing of the program. No evidence of formal documentation or any other communication method was observed. Front-line producers did not watch the OP periodically. Rarely did they watch it with interest. They felt no need for the OP. There app ears to be virtually no impact of the OP on the producers since the front-line producers largely disagreed with the points brought out in the OP.
      In order to be reborn as a true arena for viewers'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ing services and a conduit of critical public opinion, first, the OP must be competitive as a broadcasting program. To this end, the OP should be above criticism for promoting the sponsoring broadcasting firm. It should conduct a credible self-promotion campaign. It must persuade viewers of its reason for existence and win acceptance from viewers.
      Second, the OP must keep its own house in order through soul-searching and self-reflection. For example, it should avoid technical blunders such as caption errors, and it should not fall into the trap of recycling the same comments endlessly, causing the alienation of both viewers and producers.
      Third, in order for the OP to exert an impact on the front-line producers in substance, the OP, which has a statutory mandate for its existence, must be provided with specific and enforceable operating directives. That is, if the OP has pronounced the sovereignty of the viewers, then corresponding action items must be put in place.
      Four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OP within the broadcasting firms. The OP must document its contents using for example, intra firm memoranda, so that the front-line producers will be able to review relevant comments. To serve as information sources that will guide the firm's future programming the OP must possess clear communication routes, as the monitoring reports currently do, in cooperation with the firm's monitoring teams.
      번역하기

      A need exists to examine whether the Ombudsman Program, abbreviated as OP hereafter, which dates back to the KBS (Korea Broadcasting Society) OP in 1993, and was enfranchised by the Joint Broadcasting Act of 1999, has become an arena for viewers' part...

      A need exists to examine whether the Ombudsman Program, abbreviated as OP hereafter, which dates back to the KBS (Korea Broadcasting Society) OP in 1993, and was enfranchised by the Joint Broadcasting Act of 1999, has become an arena for viewers'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ing services, and a conduit of critical public opinion not only in form but also in substance.
      Of the OPs managed by the three broadcasting firms, I focused on the SBS's Open TV Viewers' World. Weekly TV Briefing was chosen to examine the procedures of handling the viewers' opinions and the extent of their incorporation, because this program is reputed to engender viewers' participation, and have feedback effect on the producers. Content analysis of the August programming of the OP was conducted, as well the OP production personnel interview was undertaken in parallel.
      Next, I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the OP are transmitted to the front-line producers; what is the nature of influence this information has on the program production; and what is the extent of the impact it has on programming.
      First,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producers, who were questioned in the Weekly TV Briefing at least once, enquiring whether they watched the OP periodically, what was their motivation for watching the OP, what was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of the OP, and what was their assessment of the necessity of these programs.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parallel.
      As a result, the process whereby viewers' opinions were handled leading to the Weekly TV Briefing and the extent to which viewer feedbacks was incorporated have been documented. First, OP producers dep ended foremost on the reports by the firm's monitoring teams, then on the anonymous articles that were posted on the OP bulletin. If the monitoring team report and the anonymous report coincided, the materials were adopted on a priority basis. Points brought out by the front-line producers themselves were also adopted. There was no specific set of criteria that governs whether viewers' input were adopted by the OP. Rather, the incorporation decision was made entirely by producers in charge. In fact, producers voiced their desire for evaluation guidelines.
      The transmission route of OP contents to on-site producers was solely through the airing of the program. No evidence of formal documentation or any other communication method was observed. Front-line producers did not watch the OP periodically. Rarely did they watch it with interest. They felt no need for the OP. There app ears to be virtually no impact of the OP on the producers since the front-line producers largely disagreed with the points brought out in the OP.
      In order to be reborn as a true arena for viewers'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ing services and a conduit of critical public opinion, first, the OP must be competitive as a broadcasting program. To this end, the OP should be above criticism for promoting the sponsoring broadcasting firm. It should conduct a credible self-promotion campaign. It must persuade viewers of its reason for existence and win acceptance from viewers.
      Second, the OP must keep its own house in order through soul-searching and self-reflection. For example, it should avoid technical blunders such as caption errors, and it should not fall into the trap of recycling the same comments endlessly, causing the alienation of both viewers and producers.
      Third, in order for the OP to exert an impact on the front-line producers in substance, the OP, which has a statutory mandate for its existence, must be provided with specific and enforceable operating directives. That is, if the OP has pronounced the sovereignty of the viewers, then corresponding action items must be put in place.
      Four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OP within the broadcasting firms. The OP must document its contents using for example, intra firm memoranda, so that the front-line producers will be able to review relevant comments. To serve as information sources that will guide the firm's future programming the OP must possess clear communication routes, as the monitoring reports currently do, in cooperation with the firm's monitoring te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 목차 = ⅲ
      • 국문요약 = ⅳ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의의와 목적 = 1
      • 목차 = ⅰ
      • 표 목차 = ⅲ
      • 국문요약 = ⅳ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의의와 목적 = 1
      • 1.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 2
      • 제2장 이론적 논의 = 5
      • 2.1 옴부즈맨의 정의와 유래 = 5
      • 2.1.1 언론 옴부즈맨 = 5
      • 2.1.2 방송 옴부즈맨 = 7
      • 2.1.3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의의 = 10
      • 2.2 한국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 = 12
      • 2.2.1 한국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시작 = 13
      • 2.2.2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평가 = 16
      • 2.3 옴부즈맨 프로그램 편성의 당위성 = 21
      • 2.3.1 옴부즈맨 프로그램 편성의 당위성 = 21
      • 2.3.2 수용자의 주권과 방송참여 = 26
      • 2.4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관한 기존 연구검토 = 32
      • 2.4.1 언론 옴부즈맨에 관한 기존 연구검토 = 33
      • 2.4.2 방송 옴부즈맨 프로그램에 관한 기존 연구검토 = 35
      • 제3장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방송제작에 미치는 실증적 영향에 관한 연구 = 39
      • 3.1 연구방법 = 39
      • 3.1.1 내용 분석 = 39
      • 3.1.2 설문조사 = 40
      • 3.1.3 인터뷰 = 40
      • 3.2 분석결과 = 41
      • 3.2.1 TV 주간 브리핑의 의견 수렴 절차 = 42
      • 3.2.2 TV 주간 브리핑 내용분석을 통해 본 시청자 의견 반영 정도 조사 = 44
      • 3.2.3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제작에 미치는 영향 = 52
      • 제4장 결론 = 64
      • 4.1 요약 및 결론 = 64
      • 4.2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72
      • 참고문헌 = 75
      • 부록 = 89
      • ABSTRACT = 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