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2012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의료 서비스 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환자 1인당 연평균 직접 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41117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7. 2
2017
한국어
서울
Direct medical costs for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NHIS-NSC)
60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이의경
참고문헌 : p. 56-5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2012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의료 서비스 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환자 1인당 연평균 직접 의...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2012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의료 서비스 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환자 1인당 연평균 직접 의료비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SAS (version 9.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령별, 보험 가입 형태, 소득 분위, 요양기관 소재지 시도 등을 기준으로 환자 분포를 살펴보고, 의료 서비스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래와 입원을 구분하여 평균 내원일수, 요양기관종별 내원일도 비교하였으며, 의료기관 종별 방문 빈도와 진료과 분포도 확인하였다. 또한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연평균 직접 의료비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외래와 입원을 구분하여 진료비와 약품비를 환자 기준으로 산출하고, 전립선비대증을 주상병으로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의료비용과 부상병으로 하는 환자까지 모두 포함하여 분석한 의료비용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접의료비 차이를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 결과, 분석 대상인 50세 이상 남성 전립선비대증을 주상병으로 하는 환자 중 77% 이상이 60세 이상이었으며, 70세 이상인 환자가 약 43%를 차지하였다. 또한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전체 환자 중 약 22% 이상의 환자가 소득분위 10분위에 해당하였다.
전립선비대증을 주상병으로 하는 환자의 의료 서비스 이용 분석 결과, 약 98.5%의 환자가 외래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래환자의 연평균 내원 일수는 6.3일, 입원환자의 연평균 입원 일수는 10.2일로 나타났다. 외래환자는 65.7%가 의원을 방문하였고, 비뇨기과가 86.7%로 가장 많았다. 입원환자는 73.5%가 종합병원을 방문하였고, 가장 많은 빈도의 진료과는 비뇨기과로 77.0%였다.
직접의료비 분석은 index date 기준 1년 간의 의료비를 분석하였으며, 주상병 이 전립선비대증인 환자 16,14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연평균 진료비는 151,054원, 약품비는 290,108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산출된 연평균 직접의료비는 416,823원이었다. 반면, 전립선비대증이 부상병인 환자까지 모두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연평균 진료비 850,996원, 약품비 453,614원, 직접의료비 1,259,350원으로 나타나 주상병으로만 분석했을 때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대부분 고령인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특성으로 인하여 부상병까지 포함할 경우, 동반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용까지 포함되어 과대 추계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소득수준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연령이 증가함(50-64세, 65-75세, 75세 이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직접의료비가 높았으며, 고소득군(9-10분위) 환자의 직접의료비가 저소득군(1-5분위)의 직접의료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직접의료비를 도출한 첫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