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동의 분노와 우울 그리고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가 어떠한지 알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640867
서울 : 가톨릭대학교, 2015
학위논문(박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생활문화학과 아동가족학전공 , 2015
2015
한국어
183.224 판사항(6)
155.424 판사항(23)
서울
vii, 152장 : 도표 ; 26 cm
권말부록: 측정변수들 간 상관관계 ; 초점집단면접 인터뷰 결과 ; 설문지
참고문헌: 장 117-1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동의 분노와 우울 그리고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가 어떠한지 알아...
본 연구는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동의 분노와 우울 그리고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 여 총 5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분노정서는 3개의 하위영역(분노상태, 분노경향, 분노경험)으로 측정하였다. 아동의 분노상태와 분노경향을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 Krasner과 Solomon(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의 한국판(STAXI-K)을 사용하였다. 분노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한 후 아동의 분노경험 척도를 구성하였다. 아동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김영아,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2010)의 자기보고식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중 내재화 문제행동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등 (2010)의 자기보고식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중 공격행동 외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분노대처방식은 Spielberg 등 (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의 한국판(STAXI-K)을 사용하였으며, 3개의 하위영역(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으로 구성되었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79)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분노정서는 우울과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현재 많이 화가 난 상태일수록, 화내는 경향이 높을수록, 분노를 많이 경험할수록 우울과 공격성은 증가한다.
둘째, 아동의 분노와 우울의 관계에 대해 분노억제방식은 중재효과를 미친다. 분노억제가 낮을 때보다 높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우울이 더 증가한다. 또한 분노억제는 부모,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우울을 더 많이 증가시킨다.
셋째, 아동의 분노와 우울의 관계에 대해 자아존중감은 중재효과를 미친다.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우울이 더 많이 증가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부모,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우울이 더 많이 증가한다.
넷째, 아동의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분노표출방식과 분노억제방식은 중재효과를 미친다. 분노표출과 분노억제가 낮을 때보다 높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공격성이 더 많이 증가한다. 또한 분노표출은 부모,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공격성을 더 증가시킨다.
다섯째, 아동의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자아존중감은 중재효과를 미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공격성이 더 증가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공격성이 더 증가한다.
본 연구결과, 분노경향과 분노경험에서 비롯된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노대처방식(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 그리고 자아존중감 향상프로그램이 적극 실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nger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nger coping style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and depression, and 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nger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nger coping style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and depression,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and aggression.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56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s 5-6 in 2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City. The children's anger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state-anger, trait-anger, anger experience). To measure the status and tendency of children's anger, the 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developed by Spielberg, Krasner and Solomon (1988) was used. The scale for the children's anger-experience was constructed after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nal/external behavior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Oh Gyeong Ja, Kim Young Ah, Ha Eun hye, and Lee He Ryeon, Hong Gang Ui (2010) to measure children's depression and aggression. Children's anger coping styles were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developed by Spielberg, Krasner and Solomon (1988) and it was composed of three sub-styles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Children's self-esteem were measured by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Dr. Morris Rosenberg(197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use of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ger of the childre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higher level of children's anger, the more depression and aggression are increased. Second, the anger-i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tendency and depression. If the level of anger-in is relatively high, the depression of a child who has relatively high trait-anger increases higher. In addition, anger-out and anger-in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anger tendency and aggression. If anger-out is relatively high,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has relatively high trait-anger increases higher. In addition, if anger-in is relatively high,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has relatively high trait-anger increases higher. Third, child's anger-experiences caused by parents or teachers have negative influences on child's depression. Anger-in increases more depression in children who experience anger more frequently. Anger-out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s caused by parents, teachers, and peers and aggression. If anger-out is relatively high,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experience anger more frequently increases higher. Fourth,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ger and depression. If self-esteem is relatively low, the depression of a child who has high anger tendency increases higher.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tendency and aggression. If self-esteem is relatively low,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has high anger tendency scale increases higher. Fifth,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s caused by parents, teachers or peers and depression.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 caused by teachers and peers and aggression.
The findings on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reduce child depression and aggression originated from anger, training program to have proper anger coping style and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울증, 박원명, 민경준, 서울:시그마프레스, , 2013
2. 우울증,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가림출판사, , 2005
3. 심리학개론, 월레스, 페트리카 M, 율곡, 서울:형설출판사, , 1990
4. 신청소년심리학, 정인석, 서울:대왕사, , 1988
5. 빨라지는 사춘기, 김영훈, 서울:SEEDPAPER, , 2012
6. 아동발달의 이해, 정옥분, 서울:학지사, , 2011
7. 숨은 분노의 반란, 한기연,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13
8.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이은해,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06
9. 아동의 분노체험 분석, 박성희, 박향숙,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10.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 전겸구, 재활심리연구,6(1),173-190, , 1999
1. 우울증, 박원명, 민경준, 서울:시그마프레스, , 2013
2. 우울증,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가림출판사, , 2005
3. 심리학개론, 월레스, 페트리카 M, 율곡, 서울:형설출판사, , 1990
4. 신청소년심리학, 정인석, 서울:대왕사, , 1988
5. 빨라지는 사춘기, 김영훈, 서울:SEEDPAPER, , 2012
6. 아동발달의 이해, 정옥분, 서울:학지사, , 2011
7. 숨은 분노의 반란, 한기연,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13
8.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이은해, 학지사, 서울:학지사, , 2006
9. 아동의 분노체험 분석, 박성희, 박향숙,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10.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 전겸구, 재활심리연구,6(1),173-190, , 1999
11. 분노에 대한 생행동적 연구, 민성길, 간호학 탐구,12(2),72-104, , 2003
12. 분노에 대한 인간학적 고찰, 권혁남,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인간연구,19,77-105, , 2010
13. 발달심리학-전생애 인간발달, 정옥분, 서울:학지사, , 2004
14. 변량분석과 회귀분석(개정판), 박광배, 서울:학지사, , 2003
15. 청소년기 여성의 분노표현 유형, 문소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6. 아동의 분노표현과 또래폭력 경험, 김귀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2005
17. 청소년기 우울의 특징과 문제행동, 임영식, 청소년행동연구 ,2,56-72, , 1997
18.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전귀연, 최보가,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1(2),41-54, , 1993
19.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자기 보고용, 김영아, 홍강의, 이혜련, 오경자, 하은혜, 서울:㈜ 휴노, , 2010
20. 분노의 심리적 과정 모형에 관한 연구, 고영인, 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부산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연구보.28(1),133-164, , 1993
21.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의 관계, 김성일, 정용철,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 구,12(1),5-27, , 2001
22. 분노표현양식과 편집증 및 우울의 관계, 이훈진,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19(3),427-438, , 2000
23.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과 적응과의 관계, 김경연, 김희화, 대한가정학 회지,37(4),59-69, , 1999
24. 특성분노,분노표현양식과 비합리적 신념, 고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25. 초등학생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정숙, 이현, 권선주, 유정선, 안윤영,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5(2),67-82, , 2010
26. 개정 영유아?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황해익, 손원경, 최혜진, 송연숙, 서울:창지사, , 2008
27. 다큐프라임 당신이 진짜 화내는 이유 3부작, 안재희, 서울:교육문화방송, , 2014
28. 사회계층별 학령기 아동의 분노에 관한 연구, 백미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2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최인령, 최은영, 한국학교보건학회, 한국학 교보건학회지,15(1),63-72, , 2002
30. 학령기 아동의 분노 경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채혜정,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과 권리,8 (4),671-703, , 2004
31. 분노표현방식과 우울 및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최성일, 조맹제, 신민섭, 김중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신경정신의학,40(3),425-433, , 2001
32. 청소년의 분노정서경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안정미, 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 년학연구,19(3),267-292, , 2012
33.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 및 청소년기 우울증상, 오경자, 김은정, 대한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3(1),117-128, , 1992
34. 내원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따른 MMPI반응특징, 김재환, 신미영, 한국심리학회지:임상,20(2),299-309, , 2001
35. 대학생의 분노 표현방식과 우울 및불안과의 관계, 김상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효성가톨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6
36. 또래지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과 귀인, 이미순, 이미순, 연세대학교, 연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 1995
37. 분노신념과 분노표현이 정신 병리에 미치는 영향, 김모아, 가톨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38. “아동기 후기의 열등감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김은진, 한양대학교 대학 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39. 인간발달Ⅰ-아동발달 (박성연 역).서울:교육과학사, Olds,S.W., Feldman,R.D., Papalia,D.E., (원저 1989출판), , 1991
40. 청소년의 분노수준, 분노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김광수, 교육심리연 구,17(3),393-410, , 2003
41. 우울증의 한 취약성요인으로서 자존감에 관한 고찰, 최미례, 중앙대학교, 성격 및 개인차 연구,5(1),103-117, , 1996
42. 청소년기 여성의 분노표현 및 해결방법의 질적연구, 권혜진, 중앙의대 지,17(3),287-299, , 1991
43. 초등학생의 분노표현 양식과 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 정민경, 계명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45.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이성희, 서강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46.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분노양상모형의 연구, 임미옥, 경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47.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개발연구: Ⅳ, 전겸구, 이준석, 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7(1),33-50, , 2000
48. 청소년기 우울장애의 성차에 대한 인지적 왜곡의 영향, 이희연,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49.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강신덕, 서울대학교,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9
50.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분노표현방식 및 우울과의 관계, 서송이, 홍익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51. 고등학생의 분노표현 방식 우울 및 공격성 간의 관계연구, 주지영,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52.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공격성 지각 간의 관계, 송지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53. 웃음감각과 아동의 분노조절,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관계, 조상윤,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신통합치유학과 심신치유교육학 박사학위논문, , 2012
54. 아동의 성격차원과 분노표현의 관계 : 특성분노의 매개효과, 남주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55. 학령후기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우울 및 분노와의 관계, 이호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56. 국내 분노조절 프로그램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 중심으로), 이현, 권선주, 이정숙, 안윤영, 유정선,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5(1),1-22, , 2010
57.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권보형,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58. 초등학생의 귀인양식과 생활사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송선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59. 아동의 분노 및 공격성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이성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60. 아동의 우울수준에 따른 귀인성향 및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 이미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6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심승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6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존중감 및 공격성의 관계, 오현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63. 자기노출이 분노 억제 경향이 있는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임소영,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65. Kail.아동과 발달 (권민균,김정민,최형성 역).서울:시그 마프레스, Robert,V., (원저 2007출판), , 2008
66.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과의관계, 김여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7
67. 부모의 분노표현방식 및 아동의 분노표현방식과 자기주장 행 동, 손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6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어주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8
69. 청소년의 우울 감소를 위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조미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70.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71.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대한 체험 분석, 이규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9
72. 아동의 분노원인, 분노표현,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장혜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73.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과의 관계, 이재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74. 분노신념과 분노표현이 불안,우울,정신병질,자기애 에 미치는 영향, 김모아, 이영호, 인간이해,34(2),193-213, , 2013
75. 분노통제 훈련이 비행청소년의 분노 및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임태숙, 임태숙,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2
76. Myers.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 .(신현정,김비아 역).서울: 시그마프레스, David,G., (원저 2007출판), , 2013
77. 현대이상심리학(2판).서울:학지사. 권이종,김용구.(2007).청소년이해론, 권석만, 교육과학사, , 2013
78. 고등학생의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우울 및 공격성 의 차이, 김미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79. 분노통제 프로그램이 부적응아동의 분노와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백영,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7
80. Shaffer.발달심리학.(송길연,장유경,이지연,정윤경 역). 서울:시그마프레스, David,R., (원저 2002출판), , 2009
81.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미치는 영향, 어주경, 홍명숙,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14(6),3911-3928, , 2013
82. 청소년의 분노경험과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 이은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83.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의 매개효과, 김지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85. 지각된 가족 기능성, 부부 갈등, 자아존중감, 영성 및 청소년 공격성 간의 관계, 채유경, 예술심리치료연구,1(1),74-89, , 2005
86. 탄력성과 분노사고 및 분노표현의 구조적 관계: 유아자녀를 둔어머니 중심으로, 박현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87. 아동과 초기청소년의 사회적 행동,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관계, 김애경, 아동학회지,22(3),271-285, , 2001
88. 초등학생의 분노유발상황에 초점을 둔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이미경,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90. 자아존중감 발달에 관한 횡단 연구.전라남도 지역의 초,중,고등 학생과 교사를 중심으로, 정희옥, 교육학연구,41(3),451-464, , 2003
91. 어머니 관련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종단적 자료의 인과적 분석, 김경연, 한국심리학회지:발달,6(1),37-50, , 1993
92. 인지행동적 분노대처훈련이 분노수준이 높은 아동의 분노, 충동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김호숙,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93. 아동 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우울성향:일상적 스트레스,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심희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36(6),133-144, , 1998
94.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모지지, 부모감독, 친구지지의 중재효과, 박정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95.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음주·흡연 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김정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96. 부모-자녀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우울, 분노를 매개로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주영, 한국청소년연구,25(2),237-263,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