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난민은 보호받아야 하는가? = Why Should Refugees Be Protec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8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규범으로서 당연시 여겨지는 난민보호의 규범성에 대해재성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난민은 보호받아야 하는가? 어떤 근거로 개별 국가를포함한 국제사회는 난민보호...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규범으로서 당연시 여겨지는 난민보호의 규범성에 대해재성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난민은 보호받아야 하는가? 어떤 근거로 개별 국가를포함한 국제사회는 난민보호의 책임이 있는가? 본 논문은 난민협약과 난민의정서에 반영된 규범적 원칙과 논리를 모두 포괄하지 못하겠지만, 비록 시론적인 수준에서 나마 어떤 규범적인 근거와 이유로 난민을 보호해야 하며 지원해야 하는지에대한 근본적인 논의를 풀어보기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논문은 인권, 박해, 비자발적 이주에 근거한 난민보호의 규범성 논리와 더불어, 이러한 논리가 국가주권, 문화권리, 자발적 이주의 논리와 서로 갈등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본 논문의 의도는 난민법의 제정과 시행에 관한 문제제기도 아니며 국제규범으로서의 난민보호에대한 회의를 지적함도 아니다. 오히려 난민보호의 국제규범을 따르고 이를 국내법으로 보다 잘 수용하기 위해서, 난민보호의 규범성에 대한 기초를 견고히 다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는 난민보호의 규범성의 논리를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규범성 논리의 정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함께 보여주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sit the normative justification of refugee protection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well-established international norm. Why should refugees be protected? On what basis should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sit the normative justification of refugee protection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well-established international norm. Why should refugees be protected? On what basis should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each state be held responsible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refugees? Although this paper does not intend to cover all normative principles and logics embedded in international refugee laws, it tries to raise a fundamental question over the international norm of refugee protection even in a preliminary level. For this purpose, it focuses on examining the issues of human rights, persecution, forced migration as the normative grounds for refugee protection and also shows how these grounds are indeed in the matter of contention. This paper aims to suggest neither the skepticism of international norm nor the criticism of the recently enacted refugee law in Korea. Rather, it purposes to show that in order to properly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norm and rightly reflect it in the domestic law,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normative justification of refugee protection should be proceeded in the academia of refugee studies, which this paper aims to pres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張福姬, "현대국제법상 난민의 정의와 박해의 의미의 변화" 대한국제법학회 47 (47): 9-182, 2002

      2 경향신문, "한국의 난민행정, 난민법 시행 이후 달라졌나"

      3 고문현, "한국에서의 난민의 현황과 난민인정절차의 개선방안"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1-24, 2008

      4 한상대, "한국에서의 난민보호의 현황과 과제" 국가인권위원회 2007

      5 정인섭, "한국에서의 난민 수용 실행" 서울국제법연구원 16 (16): 197-222, 2009

      6 김현미, "한국 체류 난민 등의 실태조사 및 사회적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0

      7 신지원, "한국 난민정책의 방향성과 정책의제 연구" IOM 이민정책연구원 2012

      8 중앙일보, "한국 난민법 내달 발효...신청 6개월 후 취업 가능"

      9 이철우, "탈국가적 시민권은 존재하는가" 비판사회학회 (79) : 62-87, 2008

      10 이병렬, "캐나다, 호주, 독일, 프랑스 난민정책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33-68, 2011

      1 張福姬, "현대국제법상 난민의 정의와 박해의 의미의 변화" 대한국제법학회 47 (47): 9-182, 2002

      2 경향신문, "한국의 난민행정, 난민법 시행 이후 달라졌나"

      3 고문현, "한국에서의 난민의 현황과 난민인정절차의 개선방안"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1-24, 2008

      4 한상대, "한국에서의 난민보호의 현황과 과제" 국가인권위원회 2007

      5 정인섭, "한국에서의 난민 수용 실행" 서울국제법연구원 16 (16): 197-222, 2009

      6 김현미, "한국 체류 난민 등의 실태조사 및 사회적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0

      7 신지원, "한국 난민정책의 방향성과 정책의제 연구" IOM 이민정책연구원 2012

      8 중앙일보, "한국 난민법 내달 발효...신청 6개월 후 취업 가능"

      9 이철우, "탈국가적 시민권은 존재하는가" 비판사회학회 (79) : 62-87, 2008

      10 이병렬, "캐나다, 호주, 독일, 프랑스 난민정책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33-68, 2011

      11 이재강, "출입국항에서의 난민인정신청 문제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97-341, 2014

      12 김남국, "유럽연합(EU)의 인권정책: 전쟁, 난민 그리고 정체성" 한국EU학회 12 (12): 37-73, 2007

      13 김희강, "여성인권의 딜레마" 한국정치학회 43 (43): 99-123, 2009

      14 고기복, "북한이탈주민의 인도적 처리를 위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12 (12): 423-456, 2006

      15 이용호, "민족공동체의 과제―탈북자의 난민인정 여부 및 그 보호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36) : 198-227, 2007

      16 김남국,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 세계 인권 선언에서 문화다양성 협약까지" 한국국제정치학회 50 (50): 261-284, 2010

      17 윤혜선,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단초로서의 이민제도의 고찰: 북미의 이민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381-425, 2012

      18 조정현, "난민지위협약상 박해의 이유" 경인문화사 2011

      19 주진열, "난민지위협약상 박해의 의미,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 경인문화사 2011

      20 황필규, "난민지위협약상 공포의 의미" 경인문화사 2011

      21 김종철, "난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개선 과제와 방향: 강제 이주민의 성격을 고려한 권리 중심적 접근"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11-128, 2010

      22 박종일, "난민의 발생과 국민국가의 대응 : 난민수용 논란을 통해 본 한국의 이주자정책" 5.18연구소 13 (13): 199-236, 2013

      23 정인섭,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 경인문화사 2011

      24 정인섭,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 경인문화사 2011

      25 정인섭,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 경인문화사 2011

      26 오승진, "난민여성의 보호 -난민협약상 사회집단의 구성원개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3 (33): 433-452, 2009

      27 한겨레21, "난민법은 있으나 돈은 없다"

      28 오승진, "난민법 제정의 의의와 문제점" 대한국제법학회 57 (57): 91-112, 2012

      29 황필규, "난민법 제·개정 논의의 쟁점" 37-64, 2008

      30 김종철, "난민법 입법과정과 제정법의 의의 및 향후 과제" 12 : 135-187, 2012

      31 경향신문, "난민 쫓는 난민법"

      32 장복희, "국제인권법에서 바라본 단일 난민법 제정의 의의" 한국법학원 (110) : 280-301, 2009

      33 장복희, "국제인권법상 난민의 보완적보호와 국내법제도 개선" 안암법학회 (27) : 651-680, 2008

      34 김철민, "국제 난민구호 모델의 동북아 적용성 비교연구: 탈북자 사례를 중심으로" 10 : 167-191, 2005

      35 난민인권센터, "국내난민현황"

      36 국가인권위원회, "국내 외국인난민 인권실태조사" 2008

      37 연합뉴스, "‘난민법’ 7월부터 전면 시행...‘아시아 최초.’"

      38 Donald, Jeanne, "Who is a Refugee?: A Comparative Case Law Study" Kluwer Law International 1997

      39 UNHCR, "UNHCR Handbook for the Protection of Women and Girls"

      40 Haddad, Emma, "The Refugee in International Society: Between Sovereig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41 Betts, Alexander, "The Refugee Regime Complex" 29 (29): 12-37, 2010

      42 Habermas, Jürgen, "The Inclusion of the Other" MIT Press 2001

      43 Boswell, Christina, "The Ethics of Refugee Policy" Aldershot 2005

      44 Carens, Joseph H., "The Ethics of Immi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5 Gibney, Matthew J., "The Ethics and Politics of Asylum: Liberal Democracy and the Response to Refuge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6 UN General Assembly,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Office of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to carry on its mandate. Note by the Secretary-General" UN Doc

      47 Walzer, Michael, "Spheres of Justice" Basic Books 1983

      48 Fitzpatrick, Joan, "Revitalizing the 1951 Refugee Convention" 9 : 229-253, 1996

      49 UNHCR, "Refugee Women and International Protection"

      50 UNHCR, "Refugee Protection and Mixed Migration: A 10-Point Plan of Action" UNHCR 2007

      51 Musalo, Karen, "Refugee Law and Policy: A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Approach 4th Edition" Carolina Academic Press 2011

      52 UN,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606 (606): 1967

      53 Ibhawoh, Bonny, "Problems of Protection: the UNHCR, Refugees, and Human Rights" Routledge 2003

      54 van Hear, Nicholas, "Policy Primer: Mixed Migration: Policy Challenge" The Migration Observatory 2011

      55 van Hear, Nicholas, "New Diasporas: The Mass Exodus, Dispersal and Regrouping of Migrant Communities" Routledge/University College London Press 1998

      56 Miller, David, "National Responsibility and Global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7 Loescher, Gil, "Human Rights in Glob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58 UNHCR,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of Refugee Women"

      59 UNHCR, "Guidelines on International Protection: ‘Membership of a particular social group’ within the context of Article 1A(2) of the 1951 Convention and/or its 1967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60 UNHCR, "Guidelines on International Protection: Gender-Related Persecution within the context of Article 1A(2) of the 1951 Convention and/or its 1967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61 Richmond, Anthony H., "Global Apartheid: Refugees, Racism and the New World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62 고기복, "EU국가의 난민인정제도" 한독사회과학회 17 (17): 37-70, 2007

      63 UN,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UN Doc

      64 Wellman, Christopher Heath, "Debating the Ethics of Immigration: Is There a Right To Exclud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65 UN,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189 (189): 1951

      66 Kukathas, Chandran, "Contemporary Debates in Applied Ethics Malden" Blackwell Publishing 2005

      67 Steiner, Niklaus, "Arguing About Asylum: The Complexity of Debates in Europe" St. Martin's Press 2000

      68 임현, "An Evaluation of Korea’s New Refugee Act and Future Challenges" 한국학술연구원 43 (43): 587-615, 2012

      69 조정현, "1951년 난민지위협약상 박해사유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10 (10): 297-31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76 1.2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