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보의 시각화 과정을 통한 작품제작 연구 : 모호함과 불안함에 관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Creating Work through the Process of Data Visualization : Focusing on Data Generated from Ambiguity and Anx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7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이버스페이스와 현실세계를 구분할 수 없는 요즘 시대에 빅 데이터
      는 한 개인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로 작용하고 있다. 한 개인 스스로도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 일정 기준
      에 맞추어 자신을 데이터화 시키고 분석한다.
      인터넷 속의 데이터들이 본인을 정의해주는 것처럼, 본 연구자도 본
      인에게 불안한 심리상태를 조성하는 모호하고, 비물질적인 상태 혹은
      관계들을 1차적․2차적 데이터화 과정을 통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사실에 근거한 정보들 예를 들어 심리검사결과, 본인의 약 복용기록
      및 겪는 부작용들의 기록, 식물의 성분 기록들을 1차적으로 수집하고
      데이터화시켰다. 1차적으로 데이터화를 진행했던 원인은 주관적이었던
      것들이 객관적인 힘을 갖게 되어 불안감을 완화 시켰기 때문이었다. 그
      러나 1차적으로는 불안함을 완화시킬지는 몰라도, 한 인간 혹은 감정들
      이 데이터화 되어가면서 일정 기준에 의해 소멸되거나, 왜곡되거나, 오
      해를 불러일으킬만한 소지가 생긴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본인은 2차적 데이터화를 통하여 본인의 1차적 데이터의
      결과물들을 비논리적이며, 과학적이지 않은 본인의 기준에 따라 데이터
      를 재생성 해내었다. 약 복용 시간을 음계로 변환시키는 과정, 부작용을
      치료하기 위하여 필요한 성분들의 정보들을 섞어 비정형적 이미지를 생
      성하는 과정, 필요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들을 모아 상상의 약초들
      을 만드는 과정이 2차적 데이터 생성의 예이다. 즉, 본인이 정해놓은 일
      정기준을 통하여 생성된 2차적 부산물들이 시각화 및 청각화 되는 과정
      (비과학적, 비논리적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화 되어지는 인간의 모습의
      허구성을 작품을 통하여 대변하였다.
      번역하기

      사이버스페이스와 현실세계를 구분할 수 없는 요즘 시대에 빅 데이터 는 한 개인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로 작용하고 있다. 한 개인 스스로도 사이버스...

      사이버스페이스와 현실세계를 구분할 수 없는 요즘 시대에 빅 데이터
      는 한 개인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로 작용하고 있다. 한 개인 스스로도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 일정 기준
      에 맞추어 자신을 데이터화 시키고 분석한다.
      인터넷 속의 데이터들이 본인을 정의해주는 것처럼, 본 연구자도 본
      인에게 불안한 심리상태를 조성하는 모호하고, 비물질적인 상태 혹은
      관계들을 1차적․2차적 데이터화 과정을 통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사실에 근거한 정보들 예를 들어 심리검사결과, 본인의 약 복용기록
      및 겪는 부작용들의 기록, 식물의 성분 기록들을 1차적으로 수집하고
      데이터화시켰다. 1차적으로 데이터화를 진행했던 원인은 주관적이었던
      것들이 객관적인 힘을 갖게 되어 불안감을 완화 시켰기 때문이었다. 그
      러나 1차적으로는 불안함을 완화시킬지는 몰라도, 한 인간 혹은 감정들
      이 데이터화 되어가면서 일정 기준에 의해 소멸되거나, 왜곡되거나, 오
      해를 불러일으킬만한 소지가 생긴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본인은 2차적 데이터화를 통하여 본인의 1차적 데이터의
      결과물들을 비논리적이며, 과학적이지 않은 본인의 기준에 따라 데이터
      를 재생성 해내었다. 약 복용 시간을 음계로 변환시키는 과정, 부작용을
      치료하기 위하여 필요한 성분들의 정보들을 섞어 비정형적 이미지를 생
      성하는 과정, 필요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들을 모아 상상의 약초들
      을 만드는 과정이 2차적 데이터 생성의 예이다. 즉, 본인이 정해놓은 일
      정기준을 통하여 생성된 2차적 부산물들이 시각화 및 청각화 되는 과정
      (비과학적, 비논리적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화 되어지는 인간의 모습의
      허구성을 작품을 통하여 대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s where cyber space and the real world are not distinguishable, big 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various fields from politics and the economy to society. Individuals also make into data and analyze themselves in cyberspace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As online data defines me, I created work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 of datafying (making into data) ambiguous and immaterial relationships and statuses that cause my anxiety.
      U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s as examples, I primarily collected and datafied the result of psychological examinations, the records of taking medication and its side effects, and the records of the substances of the herbs. The reason I primarily conducted the process of making into data is that subjective things obtained the objective power, soothing anxiety. They might soothe anxiety at first, however, as a human being or emotions are converted into data, they become subject to being extinguished, distorted or misunderstoo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Therefore, I recreated the results of the first datafication according to my own illogical and unscientific criteria through the second datafication. The examples of the second datafication ar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time to take the medicine into music scales, by creating asymmetrical images by mixing information on the substances needed for curing side effects, and by creating imaginary herbs by collecting the plants that contained the required substances. In other words, through certain criteria I set up, I studied the falsehood of the humans being put into data by means of the process in which the by-products of the primary datafication are visualized and auralized (unscientific and illogical).
      번역하기

      These days where cyber space and the real world are not distinguishable, big 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various fields from politics and the economy to society. Individuals also make into data and analyze themselves ...

      These days where cyber space and the real world are not distinguishable, big 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various fields from politics and the economy to society. Individuals also make into data and analyze themselves in cyberspace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As online data defines me, I created work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 of datafying (making into data) ambiguous and immaterial relationships and statuses that cause my anxiety.
      U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s as examples, I primarily collected and datafied the result of psychological examinations, the records of taking medication and its side effects, and the records of the substances of the herbs. The reason I primarily conducted the process of making into data is that subjective things obtained the objective power, soothing anxiety. They might soothe anxiety at first, however, as a human being or emotions are converted into data, they become subject to being extinguished, distorted or misunderstoo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Therefore, I recreated the results of the first datafication according to my own illogical and unscientific criteria through the second datafication. The examples of the second datafication ar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time to take the medicine into music scales, by creating asymmetrical images by mixing information on the substances needed for curing side effects, and by creating imaginary herbs by collecting the plants that contained the required substances. In other words, through certain criteria I set up, I studied the falsehood of the humans being put into data by means of the process in which the by-products of the primary datafication are visualized and auralized (unscientific and illogic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 문 초 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
      • Ⅰ. 서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 1.연구목적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 2.연구방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 Ⅱ. 본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 국 문 초 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
      • Ⅰ. 서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 1.연구목적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 2.연구방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 Ⅱ. 본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 1. 작업동기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 1)불안함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 (1) 타자에 의해 형성되는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불안______ 5
      • (2) 죽음 대한 불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 2)모호함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
      • 2. 작업의 전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
      • 1) 모호함의 가시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
      • 2) 사적인 데이터 수집:
      •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두지 않는 데이터 기록 및 수집___ 12
      • 3) 데이터화 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오류들________________ 13
      • 4) 주관적 기준에 의해 2차적으로 시각화 된 데이터의 허구성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
      • 3. 연구제작 작품 및 설명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
      • 1) 작품 ‘Hisformedbyothers'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
      • 2) 작품 ‘Synthroid Tab.0.1&0.05mg_Everyday, Every Morning, Forever’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4
      • 3) 작품 ‘Surviving the Side Effect of the Side Effect …of Side effect from Synthroid Tab. 0.1&0.05mg’___________ 31
      • 4) 작품 ‘Panacea'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5
      • Ⅲ. 결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8
      • 도판목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9
      • 참고문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1
      • Abstrac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