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 경향 분석 = Developmental Trends i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34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창의성에 대한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창의성을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하위...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창의성에 대한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창의성을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하위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시도별로 편의 표집을 통해 초등학생(1-6년) 2,248명의 창의성을 측정하고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능력 및 하위 요인(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사고의 민감성, 정교성) 점수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 요인에 따라 다른 발달 양상을 보였다. 반면, 창의적 성격 및 하위 요인(호기심, 민감성, 과제집착력, 유머, 독립/모험성, 문제해결 리더십) 점수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에 따라 다른 발달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혔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점수를 합한 창의성은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2학년 때 낮아지다가 상승한 다음, 다시 5학년 때 낮아졌다가 6학년 때 상
      승하는 W자 형태의 발달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인성교육에 기초한 초등학생들의 창의성 발달 경향에 관한 연구는 물론 초등학교 각 학년 특성에 적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or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Individual Creativity Test, developed by Kyung-Hwa Lee, was used to measure creativity. This test consists of...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or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Individual Creativity Test, developed by Kyung-Hwa Lee, was used to measure creativity. This test consists of two domains, creative abilities (flexibility,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sensitivity to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ies (curiosity, sensitivity, task commitment, humor, challenge, leadership of problem solving). Approximately 2,248 participants were selected all over the Korea. Developmental trends by grades was analyzed.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core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increased from the first grade to the sixth grade. There was no fourth grade slump as proposed by Torrance (1968). Rather, this result supported the increment view in creative thinking with age. Older children are supposed to be higher in creativity as their social experience and education training become broader.
      However, the scores of creative personality decreased from the first grade the sixth grade steadily in this study. As children get into higher grades, they are more likely to compare and evaluate with their peers. Also, they are under more peer pressure to confirm. These negative climates block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older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초중등 학생용 집단 창의성 검사(발간 예정)" 학지사 2011

      2 이신동,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격 발달 경향" 15 : 81-102, 2005

      3 이경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른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및 영역 창의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19-134, 2006

      4 이경화, "초․중등 학생용「집단 통합 창의성 검사」개발 및 표준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291-305, 2012

      5 김영채, "창의적 성격 특성: 학교교육을 통한 발달경향 및 교과 성적과의 상관" 39 (39): 1-24, 2001

      6 이경화, "유아?초등학생용『한국형 개별 창의성검사』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23-1042, 2005

      7 정미선,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대한사고개발학회 6 (6): 69-88, 2010

      8 유연옥, "그림 창의성 검사(TCT-DP)에 의한 아동의 창의성 발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53-71, 2003

      9 Lopez, E. C, "The creative skills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gifted students" 6 : 401-412, 1993

      10 Rosenblatt, E., "The art of children's drawings" 22 (22): 3-15, 1988

      1 이경화, "초중등 학생용 집단 창의성 검사(발간 예정)" 학지사 2011

      2 이신동,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격 발달 경향" 15 : 81-102, 2005

      3 이경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른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및 영역 창의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19-134, 2006

      4 이경화, "초․중등 학생용「집단 통합 창의성 검사」개발 및 표준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291-305, 2012

      5 김영채, "창의적 성격 특성: 학교교육을 통한 발달경향 및 교과 성적과의 상관" 39 (39): 1-24, 2001

      6 이경화, "유아?초등학생용『한국형 개별 창의성검사』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23-1042, 2005

      7 정미선,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대한사고개발학회 6 (6): 69-88, 2010

      8 유연옥, "그림 창의성 검사(TCT-DP)에 의한 아동의 창의성 발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53-71, 2003

      9 Lopez, E. C, "The creative skills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gifted students" 6 : 401-412, 1993

      10 Rosenblatt, E., "The art of children's drawings" 22 (22): 3-15, 1988

      11 Lubart, T. I.,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1995

      12 Lau, S., "Developmental trends of creativity: what twists of turn do boys and girls take at different grades?" 22 (22): 329-336, 2010

      13 Charles, R. E., "Developmental trends in the evaluative and divergent thinking of children" 13 : 417-437, 2000

      14 Claxton, A. F., "Developmental trends in the creativity of school-age children" 17 : 327-335, 2005

      15 조선미, "Development of creativity: The influence of varying levels of implementation of the DISCOVER curriculum model, a non-traditional pedagogical approach" ELSEVIER SCIENCE BV 18 : 402-417, 2008

      16 Smith, G. J., "Creativity in early and middle school years" 6 : 167-195, 1983

      17 Wu, C. H., "Age differences in creativity: Task structure and knowledge base" 17 : 321-326, 2005

      18 Camp, G. C., "A longitudinal study of correlates of creativity" 7 : 125-144, 1994

      19 Torrance, E. P.,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fourth-grade slump in creativity" 12 : 195-199,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6 1.75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