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논문 : 발전(發電)의 믿음, 발전(發展)의 욕망: 물신숭배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원자력 낙관주의 = The Belief in Nuclear Power Generation, The Desire for Economic Development: Optimism on Atomic Energy in Korean Society in View of Fetishism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8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후쿠시마`` 이후 한국사회의 대중들은 핵발전의 위험성에 대해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핵발전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원자력 ...

      ``후쿠시마`` 이후 한국사회의 대중들은 핵발전의 위험성에 대해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핵발전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원자력 낙관주의``라 규정하고, 이를 물신주의적 믿음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2절에서는 원자력 낙관주의의 범례로서 나가이 다카시(永井隆)의 생애와 사상을 예비적으로 검토했다. 특히 원자력에 대한 그의 낙관적 믿음을 만들어낸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의사 외에 그가 지녔던 원자물리학자, 가톨릭신자, 황국신민의 정체성을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나가이 다카시의 경우는 원자력 낙관주의 분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중요한 이론적 실마리를 제공했다. 첫째, 원자력에 대한 나가이의 낙관적인 ``믿음의 원인``이 그 ``믿음의 대상``인 원자력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그의 종교적·이데올로기적 욕망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원자력``이란 대상이 그에게는 피폭 체험 이전부터 갖고 있었고, 피폭을 계기로 더욱 극대화된 어떤 욕망과 환상이 빚어낸 ``물신(物神)``임을 보여주었다. 제3절에서는 ``후쿠시마`` 이후 한국사회의 ``핵에 관한 대중적 수용성``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후쿠시마`` 이후 수행된 다양한 조사들과 연구들은 한국의 대중들은 ``후쿠시마``의 재앙을 간접적으로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핵발전의 사회적 필요성 및 경제적 효용성에 근거하여 핵발전에 대한 낙관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후쿠시마`` 이후 한국사회의 원자력 낙관주의는 가장 합리적인 형태로 핵의 경제성에 대한 물신주의적 믿음을 만들어내면서, 결국 핵에너지의 위험성과 핵발전과 연관된 다양한 사회적 고통들을 은폐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제4절에서는 ``원자력 낙관주의``를 종교적 믿음에 비견되는 ``물신주의적 믿음``으로 구체화하여, 그러한 물신주의적 믿음이 어떤 논리구조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단지 경제적 효율성이 가장 높다는 이유로 핵발전의 필요성을 "그냥 그대로 믿어 버리는 차원"으로 만들어버린 원자력 낙관주의 역시 ``핵에너지``나 ``핵발전``과 같은 혐오스럽고 불편한 이름 대신 ``원자력``이나 ``원전``이라는 안전하고 깨끗한 이름으로 불리는 특수한 에너지 상품의 생산 및 사회적 유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물신숭배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와 더불어 물신숭배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의 핵심인 가상 또는 외양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의 대중들이 핵발전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는 태도를 ``물신주의적 믿음``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신학적으로나 종교학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갖고 있는지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제5절에서는 핵발전의 ``경제성`` 담론에 대중들이 물신숭배에 가까운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 까닭은 사실상 그것이 대중들 자신의 무의식적 욕망 및 환상에 강하게 조응하기 때문임을 주장했다. 핵에 관한 대중적 수용성, 또는 원자력 낙관주의가 발전(發展)을 둘러싼 대중의 강력한 욕망과 환상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핵발전 중심의 에너지정책이 계속해서 논쟁을 야기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는 여전히 핵발전이 물신주의적 믿음의 대상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물신주의적 믿음``의 한 형태로서 원자력 낙관주의는 발전주의적 자본주의 체제가 빚어낸 ``객관적 사유형태``이자 ``필연적 가상``이라는 사실을 다시 강조하였다. 발전주의적 자본주의 체제를 구조화하고 있는 현재의 사회적 관계를 변혁하지 않는 이상 대중들의 물신화된 원자력 낙관주의 역시 결코 제거될 수 없음을 역설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general public knows very well about dangerousness of nuclear power, but still, they maintain an optimistic attitude toward nuclear energy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This article defines as ``The Optimism on Atomic En...

      The Korean general public knows very well about dangerousness of nuclear power, but still, they maintain an optimistic attitude toward nuclear energy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This article defines as ``The Optimism on Atomic Energy`` such a social phenomenon, and analysis it critically in terms of fetishistic belief. To this end, at first we reviewed Takashi Nagai`s life and thought as a model example of optimism on atomic energy in the second section. Above all, we paid attention to his three identities to be called an atomic scientist, Catholic and subjects of Japanese empire to determine what made his optimistic belief in nuclear power. His case offered us important two clues. Firstly, It goes to show that cause of his optimistic belief in nuclear power not in the nuclear power itself but in his religious and ideological desires for something different. Secondly, the nuclear power exposed as a ``fetish`` that some kinds of desire and fantasy made, which had already before the atomic bombing of Nagasaki, and had been strengthened taking that opportunity. The next thing, in the third section we researched change of ``the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after ``the Fukushima`` in Korean society. Many researches and studies performed after ``the Fukushima`` showed that while the Korean general public indirectly experienced disaster of ``the Fukushima``, they still maintain an optimistic attitude toward nuclear energy. Therefore, we pointed out that the optimism on atomic energy in Korean society after ``the Fukushima`` made fetishistic belief in the economic efficiency of nuclear power, and then suppressed dangerousness of nuclear energy and various social sufferings deeply involved with nuclear power. In the fourth section, we considered that what logical structure fetishistic belief has internally, specifying ``the optimism on atomic energy`` into a discussion on ``the fetishistic belief`` that can be compared to religious belief. Also the optimism on atomic energy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fetishism, because nuclear energy is considered as vital energy and be unquestioningly accepted among the people for the sole reason it has the highest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we explained what the way that approach to ``the optimism on atomic energy`` in terms of ``fetishistic belief`` means to theological studies or religious studies, focusing on the imagination or the appearance of the kernel in Marx`s theory of commodity fetishism. Finally, in the fifth section we demonstrated that the reason, of which the Korean general public shows fetishistic attitude in dealing with the discourse on economics of nuclear energy, is, optimism of nuclear power closely correspond to their own unconscious desires for development. In conclusion, we reconfirmed that optimism of nuclear power is ``the objective thought forms`` in the developmental capitalism. Thus unless we transform current our own social relations that structuring developmental capitalism, we will never remove optimism of nuclear power that the Korean general public has under any circumsta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