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책을 시작하며 : 인공 지능이 온다 = 5
- 1부 질문
- 1장 인공 지능 조감하기 = 13
- 2장 인공 지능과 알고리듬 = 27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5871992
서울 : 사이언스북스, 2020
2020
한국어
006.3303.483 판사항(23)
9791190403740 94550 : ₩18500
9791190403726 (세트)
단행본(다권본)
서울
미래는 AI의 것일까? : 인공 지능과 미래 사회 / 이찬규 엮음
310 p. : 삽화, 도표 ; 22 cm
AI 인문학 ; 2 AI 인문학 ; 2
지은이: 강우규, 김교성, 김바로, 김중권, 남영자, 박소영, 박지영, 박충식, 박평종, 심지원, 이유미, 이재성, 최병관
기획: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사업단
후주(p. 289-302)와 찾아보기(p. 303-310)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미래는 AI의 것일까? (인공 지능과 미래 사회)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 이후 한국 사회에서 인공 지능은 일상이 되었다. 광고는 물론이고, 신문과 방송, 그리고 포털에서 ‘인공 지능’, ‘AI’ 같은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국민의 ‘인공 지능 문해력/소양(AI literacy)’을 이야기하고, 기업에서는 관련 인재를 채용하지 못해 혈안이 되어 있다. 정치인들은 인공 지능이 불러올 고용 불안을 지렛대 삼아 기본 소득이니, 복지니 자기 정치를 팔고, 학부모들은 자식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에서 아이들을 ‘AI 사교육’ 시장으로 밀어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