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료방송 플랫폼에서의 VOD 서비스 이용행태 연구 = Analysis of VOD Service Usage on Pay Platform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7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청행태 변화로 VOD가 중요한 콘텐츠 소비행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VOD 이용행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실제 이용 데이터를 토대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

      시청행태 변화로 VOD가 중요한 콘텐츠 소비행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VOD 이용행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실제 이용 데이터를 토대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증 자료를 토대로 VOD 서비스 이용행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동일한 VOD 서비스가 가입유형별로 이용행태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이유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은 산업적으로나 학문적으로도 중요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료방송 가입유형에 따라 VOD 서비스 이용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가입자당 `VOD`이용시간은 `IPTV` 가입자(월 730분)가 `디지털케이블TV` 가입자(250분)보다 약 3배나 많았다. 그러나 `히트`당 VOD 이용시간은 디지털케이블TV 가입자(37분)가 IPTV 가입자(24분)보다 1.5배 길었다. 이는 디지털케이블TV 가입자는 주로 분량이 긴 방송VOD를, IPTV 가입자는 방송VOD 이외에도 길이가 짧은 다양한 비방송VOD를 빈번히 이용하기 때문이다. IPTV 가입자가 디지털케이블TV 가입자보다 가입자당 `방송VOD`는 3배(월530분 : 162분), `비방송VOD`는 2.3배(월 200분 : 87분) 많았다. 이러한 유료방송 가입유형별 VOD 이용량의 차이는 IPTV 서비스의 이용 편리성, 다양한 콘텐츠 확보, 젊은 가입자 연령 등이 주요 요인일 것으로 보인다. `방송VOD` 공급자는 매체별로는 `지상파`(지상파 75.8%, 종편 15.4%, CJ계열PP 8.6%)가, 장르별로는 `예능`(예능 58.7%, 드라마34.6%, 기타 6.7%)이 핵심 장르임을 확인했다. 한편, `실시간 시청`과 `VOD 시청`과의 관계를 매체별, 채널별, 프로그램별, 장르별 등 여러 유형별로 구분해 `상관계수`를 통해 확인한 결과, 대부분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종편PP의 경우 채널별 방송VOD 시청시간은 프로그램 제작비 투자와 비례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changes in viewing patterns, VOD service has become an important way to consume cont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nalyzes domestic VOD usage on pay platforms based on actual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VOD service usage varies g...

      Due to changes in viewing patterns, VOD service has become an important way to consume cont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nalyzes domestic VOD usage on pay platforms based on actual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VOD service usag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cription to pay platforms. VOD viewing time per subscriber for IPTV subscribers(730min/mo) was more than three times that of digital cable TV(250min/mo) subscribers, and the number of hits was 4.5 times more. However, VOD viewing time per hit for digital cable TV subscribers(37min) was 1.5 times more than that of IPTV subscribers(24min). This is because digital cable TV subscribers usually watch longer VOD broadcasts, and IPTV subscribers watch diverse types of shorter, non-broadcast VOD other than broadcast VOD. “Broadcast VOD” per subscriber for IPTV subscribers was three times more than that for digital cable TV subscribers (530min/mo vs. 162 min/mo), and 2.3 times more for non-broadcast VOD (200min/mo vs. 87min/mo).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usage for VOD service on pay platforms by subscription type appears to be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IPTV service, greater quantity of content, and younger subscribers, but the root causes require further research. By media, terrestrial is the main provider of broadcast VOD (75.8% terrestrial, 15.4% general programming, CJ-affiliate PP 8.6%) and the main genre is “variety programs” (58.7% variety programs, 34.6% drama, 6.7% other). Comparing by type of media, channel, program, and genre us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is mostly not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al-time viewing” and “VOD viewing.” Howev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broadcast VOD viewing time and the investment in program production for general programming P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욱제, "통합 시청점유율 산출 및 활용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4

      2 임정수, "텔레비전 콘텐츠 VOD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와 속성변인의 컨조인트 분석" 한국방송학회 27 (27): 204-243, 2013

      3 한국경제, "지상파-유료방송 ‘수익분쟁’ VOD 광고까지 확전"

      4 박상진, "지상파 실시간 시청과 VOD 시청성과 간의 관계: 올레tv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2 (22): 1-32, 2015

      5 이상호, "지상파 VOD 다시보기 홀드백연장과 TV 콘텐츠 시청행태에 관한 시계열 추세 연구 - IPTV 및 디지털케이블TV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5 (15): 643-650, 2014

      6 황준호, "주문형 방송서비스의 선택과 수용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7 김미경, "인터넷 VOD 드라마 시청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348-367, 2009

      8 이병성, "융합환경에서 지상파 드라마 편성유형이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9 : 527-536, 2015

      9 전범수, "오락 프로그램 유형과 VOD 시청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301-324, 2015

      10 디지털타임즈, "성장세 VOD ‘가격인상’ 찬물 붓나"

      1 성욱제, "통합 시청점유율 산출 및 활용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4

      2 임정수, "텔레비전 콘텐츠 VOD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와 속성변인의 컨조인트 분석" 한국방송학회 27 (27): 204-243, 2013

      3 한국경제, "지상파-유료방송 ‘수익분쟁’ VOD 광고까지 확전"

      4 박상진, "지상파 실시간 시청과 VOD 시청성과 간의 관계: 올레tv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2 (22): 1-32, 2015

      5 이상호, "지상파 VOD 다시보기 홀드백연장과 TV 콘텐츠 시청행태에 관한 시계열 추세 연구 - IPTV 및 디지털케이블TV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5 (15): 643-650, 2014

      6 황준호, "주문형 방송서비스의 선택과 수용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7 김미경, "인터넷 VOD 드라마 시청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348-367, 2009

      8 이병성, "융합환경에서 지상파 드라마 편성유형이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9 : 527-536, 2015

      9 전범수, "오락 프로그램 유형과 VOD 시청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301-324, 2015

      10 디지털타임즈, "성장세 VOD ‘가격인상’ 찬물 붓나"

      11 송종현, "비실시간 방송콘텐츠 내용규제 방안 연구" 37-70, 2012

      1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 2012

      13 이데일리, "방송법에 VOD 담자. 최민희 의원, 법 발의"

      14 "방송법 일부 개정 법률안(2015. 6. 9). 최민희 의원 대표발의(의안접수번호 1915503)"

      15 Legris, P., "Why do people use information technology? A critical re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40 (40): 2003

      16 신지형, "VOD 시청자 동영상 콘텐츠 소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17 김미경, "Th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r’s Attitude toward the Regulation of VOD Contents on Broadcasting Program" 현대사진영상학회 2 (2): 5-23, 2016

      18 이상우, "IPTV-VOD 서비스 선택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46 (46): 9-36, 2009

      19 이문행, "IPTV 가입자의 VOD 서비스 이용 태도 :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81-191, 2010

      20 Mikos, L., "Digital Media Platforms and the Use of TV Content: Binge Watching and Video-on-Demand in Germany" 4 (4): 2016

      21 European Commission, "Amended TVWF Directive. directive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mending council directive 89/552/EEC"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9 1.64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