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의 평가 전문성 발전 방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사례 = Developments of Evaluation Expertise of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for Knowledge Economy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Case of the National IT Promotion Ag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3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첨단화·융합화·복합화 경향이 특히 강한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평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의 전문성이 획기적으로 제고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이 연구는 첨단화·융합화·복합화 경향이 특히 강한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평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의 전문성이 획기적으로 제고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중에서 정보통신 분야의 기반구축과 산업진흥을 담당하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평가 전문성을 평가자 선정, 평가자 전문성 발휘여건, 평가자의 이력관리라는 전 과정 평가관리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평가제도는 다른 기관에 비하여 평가자 선정과 평가자의 이력관리는 양호하나, 평가자의 전문성 발휘 여건은 상대적으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각 분석요소에서의 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대안을 단기와 장기로 분류하여 총 12가지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aims firstly to analyse the evaluation expertise in the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NIPA) which is charge of funding and promoting R&D programs in the field of IT industry, a main part of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for Knowle...

      This work aims firstly to analyse the evaluation expertise in the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NIPA) which is charge of funding and promoting R&D programs in the field of IT industry, a main part of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for Knowledge Econom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It will also discuss the policy means for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expertise of the NIPA. The results show that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NIPA has been fair in stage of the selection of evaluators and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of evaluators. But it will be necessary for improvement in stage of the surroundings supporting the expertise during evaluation practis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valuation expertise of the NIPA, I suggested and discussed 12 polic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short term perspective and long term 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R&D참여인력정보서비스, "현황정보 : 일반현황"

      2 김태희, "평가위원간 네트워크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기술혁신학회 13 (13): 794-817, 2010

      3 박상욱, "평가위원 평가이력 구축⋅관리 및 활용방안 : 평가위원 마일리지 제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4 이장재, "평가위원 및 연구원 마일리지제도 시행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6

      5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평가관리지침(산업기술 인력의 활용 및 공급을 위한사업)"

      6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평가관리지침(기반조성사업)"

      7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평가관리지침"

      8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9 김윤선, "정부 기술지원사업의 성과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17 (17): 267-293, 2009

      10 이찬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제도 고도화 연구"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

      1 국가R&D참여인력정보서비스, "현황정보 : 일반현황"

      2 김태희, "평가위원간 네트워크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기술혁신학회 13 (13): 794-817, 2010

      3 박상욱, "평가위원 평가이력 구축⋅관리 및 활용방안 : 평가위원 마일리지 제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4 이장재, "평가위원 및 연구원 마일리지제도 시행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6

      5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평가관리지침(산업기술 인력의 활용 및 공급을 위한사업)"

      6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평가관리지침(기반조성사업)"

      7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평가관리지침"

      8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9 김윤선, "정부 기술지원사업의 성과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17 (17): 267-293, 2009

      10 이찬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제도 고도화 연구"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

      1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관리 프로세스"

      1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규"

      1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 연구개발사업 평가절차 및 유의사항 안내"

      14 이찬구, "연구기관 평가의 실증 분석: 평가 참여자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12 (12): 36-69, 2009

      15 윤석환, "연구개발 평가자의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291-313, 2012

      16 이찬구, "연구개발 평가의 전문성 향상 방안: 국가 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 (20): 97-124, 2011

      17 이찬구, "연구개발 평가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평가위원회 운영방안: 교육과학기술부의 연구개발사업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0 (20): 237-276, 2010

      18 민중서관, "새로 나온 국어 대사전" 2000

      19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기술인력 양성사업 평가수당 지급 기준"

      20 이윤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성화 전략" 기술경영경제학회 16 (16): 141-163, 2008

      21 지식경제 R&D 종합정보시스템, "e-R&D 소개"

      22 The Joint Committee on Standards for Educational Evaluation,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s(2nd Edition) : How to Assess Evalua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Sage Publications 1994

      23 Miller, Roger, "The Influence of Primary Task on R&D Laboratory Evaluation : A Comparative Bibliometry Analysis" 22 (22): 3-20, 1992

      24 Smith, Richard, "The Future of Peer Review, In Peer Review in Health Sciences" BMJ Books 244-253, 1999

      25 Guston, David H, "The Expanding Role of Peer Review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In Learning fro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Evaluation" Edward Elgar 81-96, 2003

      26 Barker, Katherine, "The British Model : Evaluation by Professionals , In The Strategic Management of Research and Technology : Evaluation of Programmes" Economica International 55-68, 1997

      2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RFID/USN 클러스터 구축사업 최종평가를 위한 현장실태 조사 및평가위원회 개최 결과" 2011

      28 정보통신산업진흥원, "RFID/USN 클러스터 구축사업 최종평가 계획(안)" 2011

      29 Kostoff, Ronald, "Quantitative/Qualitative Federal Research Impact Evaluation Practices" 45 : 189-205, 1994

      30 Chubin, D, "Peerless Science : Peer Review and US Science Policy" SUNY Press 1990

      31 Scott, Alister, "Peer Review and the Relevance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Sussex 2006

      32 The Royal Society, "Peer Review : An Assessment of Recent Developments"

      33 Parliamentary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eer Review"

      34 Smith, Jane, "How to Set up a Peer Review System, In Peer Review in Health Sciences" BMJ Books 135-145, 1999

      35 General Accounting Office, "Federal Research : Peer Review Practices at Federal Science Agencies Vary"

      36 Gibbons, Michael, "Evaluation of Research : A Selection of Current Practices" OECD 1897

      37 HarperCollins Publishers, "Collins Cubuild Learners’ Dictionary" Glasgow 2001

      38 OECD PUMA,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valuation"

      39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Assessing Fundamental Science : A Report from Subcommittee on Research Committee on Fundamental Science"

      40 지식경제부, "2단계 지식경제 R&D 혁신방안" 산업기술개발과 2011

      4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년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지원사업 안내"

      4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0년도 정보통신 연구기반 구축사업 중간평가 결과보고" 2011

      4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0년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관련 법령 및 규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