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임신중 난소종양의 임상적 고찰 = A clinical study on the ovarian tumor in pregna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06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0년 1월초부터 1976년 7월말까지 경험한 임신중 난소종양 66예 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성난소종양의 임신 및 분만에 대한 빈...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60년 1월초부터 1976년 7월말까지 경험한 임신중 난소종양 66예 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성난소종양의 임신 및 분만에 대한 빈도는 각각 1:353, 1:312 이었으며 악성종양의 경우 는 각각 1:7771, 1:6546이었다. 2. 양성난소종양의 7.8%, 악성난소종양의 2.0%가 임신과 합병되었다. 3. 평균 연령은 30세이었으며 연령폭은 21-43세이었다. 4. 평균임신회수는 2.9회(1-21회) 평균 분만수는 1.8회(0-7회)이었다. 5.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양성낭성기형종이 제일 많아 32예(48.5%) 이었으며 장액성낭선종 10예(15.2%), 점액성낭선종 9예(13.6%) 단순낭종 5예(7.6%) 난포막황체낭종 4례(6.1%) 의 순위 이었고, 난소갑상선종, 양성간충조직종, 황체낭포가 각각 1례(1.5%)이었다. 악성종양 으로서 는 위암에서 전이한 Krunkenberg 종양, 장액성낭선암, 악성기형종이 각각 1례있었다. 6. 종양의 발생부위는 우측이 약간 많아 34례(51.5%) 좌측이 25례(37.9%)이었으며 7례(10.6%) 에서 양측성 이었으며 이중 4례의 양성낭성기형종, 2례의 난포막 황체낭종, 1례의 이차성 Krukneberg 종양이 있었다. 7. 초진시 주소, 증상 및 증후로는 하복통이 27례(40.9%)로 제일많았고, 부속기종양 18례 (27.3%), 질출혈 7례(10.6%) 압박증상 5례(7.6%) 하복보 불괘감과 진통이 각각 4례(6.1%) 위장 장애와 복부팽만이 각각 3예(4.5%) 의 순위었으며 증상 및 증후가 없었던 14례(21.2%)는 산 전관호시 진단되었다. 8. 총 66례중 50례(75.6%)에서 수술전 혹은 분만전에 정확히 진단되었다. 9. 임신초기에 30례(45.5%) 증기에 20예(30.3%) 말기 또는 만삭시에 12예(18.2%) 산욕기에 4 례(6%)수술을 시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e incidence of benign tumors in pregnancy was 1 in 353 pregnancy and 312 delivery. Malignant tumors was 1 in 7771 pregnancy and 6546 delivery 2. Benign tumors complicating pregnancy was found in 7.8% among all operated benign tumors and the malig...

      1. The incidence of benign tumors in pregnancy was 1 in 353 pregnancy and 312 delivery. Malignant tumors was 1 in 7771 pregnancy and 6546 delivery 2. Benign tumors complicating pregnancy was found in 7.8% among all operated benign tumors and the malignancy was in 2.0% among all malignant tumors operated. 3. Mean age was 30 years old and the range was 21-43 years old 4. Mean gravidity was 2.9 (1-21) and mean parity was 1.8 (0-7) 5. According to the histopatholgical type, benign cystic teratoma was found in 32cases (48.5%) serous cystadenoma in 10 cases (15.2%) mucinous cystadenoma in 9 caes (13.6%) simple cyst in 5 cases (7.6%) theca lutein cyst in 4 cases (6.1%) and 1 cases (1.5%) of struma ovarii benign mesenchymal tumor and corpus leteum cyst were found the malignant tumors were 1 case of metastatic krukenberg tumor serous cystadenocarcinoma and malignant teretoma. 6. The right side tumor was more common being 34 cases (51.5%) and the left was in 25 cases (37.9%) 4 cases of benign cystic teratoma 2 cases of theca lutein cyst and 1 case metastatic Krukenberg tumor were bilateral. 7. As to the initial chief complaints or the mode of presentation low abdominal pain was found in 27 cases (40.9%) adnexal mass in 18cases (27.3%) vaginal spotting or bleeding in 7 cases (10.6%) pressure symptoms in 5 cases (7.6%) abdominal discomrfort in 4 cases (6.1%) labor pain 4 cases (6.1%) gastroinitestinal troubles in 3 cases (4.5%) and abdominal distension in 3 cases (4.5%) etc. the fourteen cases (21.2%) free of symptoms or signs, were detected at anetnatal care. 8. Among the 66 cases 50 cases (75.6%) were correctly diagnosed before operation or delivery. 9. Thirty cases (45.5%) were operated in the first trimester, 20 cases (30.3%) in the second trimeseter 12 cases (18.2%) in the third trimester and 4 cases (6.01%) in the puerperi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