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스마트카드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이용한 암호 분석용 소형 루프 프로브 설계와 프로브에 유기된 전자파 신호의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암호 분석용 프로브는 일반적인 전자장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77771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7-1125(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스마트카드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이용한 암호 분석용 소형 루프 프로브 설계와 프로브에 유기된 전자파 신호의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암호 분석용 프로브는 일반적인 전자장 ...
본 논문은 스마트카드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이용한 암호 분석용 소형 루프 프로브 설계와 프로브에 유기된 전자파 신호의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암호 분석용 프로브는 일반적인 전자장 측정용 프로브와는 다르다. 그 이유는 제시된 프로브의 목적은 암호 장비의 비밀 키 해독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스마트카드에서 발생된 파형을 분석하여서 전자파 공격을 시도하기 때문에 프로브에 유기된 전압의 파형과 IC 칩에서 발생된 파형은 가능한 한 서로 동일해야 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전자파를 이용한 암호 분석, 신호원의 근사모델링, 암호 분석용 프로브의 특징, 전자파 신호 측정 그리고 프로브의 교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스마트카드 칩의 소비 전력 신호와 제안된 프로브를 이용한 전자파 신호를 측정하고 두 신호를 EMA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ARI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안된 비접촉 암호 분석용 프로브의 적합성 여부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a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design of small loop probe and analysis of induced electromagnetic wave signal from a smartcard for contactless cryptographic analysis. Probes for cryptographic analysi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
In this paper, a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design of small loop probe and analysis of induced electromagnetic wave signal from a smartcard for contactless cryptographic analysis. Probes for cryptographic analysi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EM probes, because the purpose of proposed probe is to obtain the information for secret key analysis of cryptographic system. The waveform of induced voltage on probe must be very close to radiated waveform from IC chip on smartcard because electromagnetic attack makes an attempt to analyze the radiated waveform from smartcard. In order to obtain secret key information, we need to study about cryptographic analysi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an approximate model of source, characteristic of probe for cryptographic analysis,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calibration of probes. We measured power consumption signal on a smartcard chip and electromagnetic wave signal using proposed probe and compared with two signals of EMA point of view. We verified experimently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small loop probe for contactless cryptographic analysis by applying ARIA algorith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채영, "전자파 공학"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64-368, 2007
2 문상재, "전자기 신호 분석 및 대응기술 동향" 국가보안연구소, 경북대학교 2006
3 R. W. P. King, "The loop antenn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ntenna Theory, Part 1, Chapter 11" McGraw-Hill 1969
4 YongBin Zhou, "Side-channel attacks: Ten years after its publication and the impacts on cryptographic module security testing" 2005
5 NSRI, "NSRI announces that ARIA v. 1.0 has been presented as a standard block cipher in Korea"
6 R. P. Feynman, "Lectures on Physics, vol. 2"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5-17, 1972
7 Carlo F., "High-frequency behavior of the shield in the magnetic-field probes" 35-36, 2000
8 K. Gandolfi, "Electro- magnetic analysis: Concrete results" 2001
9 J. C. Ha, "Differential power analysis on block cipher ARIA" 2005
1 김채영, "전자파 공학"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364-368, 2007
2 문상재, "전자기 신호 분석 및 대응기술 동향" 국가보안연구소, 경북대학교 2006
3 R. W. P. King, "The loop antenn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ntenna Theory, Part 1, Chapter 11" McGraw-Hill 1969
4 YongBin Zhou, "Side-channel attacks: Ten years after its publication and the impacts on cryptographic module security testing" 2005
5 NSRI, "NSRI announces that ARIA v. 1.0 has been presented as a standard block cipher in Korea"
6 R. P. Feynman, "Lectures on Physics, vol. 2"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5-17, 1972
7 Carlo F., "High-frequency behavior of the shield in the magnetic-field probes" 35-36, 2000
8 K. Gandolfi, "Electro- magnetic analysis: Concrete results" 2001
9 J. C. Ha, "Differential power analysis on block cipher ARIA" 2005
다중 경로 환경 상태에서 다중 빔 탐색 레이다의 표적 고도 추출
3중 대역 휴대폰 단말기용 다중 전류 분포 폴디드 모노폴 안테나
위성 중계기 특성을 감안한 OFDM 기반 위성 통신 시스템의 성능 개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4-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5 | 0.13 | 0.36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