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석준, "조직론, 법문사", 서울, 1993
2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서울, 1991
3 김태현,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서울연구원, 1996
4 김성준, "공공선택론, 박영사", 서울, 2012
5 김혜정, 이승종, "시민참여론, 박영사", 서울, 2011
6 민경국, "신정치경제학, 석정", 서울, 1993
7 이병철, "현대 행정학의 이해", 校書館, 울산대학교 출판부, 356쪽, 1996
8 전상경, "공공선택론의 고전들", 나남출판, 정부학연구, 5(1), 고려대학교 정부학연 구소, 228 252쪽, 1999
9 장문학, 하상균, "행정학개론, 대영문화사", 서울, 291 296쪽, 2009
10 정주철(Jung, Juchul), "도시계획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 국토 도시계획학회, 21 32쪽, 국토학회, 50(6), 2015
1 조석준, "조직론, 법문사", 서울, 1993
2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서울, 1991
3 김태현,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서울연구원, 1996
4 김성준, "공공선택론, 박영사", 서울, 2012
5 김혜정, 이승종, "시민참여론, 박영사", 서울, 2011
6 민경국, "신정치경제학, 석정", 서울, 1993
7 이병철, "현대 행정학의 이해", 校書館, 울산대학교 출판부, 356쪽, 1996
8 전상경, "공공선택론의 고전들", 나남출판, 정부학연구, 5(1), 고려대학교 정부학연 구소, 228 252쪽, 1999
9 장문학, 하상균, "행정학개론, 대영문화사", 서울, 291 296쪽, 2009
10 정주철(Jung, Juchul), "도시계획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 국토 도시계획학회, 21 32쪽, 국토학회, 50(6), 2015
11 이정석, "“공무원 의사결정 심리에 대한 이해”",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41 50쪽, 2010
12 박정우, 송태수,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갈등 완화 방안”",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3(3), 경인행정학회, 133 148쪽, 2013
13 이영아,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의 참여와 배제”",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3(4), 한국공간환경학회, 102 130쪽, 2013
14 김종주, "“도시계획가의 역할과 갈등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제11집, 경주대학교 논문집, 149 169쪽, 1999
15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16(3), 한국정부학회, 457 482쪽, 2004
16 김성연, 이영환, "주택재개발사업의 갈등원인 및 갈등관리 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 계획, 46(7),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1 35쪽, 2011
17 김수근, "“중요한 도시계획가를 보호하는 터미네이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5(6),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5 6쪽, 2000
18 김정완, "“신행정도시 건설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회 보, 10(4), 한국정책과학학회, 223 240쪽, 2006
19 김상묵, "국가공무원의 공직가치: 공직가치모형의 개발과 검증",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 정연구, 26(2), 한국행정연구원, 1 41쪽, 2017
20 권원용, "“계획활동과 미래예측의 내재적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 획, 40(2),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9 21쪽, 2005
21 최준호, 전영평, 이곤수, "한국의 지방자치와 주민참여 : 대구지역의 참여 실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1(2),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53 83쪽, 2003
22 이창원,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리더십 행태와 그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33(3), 한국행정학회, 273 286쪽, 1999
23 백민석, 황재훈,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참여주민간 의사결정권 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보, 제67집, 한국부동산학회, 45 57쪽, 2016
24 성순아(Sun-Ah, Sung), 오후(Hoo Oh), 황희연(Hee-Yun, Hwang),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활동이 지속적 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50(4), 대한지리학회, 393 406쪽., 2015
25 정성규, "“추진주체의 참여 실태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6 김혜천, "“지역주민의 도시계획에 대한 인식수준과 주민참여의 차이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14(1), 한국도시행정학회, 3 18쪽, 2001
27 심기보, 장준호,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주체별 인식 및 역할에 관한 연 구: 성남시 사례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논문집, 41(2), 한국지역사회발 전학회, 162 174쪽, 2016
28 Levy, J. M., "Contemporary Urban Planning, Prentice Hall. [서충원 변창흠 역, 2013, 「현대 도시계획의 이해」", 파주; 한울도시아카데미.], 2002
29 임해경, "“지방정부 시민사회 관계에서 주민참여제도의 성격 분석: 연 계된 자율성 관점에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5
30 신우진, 신우화, "“주민참여형 안전마을사업 전 후 거주민의 인식 및 행동의 변화: 대구 달서구 안전마을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국토계 획, 51(2),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19 30쪽, 2016
31 Halevy, E., "Bureaucracy and Democracy: A Political Dilemma,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윤재풍 역, 1999, 「관료제와 민 주주의: 하나의 정치적 딜레마」", 서울: 대영문화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