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전국 18,000여개소의 저수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저수지에서 농촌유역의 미처리된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등으로 인해 수질오염은 물론 녹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83006
2014
-
500
학술저널
158-158(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전국 18,000여개소의 저수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저수지에서 농촌유역의 미처리된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등으로 인해 수질오염은 물론 녹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녹...
우리나라는 전국 18,000여개소의 저수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저수지에서 농촌유역의 미처리된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등으로 인해 수질오염은 물론 녹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녹조는 질소와 인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 흡수하는 지구상 최고의 생물로 녹조와 같이 유해한 조류가 아니라 자원적 가치가 높은 유용한 조류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녹조를 사전에 인위적 공간에서 대량 발생시킨다면 질소와 인의 효율적 제거는 물론 호소 내 녹조발생 잠재성을 감소시키고, 수거한 녹조는 바이오매스로서 자원화가 가능하다. 바이오매스의 자원화는 바이오에너지 생산도 가능하겠지만 농촌지역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유기비료, 가축사료, 버섯배지, 토양개량제 등은 현실적실현이 가능한 자원화 기술로 농촌지역의 자원재순환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미처리된 생활하수, 가축분뇨, 농경배수 등 고농도 영양물질을 포함한 농촌지역 오염하천의 물을 고효율로 정화처리함으로써 저수지의 녹조예방은 물론 자원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고효율의 미세조류 배양시스템과 회수기술을 개발을 통해 농촌지역의 수환경개선과 자원재순환 등 어메니티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시작으로 2012년 까지 전북 부안군 계화면 계화조류지 인근에서 유입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위생처리장 방류수, 농경배수 등을 대상으로 미세조류배양기술, 수질개선 효과 분석, 회수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옥외배양조건에서 미세조류 최적배양조건을 규명하였으며, 높은 수준의 미세조류 배양성능을 관찰하였다. 또한 총질소 평균 76.2%, 최대 94.4%, 총인 평균 81.7%, 최대 91.6%의 수질개선 효과가 입증되는 등 오염하천의 인, 질소를 고도처리 수준으로 처리하는 데 문제가 없었으며, 바이오디젤로 자원화하기 위한 유용지방산의 함량도 예측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지난 3년간의 소규모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가축분뇨와 생활하수가 포함된 고농도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경기 시흥 과림저수지의 오염하천에서 미세조류 배양시스템과 수거기술을 실규모 수준으로 투입하여 수처리함으로써 비점오염 저감은 물론 호내에서의 녹조발생을 사전 예방을 달성하고, 아울러 농촌지역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화 제품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향후, 유역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재자원화를 통해 자원순환마을의 모델을 제시하고 전국 농촌지역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한다.
수질 환경 분야PW-17 : 반응시간에 따른 SOB 바이오센서의 아질산성질소(NO2 --N) 농도별 독성탐지능력 평가
05 포스터 발표 : 수질 환경 분야PW-18 ; 황산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의 실제하천 이용 시 독성 탐지연구
05 포스터 발표 : 토양환경 분야PS-10 ; 토양수분이 아산화질소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토양환경 분야PS-11 : 친환경농업 실천농가 온실가스 탄소배출량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