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강형평정책과 사업 = Health Equity Policy and Practice: Strategic Approach for Alleviation of Health Ine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9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건강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 불평등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어 건강형평이 중요한 보건정책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건강 불평등의 완화를 위한 노력의 ...

      최근 건강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 불평등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어 건강형평이 중요한 보건정책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건강 불평등의 완화를 위한 노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 내에서는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필요성, 주요 접근원칙과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는 지극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건강형평정책은 건강 불평등의 예방과 완화, 해소를 위해 행해지는 모든 정책 또는 사업을 의미하며, 이것은 규범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실적, 실용적 측면에도 필요하다. 기존의 보건사업 방식만으로는 건강 불평등을 예방, 완화, 해소하기 어려우므로 1) 건강공공정책과 부문 간 협력, 2) 다수준적 접근, 3) 지역기반전략, 4) 생애적 접근, 5) 참여, 역량 강화, 맥락에 대한 고려, 6)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모니터링, 관리와 평가와 같은 접근이 필요하다. 향후 건강형평관련 정책/사업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정책/사업의 기획과 시행에는 국내외 경험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주요 원칙 및 접근방법을 유용하게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overall health improvement over a few decades, health inequalities seem to be worsening, which calls for alternative health policies to consider health equity as their major agenda. However, yet much has been not discussed over justification o...

      Despite overall health improvement over a few decades, health inequalities seem to be worsening, which calls for alternative health policies to consider health equity as their major agenda. However, yet much has been not discussed over justification of alleviating health inequalities, principles in program/policy planning, and modalities for delivery. Health equity policies are defined as all policies and programs to be implemented for preventing, alleviating and eliminating health inequalities. They are required for practical as well as normative reasons. Conventional health programs solely cannot tackle health inequalities and the followings are required; 1) healthy public policies and inter-sectoral cooperation; 2) multi-level approach; 3) area-based strategies; 4) life-course approach; 5) consideration for participation, empowerment, and social contexts; 6) monitor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policies and programs through an equity lense. Further research and policy/programs for health equity should be followed in Korea. In addition, key principles and appropriate approach based on the best available evidence should be appli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and program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