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S 긴장재 긴장력 계측을 위한 PSC 거더 내부 매립용 EM 센서 = Embedded EM Sensor for Tensile Force Estimation of PS tendon of PSC Gi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05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an embedded EM sensor was researched to estimate prestressing force of PS tendon in PSC girder. Recent methodologies for managing prestressing force loss were staying on verifying a applying prestressing force under construction, namely...

      In this paper, an embedded EM sensor was researched to estimate prestressing force of PS tendon in PSC girder. Recent methodologies for managing prestressing force loss were staying on verifying a applying prestressing force under construction, namely the loss management can not be controlled after construction. To estimate the tensile force of PS tendon during lifetime of PSC girder, this research proposed a bobbin-type embedded EM sensor that can be embedded in PSC girder is designed and fabricated considering the shape properties of anchorage zone and sheath. To verify the proposed sensor, a small PSC girder test was performed. The embedded EM sensor was connected to a sheath and anchor block, and the concrete was poured. After curing, the change of the permeability of PS tendon under tensile forces of 200, 710, 1070, 1300kN was measured using embedded EM sensor. The permeability of PS tendon had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applied tensile force.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change of permeability due to applied tensile force could resolve the applied tensile force values. As a result, proposed embedded EM sensor could be embed into the PSC girder and it could be used to estimate the tensile force variation during lifetime of PSC gi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PSC 거더 내부 긴장재의 Prestress 변화를 계측하고, 그 손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PSC 거더 내부에 매립이 가능한 매립형 EM 센서를 연구 및 제작하였다. 현재까지의 PSC 내부 긴장재...

      본 논문에서는 PSC 거더 내부 긴장재의 Prestress 변화를 계측하고, 그 손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PSC 거더 내부에 매립이 가능한 매립형 EM 센서를 연구 및 제작하였다. 현재까지의 PSC 내부 긴장재의 긴장력 손실관리는 시공 시 설계 긴장력 도입 여부 검증에 머물러 있으며, 시공 후에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자성체에 자기장이 작용하면 비투자율인 강자성체 고유의 특성이 변화한다는 탄성-자기 이론을 기초로, PSC 거더의 정착구와 쉬스관 외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PSC 거더 내부에 매립이 가능한 매립형 EM 센서를 설계하여 제작하였다. 제작 후에는 그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형 PSC 거더 모형에 제작된 매립형 EM 센서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양생이 종료된 후 7가닥의 PS 텐던을 삽입한 후 텐던에 200, 710, 1070, 1300kN의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매립형 EM센서를 통해 비투자율의 변화를 계측하였다. 계측 결과 도입한 긴장력이 커질수록 PS 텐던의 비투자율이 낮아지는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도입 긴장력에 따른 투자율이 도입 긴장력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매립형 EM 센서는 PSC 교량 내부로 매립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매립형 EM 센서를 통한 비투자율 변화 계측을 통하여 PS 텐던의 긴장력 변화를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태, "Vibration and impedance monitoring for prestress-loss prediction in PSC girder bridges" 국제구조공학회 5 (5): 81-94, 2009

      2 Washer, G. A., "Velocity Constants for Ultrasonic Stress Measurement in Prestressing Tendons" 14 (14): 81-94, 2002

      3 Kurokawa, S., "Stress Measurement of Various Cables by EM Sensor" 101-106, 2001

      4 Rens, K. L., "Review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Techniques of Civil Infrastructure" 11 : 152-160, 1997

      5 김정태, "PSC 거더교의 진동기반 긴장력 손실 모니터링"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1 (21): 83-90, 2008

      6 Chen, H.L., "Measurement of Tensile Forces in a Seven-wire Prestressing Strands using Stress Waves" 127 (127): 599-606, 2001

      7 Wang, M.L., "Magneto-Elastic Permeability Easurement for Stress Monitoring in Steel Tendons and Cables" Health Monitoring of the Highwa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3995 : 492-500, 2000

      8 Kim, J. M., "FBG Sensors Encapsulated into 7-Wire Steel Strand for Tension Monitoring of a Prestressing Tendon" 15 (15): 907-917, 2012

      9 Sumitro, S., "Elasto-Magnetic Sensor Utilization on Steel Cable Stress Measurement" Concrete Structures in the 21th Century 79-86, 2002

      10 김준경, "EM센서를 활용한 PSC 텐던 긴장력 손실 관리"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8 (28): 369-374, 2015

      1 김정태, "Vibration and impedance monitoring for prestress-loss prediction in PSC girder bridges" 국제구조공학회 5 (5): 81-94, 2009

      2 Washer, G. A., "Velocity Constants for Ultrasonic Stress Measurement in Prestressing Tendons" 14 (14): 81-94, 2002

      3 Kurokawa, S., "Stress Measurement of Various Cables by EM Sensor" 101-106, 2001

      4 Rens, K. L., "Review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Techniques of Civil Infrastructure" 11 : 152-160, 1997

      5 김정태, "PSC 거더교의 진동기반 긴장력 손실 모니터링"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1 (21): 83-90, 2008

      6 Chen, H.L., "Measurement of Tensile Forces in a Seven-wire Prestressing Strands using Stress Waves" 127 (127): 599-606, 2001

      7 Wang, M.L., "Magneto-Elastic Permeability Easurement for Stress Monitoring in Steel Tendons and Cables" Health Monitoring of the Highwa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3995 : 492-500, 2000

      8 Kim, J. M., "FBG Sensors Encapsulated into 7-Wire Steel Strand for Tension Monitoring of a Prestressing Tendon" 15 (15): 907-917, 2012

      9 Sumitro, S., "Elasto-Magnetic Sensor Utilization on Steel Cable Stress Measurement" Concrete Structures in the 21th Century 79-86, 2002

      10 김준경, "EM센서를 활용한 PSC 텐던 긴장력 손실 관리"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8 (28): 369-374, 2015

      11 Wang, M. L., "Development of a Remote Coil Magneto-Elastic Stress Sensor for Steel Cables"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Civil Infrastructure Systems 4337 : 122-128, 2001

      12 Youn, S.G., "Deterioration of Bonded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s and Research Topics on the Strength Evaluation in ISARC" 7 : 2006

      13 Weiher, H., "Condition of Post-Tensioned Concrete Bridges-Assessment of the German Stock by a Spot Survey of Damages" 26-2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4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