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진건 소설의 체험적 요소와 사소설론 ― 「빈처(貧妻)」, 「술권(勸)하는사회(社會)」, 「타락자(墮落者)」를 중심으로 = The Experiential Property in Hyun Jin-gun`s Novels & Theory of an Autobiographical Novel ― Focus on 「Indigent wife」,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and 「A ruined 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진건의 「貧妻」, 「술勸하는社會」, 「墮落者」 등은 체험을 다룬 소설로 파악되는데, 그럴 경우 소설의 서술방식과 그 이면에 자리 잡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진다. 작가와 작중인물이 일치한다는 특징은 일본 사소설을 규정하는 그것이 기도 하다. 「貧妻」, 「술勸하는社會」 등에서 현진건이 체험을 끌어오게 된 데는 「犧牲花」를 발표하고 황석우에게 혹평을 들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 나카무라 미츠오는 「蒲團」이 당시 독자들에게 크게 호응을 받아 사소설의 정형을 이루었던 이유를 작가가 작중인물이 되어 작품의 진실성을 보증 받은 데 있다고 본다. 「貧妻」, 「술勸하는社會」 등은 물질적 욕망이나 명예열, 지위열 등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토세이는 「逃亡奴隸と假面紳士」에서 일본의 근대 작가들은 `도망노예`가 되어 자신들의 맨얼굴을 드러내고 생을 비판하는 등 문단생활의 실험보고를 행했다고 했다. 「墮落者」에서 기생인 춘심을 끌어들인 것은 역설적으로 독자의 항의와 비난이 겨냥한 지점과 일치한다. 「私小說の二律背反」에서 히라노 켄이 예술과 실생활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 부분은 이 문제를 해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貧妻」, 「술勸하는社會」, 「墮落者」 등에서는 아내나 춘심 등을 타자로 상정해 배제하는 것을 통해 `나`를 구축해 나갔다. 소설들에는 아이러니한 시선이 등장하는데 그것은 체험적 자아와 서술적 자아의 긴장과 갈등에서 나타난 것이다. 일본의 사소설론이 기존의 사소설 담론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 것 역시 텍스트를 작가가 직접 등장해 실생활을 옮긴 것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맨얼굴이라는 가면을 통해 또 다른 방식으로 사회와의 관계를 맺기 위한 것이었다면 그들이 행한 비판 역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번역하기

      현진건의 「貧妻」, 「술勸하는社會」, 「墮落者」 등은 체험을 다룬 소설로 파악되는데, 그럴 경우 소설의 서술방식과 그 이면에 자리 잡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진다. 작가와 ...

      현진건의 「貧妻」, 「술勸하는社會」, 「墮落者」 등은 체험을 다룬 소설로 파악되는데, 그럴 경우 소설의 서술방식과 그 이면에 자리 잡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진다. 작가와 작중인물이 일치한다는 특징은 일본 사소설을 규정하는 그것이 기도 하다. 「貧妻」, 「술勸하는社會」 등에서 현진건이 체험을 끌어오게 된 데는 「犧牲花」를 발표하고 황석우에게 혹평을 들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 나카무라 미츠오는 「蒲團」이 당시 독자들에게 크게 호응을 받아 사소설의 정형을 이루었던 이유를 작가가 작중인물이 되어 작품의 진실성을 보증 받은 데 있다고 본다. 「貧妻」, 「술勸하는社會」 등은 물질적 욕망이나 명예열, 지위열 등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토세이는 「逃亡奴隸と假面紳士」에서 일본의 근대 작가들은 `도망노예`가 되어 자신들의 맨얼굴을 드러내고 생을 비판하는 등 문단생활의 실험보고를 행했다고 했다. 「墮落者」에서 기생인 춘심을 끌어들인 것은 역설적으로 독자의 항의와 비난이 겨냥한 지점과 일치한다. 「私小說の二律背反」에서 히라노 켄이 예술과 실생활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 부분은 이 문제를 해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貧妻」, 「술勸하는社會」, 「墮落者」 등에서는 아내나 춘심 등을 타자로 상정해 배제하는 것을 통해 `나`를 구축해 나갔다. 소설들에는 아이러니한 시선이 등장하는데 그것은 체험적 자아와 서술적 자아의 긴장과 갈등에서 나타난 것이다. 일본의 사소설론이 기존의 사소설 담론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 것 역시 텍스트를 작가가 직접 등장해 실생활을 옮긴 것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맨얼굴이라는 가면을 통해 또 다른 방식으로 사회와의 관계를 맺기 위한 것이었다면 그들이 행한 비판 역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un Jin-gun(玄鎭健) announced 「Indigent wife(貧妻)」,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술勸하는社會)」, and 「A ruined man(墮落者)」. These novels are estimated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based on experience. In that event the argument of ideology comes hard in the novels. The realistic of novels is the acquirement resulted in the interval of narrator and character. To deal experience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autobiographical novel. Hwang Seog-Woo(黃錫禹) criticized sharply Hyun Jin-gun`s 「Sacrifice Flower(犧牲花)」. Thereby Hyun Jin-gun attracted the experience in 「Indigent wife」,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etc. Nakamura Mitsuo(中村光夫) claimed that 「The blanket(蒲團)」 constructed the regular type of the japanese autobiographical novel. 「The blanket」 came up that attracted the experience. The 「Indigent wife」 and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criticized the desire for honor and status. Ito Sei(伊藤整) claimed that japanese modern novelists became the fugitive slaves and revealed their bare face. Hirano Ken(平野謙) also discussed the relations novel and real life in his 「Antinomy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私小說の二律背反)」. In fact the heroes of 「Indigent wife」 and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were born by means of the process that excluded their wives as negative others. Disillusion of the living tended towards fetishism of the living. The theory of an autobiographical novel asserted that the novels dealt experience. If their bare face were other masks, their criticize were having to rethink.
      번역하기

      Hyun Jin-gun(玄鎭健) announced 「Indigent wife(貧妻)」,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술勸하는社會)」, and 「A ruined man(墮落者)」. These novels are estimated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based on experience. In that event...

      Hyun Jin-gun(玄鎭健) announced 「Indigent wife(貧妻)」,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술勸하는社會)」, and 「A ruined man(墮落者)」. These novels are estimated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based on experience. In that event the argument of ideology comes hard in the novels. The realistic of novels is the acquirement resulted in the interval of narrator and character. To deal experience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autobiographical novel. Hwang Seog-Woo(黃錫禹) criticized sharply Hyun Jin-gun`s 「Sacrifice Flower(犧牲花)」. Thereby Hyun Jin-gun attracted the experience in 「Indigent wife」,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etc. Nakamura Mitsuo(中村光夫) claimed that 「The blanket(蒲團)」 constructed the regular type of the japanese autobiographical novel. 「The blanket」 came up that attracted the experience. The 「Indigent wife」 and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criticized the desire for honor and status. Ito Sei(伊藤整) claimed that japanese modern novelists became the fugitive slaves and revealed their bare face. Hirano Ken(平野謙) also discussed the relations novel and real life in his 「Antinomy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私小說の二律背反)」. In fact the heroes of 「Indigent wife」 and 「The society that invites intoxicant」 were born by means of the process that excluded their wives as negative others. Disillusion of the living tended towards fetishism of the living. The theory of an autobiographical novel asserted that the novels dealt experience. If their bare face were other masks, their criticize were having to rethin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