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970년대의 부조리한 정치상황을 비판ㆍ고발한 조해일의 작품을 살핀 글이다. 작가는 당대의 엄혹한 상황에서 나름의 ‘정치적 알레고리’를 사용한 작품들을 통해 작의를 드러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91551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9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70년대의 부조리한 정치상황을 비판ㆍ고발한 조해일의 작품을 살핀 글이다. 작가는 당대의 엄혹한 상황에서 나름의 ‘정치적 알레고리’를 사용한 작품들을 통해 작의를 드러냈다....
본고는 1970년대의 부조리한 정치상황을 비판ㆍ고발한 조해일의 작품을 살핀 글이다. 작가는 당대의 엄혹한 상황에서 나름의 ‘정치적 알레고리’를 사용한 작품들을 통해 작의를 드러냈다. 하지만 그러한 작품세계에 대한 세심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그 점에 주목하여 조해일의 작품을 고찰했다.
그 결과로 본고에서 논한 작품들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조해일의 작품이 1970년대 한국사회의 암담한 정치적 상황에 저항하고 있다는 점이다. 작가는 어두운 현실의 타개책으로 평범한 국민들의 연대의 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강변한다. 둘째로 당대 사회에서 지식인의 역할에 작가는 주목한다. 조해일은 불의의 시대에 한탄만 하는 지식인보다, 미약한 힘으로나마 현실에 맞서는 지식인들에게 우호의 눈길을 보내는 것이다. 셋째 박정희 정권 시기에 억압당하는 시위의 자유에 대해 작가는 문제제기를 한다. 동시에 그 자유를 억압하는 주체들에 작가는 책임을 묻는데, 그들이 당시의 지배층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조해일의 당대 정치적 현실에 대한 소설적 응전은 비록 소극적이었을지라도 나름의 의미가 있다. 작가는 그것을 알레고리 기법을 동원해 수행하는데, 이는 작가의 소설의 미학성에 대한 중시,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문화ㆍ예술인들에 대한 핍박, 팍팍한 정치현실에서 작가가 소망하는 세계에 대한 열망 등의 이유로 행해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f Cho, Hae Il’s literary works which criticized and satirized the situation of social irregularities in the 1970’s by an allegoric technique. It is a fact that the writer’s intention by an allegory and a detailed analysis...
This thesis is a study of Cho, Hae Il’s literary works which criticized and satirized the situation of social irregularities in the 1970’s by an allegoric technique. It is a fact that the writer’s intention by an allegory and a detailed analysis for the works have not been accomplished until now.
The researcher who attached importance to that respect in this thesis investigated Cho, HaeIl’s literary works which made use of by the political allegory.
As the results of this thesis, this researcher found that his works discussed in this thesis had meaning as in the following. First. His works stands against the Korean social irregularities in the 1970’s and he stressed the need of a national power of solidarity in order to find a way out of the difficult realities. Second, He turns his warmer eyes on the intelligent to face up squarely to the difficult realities to add even their weak power than those of deploring the immoral society. Third, The writer accused an oppressor of oppressing the freedom, and also there can be no two opinions on this point that is, the oppressor is the ruling classes in those days.
This researcher has had an interest in why he had an awareness of the issues about reality in those days. Probably, it is why he made passive response, that is, interest in a fictional beauty, oppression against literary men by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in the 1970s, escape from a difficult political reality, and so on.
목차 (Table of Contents)
안수길의 장편 〈북향보〉에 담긴 중국 문화 요소 일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