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 판례분석 연구: 요양사고 유형, 쟁점 사항 및 예방 대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sis of the Judicial Precedents on Accide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Focus on the Type of Care Accidents, Disputes and Preventive A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17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한 요양사고와 관련된 판례를 요양사고 유형, 쟁점 사항별로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시설에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한 요양사고와 관련된 판례를 요양사고 유형, 쟁점 사항별로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시설에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이후부터 2015년 12월 말까지 소송으로 인하여 법원에서 판결된 7건의 하급심 판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 번째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한 요양사고 중에서 법원소송에 이른 요양사고의 유형은 전도, 배회(무단가출), 오연, 노인학대, 이용자간 트러블, 낙상, 케어 부주의(상해)로 나타났다. 두 번째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와 관련된 판례의 주요 쟁점 사안은 주의의무 위반, 예견가능성·회피가능성, 전원지체 과실로 인한 손해 발생(사망과 인관관계), 불법 행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는 우선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 심각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과 교육을 바탕으로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사고 예방을 위해서 인시던트 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해야 한다. 그리고 치매노인의 위험 예방 및 보호를 위해 인력배치기준이 강화되어야 하며, 요양사고 발생 시 전원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요양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해 위험관리매니저(Risk Management Manager)를 선임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udicial precedents on accidents happen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idents and items of disputes in order to find out the measure to prevent the further accidents in the elderly c...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udicial precedents on accidents happen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idents and items of disputes in order to find out the measure to prevent the further accide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focused on 7 judicial precedents on lawsuits tried in the lower courts which happened from July 2008 when the long-term elderly care insurance took effective to the end of December 2015. The study showed us the followings. First, the types of accidents which happen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nd which led to the lawsuits in the court include the fall, loitering (without notice), dysphasia, elderly harrassment, trouble between users, fall from bed and careless care (injury). Second, the key disputes arising from the judicial precedents on lawsuits related to the care accide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include the violation of care obligation, predictability and avoidability, damages due to the delay in prompt care obligation (related to the death) and illegal ac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should be the actions to prevent the care accidents in the elderly car facilities as follows; the severity of the care accident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shall be educated to the practitioners in the facilities and the risk control system shall be constructed. In addition, for accident prevention, the incident reporting shall be made mandatory. The labor displacement standard shall be strengthened for the care and protection of elderlies having dementia. In addition, when the accident occurs, the prompt care shall be sincerely conducted. Lastly, for the prevention and prompt response to the care accident, a risk management manager shall be appoi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섭중, "한국사회복지복지법제개설" 대학출판사 1998

      2 현외성,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6

      3 오세혁, "판례평석 방법론에 관한 시론적 고찰 - 민사법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741-766, 2006

      4 박연주, "판례분석을 통해 본 아동청소년 인권과 체벌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8) : 33-54, 2014

      5 보건복지부, "치매전담실 도입, 인력기준 재정비 등"

      6 박연주, "장애인의 권리보호와 관련한 판례분석연구 -헌법재판소판례와 UN 장애인권리협약과의 비교-"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5-23, 2015

      7 이동명, "의료행위사고의 형사책임" 한국법학회 (46) : 235-260, 2012

      8 이준상, "의료판례이론에 관한 연구" 9 (9): 5-38, 2001

      9 임복희, "의료분쟁 판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94-303, 2010

      10 신은주,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한국의료법학회 20 (20): 191-217, 2012

      1 신섭중, "한국사회복지복지법제개설" 대학출판사 1998

      2 현외성,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6

      3 오세혁, "판례평석 방법론에 관한 시론적 고찰 - 민사법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741-766, 2006

      4 박연주, "판례분석을 통해 본 아동청소년 인권과 체벌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8) : 33-54, 2014

      5 보건복지부, "치매전담실 도입, 인력기준 재정비 등"

      6 박연주, "장애인의 권리보호와 관련한 판례분석연구 -헌법재판소판례와 UN 장애인권리협약과의 비교-"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5-23, 2015

      7 이동명, "의료행위사고의 형사책임" 한국법학회 (46) : 235-260, 2012

      8 이준상, "의료판례이론에 관한 연구" 9 (9): 5-38, 2001

      9 임복희, "의료분쟁 판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94-303, 2010

      10 신은주,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한국의료법학회 20 (20): 191-217, 2012

      11 송영민, "의료과실판단에서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일본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대한의료법학회 11 (11): 209-235, 2011

      12 윤종행, "의료과실범죄에 관한 쟁점과 최근 판례의 동향" 법학연구소 23 (23): 319-362, 2012

      13 서창원, "응급의료기관에서의 의료소송: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 20 (20): 715-721, 2009

      14 이세원, "아동학대범죄에 관한 형사 판결 분석 연구: 아동복지법 위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13-136, 2015

      15 이세원, "아동학대 사망사건 판결에 관한 연구: 울산 계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254-286, 2015

      16 박연주,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아동학대 관련 판례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31-49, 2014

      17 하승수, "아동권리보장을 위한 친권상실관련 판례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149-166, 2007

      18 YTN, "상처 방치 노인요양원 50% 책임"

      19 박경일, "사회복지조직에서 위험관리의 필요성과 대책 및 과제: 미국과 일본의 위험관리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361-385, 2006

      20 노충래, "사회복지와 위험관리" 집문당 2009

      21 윤찬영,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 관련 판례의 의의와 입법적 과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4) : 163-194, 2012

      22 김훈,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법사회적 통합모델을 위한 탐색적 연구" 495-517, 2004

      23 윤찬영, "사회복지법의 분석방법론에 관한 연구" 9 : 133-151, 1997

      24 정진경, "사회복지법 관련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 1987~2004년 헌법판례 현황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73-394, 2006

      25 정은숙, "사회보장법의 법적 쟁점과 판례에 대한 연구" 18 : 185-212, 2001

      26 부산복지개발원, "부산시 노인요양시설 위험사고 실태분석 및 위험관리 방안 연구" 2012

      27 "법원도서관"

      28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29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만족도 지속 상승"

      30 윤기혁, "노인요양시설의 위험요인 확인과 분석 및 평가 기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255-283, 2015

      31 진영란, "노인요양시설의 시설․인력 기준 비교 연구" 한국보건행정학회 22 (22): 403-426, 2012

      32 박경일, "노인요양시설의 리스크매니지먼트 시스템 구축과수행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81-208, 2014

      33 박경일, "노인요양시설 위험사고 발생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 34 (34): 475-493, 2014

      34 윤기혁, "노인요양시설 위험관리시스템 구축 및 적용 성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15

      35 한국소비자원, "노인요양시설 안전실태 조사 결과" 2011

      36 부산재가노인복지협회, "노인복지시설의 위험관리" 학현사 2007

      37 박연주,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을 위한 부양의무자 기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9) : 117-144, 2013

      38 김수정, "고용촉진지원제도 관련 판례분석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31-153, 2014

      39 장미희,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법학회 15 (15): 195-223, 2014

      40 山本和泉, "高齢者介護施設における事故防止のためのリスクマネジメント" 銀泉リスク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2014

      41 烏野猛, "高齢者をめぐる最近の問題と課題への考察: 最近の高齢者をめぐる裁判事例を素材にした争点と課題"

      42 三菱綜合硏究所, "特別養護勞人ホームにおける介護事故子防ガイドライン"

      43 横田一, "介護裁判からみるケアと医療のつながり" 30 (30): 31-38, 2013

      44 栥尾慶次, "介護現場における リスクマネジメント Workbook" 中央法規 2005

      45 永和良之助, "介護事故の現状と問題点-高齢者介護施設を中心に" 7 : 39-56, 2011

      46 長沼建一郎, "介護事故の法政策と保険政策に関する研究" 早稲田大学大学院 2009

      47 烏野猛, "介護事故の実態に関する考察-介護施設における介護事故調査の分析からみた介護現場の実態"

      48 山田健司, "介護事故にみるリスクの本質とサービス範囲の限界" 4 : 27-35, 2008

      49 住田浩史, "介護事故における事業者の責任-裁判例が示唆するファクター" 25 : 27-30, 2007

      50 栥尾慶次, "介護事故とリスクマネジメント" 中央法規出版社 2002

      51 福田隆, "介護サービスにおけるリスク対策(2)-リスクマネジメントを中心に" 7 : 1-34, 2009

      52 美阪由紀子, "事故報告書が伝えてくれる介護事故の実態と課題の一考察" 1 : 55-70, 2010

      53 酒井香介, "リスクマネージメントの取り組み" 醫療法人社團 健育会グルー研究事例 第9回合同事例研究会

      54 Rodriguez, J, "Resident falls and elopement" 42 (42): 1-16, 1993

      55 Julie, Bargnesi, "Recent Developments in Long Term Care Litigation: The Rise of Class Actions and the Effect of Contractual Arbitration Provisions" 1-20, 2012

      56 Fortune, E, "Data Mining to Identify Quality of Care Factors Associated with Liability Claims and Risk Management Strategies in Florida Nursing Homes" Lynn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