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원예학(유기농업)전공 성 재 준 지도교수: 손 상 목 유기농업은 1997년 환경농업육성법 제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77902
용인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원예학(유기농업) 전공 , 2017. 2
2017
한국어
631.584 판사항(23)
경기도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ystem of an Organic Agriculture University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in Korea
xii, 199 p. : 천연색삽화 ; 30 cm.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손상목
참고문헌 : p.143-1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원예학(유기농업)전공 성 재 준 지도교수: 손 상 목 유기농업은 1997년 환경농업육성법 제정...
한국유기농업의 발전을 위한
유기농대학교 설립과 운영시스템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환경원예학(유기농업)전공
성 재 준
지도교수: 손 상 목
유기농업은 1997년 환경농업육성법 제정에 따라 제도권으로 진입하였으며, 환경보전과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유기농업 실천 농가와 유기농업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정부의 친환경농업육성5개년계획이 2001년부터 매5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며, 정부 농업정책과 지자체 농정의 주요 목표로 유기농업을 채택되어 왔으나, 한국유기농업은 아직도 세계 제5위군 그룹에 속해 있는 현실에 놓여 있다.
유럽 유기농업 선도국가의 유기농업의 발전사를 보면, 유기농업의 보급과 발전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과 더불어 대학에서의 유기농 교육이 유기농업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50개 농과계대학에 어느 곳에서도 유기농학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유럽대학들이 유기농학과 또는 유기농대학을 설립하고 유기농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유기농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는 현실과는 크게 상이한 현실이다.
한국의 유기농업이 세계적인 변화의 추세에 발맞추고 미래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세계적 유기농업기술을 교육 보급할 수 있는 유기농대학의 설립과 유기농업 선도국가의 유기농업 교육체계를 연구하여 한국적인 교육시스템의 기반을 조성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기농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은 대학에서의 유기농학 교육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기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기농업 전문인력 양성은 그 특성상 단기간의 교육으로는 확보하기가 어렵고, 유기농업에 대한 기본적 이론교육은 실제 유기농 현장에서 요구되는 응용 기술분야까지 아우르는 깊이 있는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유기농업의 도약․발전을 위해 유기농대학교의 설립․운영을 제안함과 동시에 유기농 산업의 변화에 따른 유기농업 교육과 교과과정 모델을 제시하고 유기농 선진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유기농 교육의 발전적 방안의 근거와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유기농대학교는 유기농생명대학, 유기농 식품․건축․에너지대학, 유기농 서비스산업대학 등 3개 대학 편제로 하며, 유기농생명대학에는 7개 학과(유기농 작물생산학과, 유기농 원예학과, 유기농 과수학과, 유기농 임업학과, 유기농 허브학과, 유기농 수산학과, 유기농 한방약재학과)를 설치하고, 유기농 식품․건축․에너지대학에는 5개 학과(유기식품가공학과, 유기발효식품학과, 유기축산물가공학과, 유기농 대체에너지학과, 유기농 생태건축학과)를 설치하며, 유기농서비스산업대학에는 6개 학과(유기농 골프장학과, 유기농 향장학과, 유기농 호텔경영학과, 유기농 유치원학과, 유기농 식음료매장학과, 유기농 실버산업학과)를 설치한다. 대학원 석박사과정과 유기농 마이스터대학, 유기농 귀농학교 등을 운영한다.
둘째, 유기농대학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해외의 저명한 학자들로 세계최고 교수진을 확보한다.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는 한국인 교수가 강의를 담당하고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는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 기 강의한 교과목을 외국인 교수가 영어로 재 강의토록 함으로서 학생들이 영어능력 향상은 물론 수준 높은 강의를 통해 세계수준의 유기농 기술과 원리를 터득하도록 한다.
셋째, 우수학생 유치를 위해 약 380만원 수준의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기 위해 재단 전입금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유기농대학교는 유기농 분야의 각 산업체와 기술협약을 통해 전문교수진을 통해 기술자문을 적극 지원함으로서 유기농 제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출시하도록 유기농 산학협력을 최우선 도모해 나간다. 또한 유기농 유통을 대학기업으로 육성하여 OEM 산업체의 유기농 전 제품의 유통을 유기농대학의 이름으로 유통 판매함으로서 비롯되는 이윤을 대학운영과 반값 등록금에 투입한다. 또한 학생들이 학업기간 중에 유기농 산업체에서의 아르바이트를 통한 생활비 일부 조달을 적극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넷째, 산업현장에 요구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유기농대학교는 재학기간 중에 전공 관련 산업체에서의 인턴사원 등의 경험과 현장실습을 통해 별도의 재교육 없이 곧바로 산업현장에 투입 가능한 인재가 배출되도록 노력한다.
유기농대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유기농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아시아 유일의 유기농 연구/교육의 중심지가 되고, 한국의 유기농업이 신선농산물 생산 단계, 가공식품 생산 단계, 비식용 제품 생산 단계를 넘어 유기농 서비스산업으로까지 발전해 나가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세계 제5위군 그룹에 머물러 있는 한국 유기농업이 세계 제1위군 그룹 국가로 도약․발전하는 데에 주춧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교육부, "null", 2016 고등교육 주요정책, 2016
2 교육부, "null",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PRIME)사업 기본계획, 2015
3 교육부, "null", 대학 교육의 질 제고 및 학령인구 급감 대비를 위한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 2014
4 손상목, "“생태적 삶”", 의 구현과 유기농 산업의 발전추세. 농어촌과 환경, 통권 제131호, pp.44-53, 2016
5 교육부, "2016 고등교육 주요정책", 2016
6 김종진, 최종인, "산학협력: 대학의 새로운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461-467., 2005
7 성연희, "대학구조개혁의 정책갈등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14
8 민철구, 이진수, 유현숙, "대학연구시스템의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
9 마상진, "농업강국 네덜란드의 농업 교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2007
10 김경윤, 이경민, 김경호, "유기가공식품 수출 활성화 방안", 친환경, 통권 제133호, pp.60-66., 2016
1 교육부, "null", 2016 고등교육 주요정책, 2016
2 교육부, "null",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PRIME)사업 기본계획, 2015
3 교육부, "null", 대학 교육의 질 제고 및 학령인구 급감 대비를 위한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 2014
4 손상목, "“생태적 삶”", 의 구현과 유기농 산업의 발전추세. 농어촌과 환경, 통권 제131호, pp.44-53, 2016
5 교육부, "2016 고등교육 주요정책", 2016
6 김종진, 최종인, "산학협력: 대학의 새로운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461-467., 2005
7 성연희, "대학구조개혁의 정책갈등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14
8 민철구, 이진수, 유현숙, "대학연구시스템의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
9 마상진, "농업강국 네덜란드의 농업 교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2007
10 김경윤, 이경민, 김경호, "유기가공식품 수출 활성화 방안", 친환경, 통권 제133호, pp.60-66., 2016
11 손상목, "독일 유기농 시범농장의 조직과 운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32-137, 2015
12 김형주, "미국 대학과 기업간 연계의 발전 과정.",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51-70, 2005
13 신태영, "연구개발투자와 지식축적량의 국제비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
14 김경윤, 이경민, 김경호, "유기가공식품 수출 활성화 방안. 친환경", 통권 제133호, pp.60-66, 2016
15 손상목, "유기농업: 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 향문사, 2007
16 손상목, 손상목, "영국의 유기농 영농기술이전 조직과 운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47~256, 2011
17 임채훈, "친환경 제품 구매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아산. 대한민국, 2011
18 백필구, 백필구, "산학협력을 통한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방안", 중소기업연구원 보고서, pp.1-28, 2008
19 박춘란, 박춘란, "고등교육의 경쟁력 강화와 대학 구조개혁 추진", 직업과인력개발. 제17권 제4호, pp.74-83, 2014
20 이만희, "대학과 지역사회 특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01
21 손상목, 손상목, "독일 “유기농센터”의 조직 체계와 운영 현황",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24권 제1호, pp.84~89, 2012
22 신현주, "미국의 영화산업 발전과 배우 양성시스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청주. 대한민국, 2015
23 박계수, 황선애, 박계수, 황선애, "오해와 오류의 환경신화(디르크 막사이너원저)", 랜덤하우스코리아, p.572, 2006
24 김창길, 정학균, 이혜진, "2016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통권 제131호., 2016
25 최상명, "유기농 영농기술센터의 설치 및 운영 모델 제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용인. 대한민국, 2008
26 송위, "중국 애니메이션 교육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부산. 대한민국, 2016
27 배경근, 배경근, "유기가공식품 마케팅전략. 중원대학교 RIS사업단", 유기가공식품산업 발전방안 심포지엄 자료집, pp.73-87, 2012
28 윤윤규, 이재호, "지역산업육성과 지역혁신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
29 윤윤규, 이재호, "지역산업육성과 지역혁신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 보고서, 2004
30 강정규, "“친환경병원 인증기준 고찰 및 실천전략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11
31 안영진, 안영진, "대학의 지역경제적 파급효과: 독일대의 사례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3권 제4호, 529-547, 2010
32 손상목, "“생태적 삶”의 구현과 유기농 산업의 발전추세.", 농어촌과 환경, 통권 제131호, pp.44-53, 2016
33 손상목, 전태연,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 기준과 평가 지표의 개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28권 제2호, pp.274~282, 2016
34 전태연, 손상목,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 기준과 평가 지표의 개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 학회지, 제28권 제2호, pp.274~282, 2016
35 손상목, 손상목, "국내외 유기농업 규정과 한국유기농업의 실천과제", 한국쌀연구회 총서, 제15권, pp.116-144, 2003
36 손상목, 최상명, 손상목, 최상명, "독일 유기농영농기술센터의 조직 체계와 운영현황", 한국유기농업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19-131, 2008
37 손상목, 손상목, "외국의 유기농업 기술지도 현황 분석 및 모델 제시", 농촌진흥청, 2011
38 유주연, "지속가능성을 위한 친환경레스토랑 인증기준 개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수원. 대한민국, 2012
39 박준경,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을 위한 IT신성장동력 발전방안",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전파진행, 제13권, 제5․6호, PP.36-44, 2003
40 교육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PRIME)사업 기본계획", 2015
41 목진휴, 홍성걸, 정광호, 목진휴, 홍성걸, 정광호, "성장동력산업 발전을 위한 대학교육모형 개발 연구", 한국학술 진흥재단, 2004
42 이정희, 이정희, "전통식품시장의 현황과 전망: 장류시장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연구, 제9권, 제1호, pp.219.231, 2000
43 홍지승, "중소기업의 산학 공동연구 영향요인 분석과 시사점", KIET산업경제지, 통권 제133호, pp.38-49., 2001
44 손상목, 최승교, 손상목, 최승교, "세계유기농수산연구교육관 설립과 효율적 운영방안", 삼척시 연구과제 최종보고서, 2010
45 이원혜, "친환경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05
46 손상목, "한국유기농업의 현황 및 향후 유기농업 교육과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10권 제2호, pp.67-83, 2002
47 마상진, "농업강국 네덜란드의 농업 교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2007
48 김성수, "전문시장 육성을 통한 친환경농산물 유통활성화 방안", 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경대 학교, 안성. 대한민국, 2014
49 고운미, 정지웅, 임형백, 이성, 김정태, 김성수, "귀농자들의 농촌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53-65, 2004
50 고석찬, 조영석,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산학협력 실태 및 참여요인 분석", 한국지역학회, 지역연구, 제21권, 제2호, pp.101-123, 2005
51 박문호, 박영구, "유럽 주요국의 농업인 교육 훈련사업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농촌경제, 제27권 제2호 pp.87-106., 2004
52 송영학, "우리나라 대학의 게임교육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운대 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2
53 홍운선, "지역혁신체계 내에서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서울, 대한민국., 2006
54 김종진, 최종인, "산학협력: 대학의 새로운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461-467, 2005
55 허순자, "미국의 대학연극교육: 그 현황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방향", 연극교육연구, 제2권, p.250, 1998
56 손상목, 손상목, "독일유기농업의 기본규약과 품질인증제, 기술제도 및 교육",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18, 2002
57 남재걸, 이종호,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과 지역발전의 관계: 진화론적 관점",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 지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9-38, 2010
58 김형주, "미국 대학과 기업간 연계의 발전 과정. 학국경제지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51-70, 2005
59 이종호, 허선영, 장후은,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5호, pp.515-526, 2015
60 백승철, "“주얼리산업 분야 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내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08
61 허순자, "「미국의 대학연극교육: 그 현황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방향”", 연극교육연구, 제2권, p.250, 1998
62 손상목, "유기농업의 핵심 기술내용, 현황 및 향후 유기농업 교육과 연구", 전국농대학장 협의회, 한국 농업과학 심포지엄 자료집 pp.436-463., 2002
63 성연희, "대학구조개혁의 정책갈등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14
64 김주연, "산업 발전의 역량 강화를 위한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47-157, 2012
65 전경구, "산학협력형 기술혁신모형에 있어서 기업의 참여요인과 참여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국토도시 계획학회지, 제36권, 제5호, pp.241-260, 2001
66 반상진, 조영재, 박민정, 노명순, 김영상, 신현석,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 조정 및 대학구조개혁 대책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제20집 제4호, pp.189-211., 2013
67 손상목, 카루나쉬레스타, "유럽 대학에서의 유기농업 교육과 연구 – 독일과 영국대학의 사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86~126, 2004
68 홍지승, "중소기업의 산학 공동연구 영향요인 분석과 시사점. KIET산업경제지", 통권 제133호, pp.38-49, 2001
69 김덕호, 김덕호, "근대 엔지니어의 탄생: 미국의 토목 엔지니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공학교육 연구, 제14권 제5호, pp.29-32, 2011
70 손상목, 손상목, "국제유기농 규정의 주요 내용과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향후 실천과제", 제2회 강진 국제유기농업 심포지엄 자료집. pp.189-212, 2004
71 류인철, 최용석, 이광배, "친환경농산물의 유통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FuzzyAHP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pp.1811-1826, 2012
72 이철규, 이동명, 유왕진, 송건호, "산학협력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3340-3353, 2009
73 손상목, "세계적 유기농업의 발전 추세와 향후 한국의 유기농산업 발전을 위한 제안", 단국대학교 유기농업연구소, 유기농업 발전을 위한 독일/미국/일본/한국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pp.7-19., 2014
74 교육부, "대학 교육의 질 제고 및 학령인구 급감 대비를 위한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 2014
75 문지영, 문지영, "「프랑스 근대 공학교육의 요람 : 에콜 폴리테크닉(Ecole Polytechnique), 1794~1815」", 역사학보, 제196권, pp.159-189, 2007
76 임채훈, "친환경 제품 구매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아산", 대한민국, 2011
77 박문호, 박영구, "유럽 주요국의 농업인 교육⋅훈련사업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농촌경제, 제27권 제2호 pp.87-106, 2004
78 손상목, 손상목, "친환경농업연구센터 확대 타당성 및 친환경 유기농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정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2010
79 강정규, "친환경병원 인증기준 고찰 및 실천전략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11
80 홍운선, "지역혁신체계 내에서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원, 서울", 대한민국, 2006
81 이만희, "대학과 지역사회 특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서울", 대학민국, 2001
82 신현주, "미국의 영화산업 발전과 배우 양성시스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청주", 대한민국, 2015
83 심현선, "국내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의 기술인력 수급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1
84 윤준성, 최문선, 윤준성, 최문선, "독일의 미디어아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퀼른 미디어아트 미술대학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0권, 제1호, pp.519-529, 2009
85 최상명, "유기농 영농기술센터의 설치 및 운영 모델 제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용인", 대한민국, 2008
86 송위, "중국 애니메이션 교육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부산", 대한민국, 2016
87 손상목, 손상목, "생태적 삶의 구현과 유기농 산업의 발전 추세. 2015 ISOFAR 괴산 세계유기 농업엑스포", 유기농서비스산업 심포지엄 논문집, pp.1-10, 2015
88 반상진, 조영재, 박민정, 노명순, 김영상, 신현석,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 조정 및 대학구조개혁 대책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제20집 제4호, pp.189-211, 2013
89 김창길, 정학균, 이혜진, "2016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통권 제131호, 2016
90 유주연, "지속가능성을 위한 친환경레스토랑 인증기준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수원", 대한민국, 2012
91 두선균, 손상목, "영국과 독일의 유기농영농기술센터의 현황과 우리나라 유기농센터 및 운영방안 제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용인. 대한민국, 2014
92 손상목, "유기농업의 핵심 기술내용, 현황 및 향후 유기농업 교육과 연구. 전국농대학장 협의회", 한국 농업과학 심포지엄 자료집 pp.436-463, 2002
93 이원혜, "친환경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05
94 주범식, "기업의 산학협력 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중소기업과 대학간의 협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4
95 김성수, "전문시장 육성을 통한 친환경농산물 유통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경대학교, 안성", 대한민국, 2014
96 송영학, "우리나라 대학의 게임교육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2
97 유진영, "유럽 과학기술의 발달과 독일 공과대학의 시작: 칼스루헤 대학교의 생성과 발전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통합유럽연구, 제9호, pp.53-75, 2014
98 백승철, "주얼리 산업 분야 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08
99 문지영, "「근대 엔지니어의 탄생 : 프랑스 근대 토목엔지니어의 탄생과 변모 –토목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공학교육학회(구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공학교육연구, 제14권 제5호, pp.67-74, 2011
100 기영석, 기영석, "협력을 통한 지역과 대학의 상생적 발전 정책: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 중가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2권 제4호, pp.155-182, 2008
101 손상목, "세계적 유기농업의 발전 추세와 향후 한국의 유기농산업 발전을 위한 제안. 단국대학교 유기농업연구소", 유기농업 발전을 위한 독일/미국/일본/한국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pp.7-19, 2014
102 유진영, 유진영, "독일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페르디난트 슈타인바이스(Ferdinand Steinbeis, 1807-1893)의 산업ㆍ실업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서양사학연구, 제27집, pp.159-193, null
103 두선균, 손상목, "영국과 독일의 유기농영농기술센터의 현황과 우리나라 유기농센터 및 운영방안 제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용인", 대한민국, 2014
104 주범식, "기업의 산학협력 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중소기업과 대학간의 협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4
105 전윤숙, "기업 브랜드 구조에 따른 장류 브랜드 업계의 효율적인 브랜드 확장 전략 : '해찬들' 패밀리 브랜드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우송대학교, 대전. 대한민국, 2006
106 심현선, "국내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의 기술인력 수급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1
107 전윤숙, "기업 브랜드 구조에 따른 장류 브랜드 업계의 효율적인 브랜드 확장 전략 : '해찬들' 패밀리 브랜드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우송대학교, 대전", 대한민국,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