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먼저 넓은 시야에서 한국유학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한국유학에 대한 연구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퇴계학을 중심으로 중국 대륙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81198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3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고에서는 먼저 넓은 시야에서 한국유학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한국유학에 대한 연구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퇴계학을 중심으로 중국 대륙과 ...
본고에서는 먼저 넓은 시야에서 한국유학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한국유학에 대한 연구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퇴계학을 중심으로 중국 대륙과 대만, 일본에서의 한국유학 연구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중국 대륙 학자들의 한국철학 연구는 의리에 대한 해설을 중요시하며 중정평화적인 연구 태도를 갖고 있는 데 비하면, 대만 학자들의 연구는 방법론상에서 서양의 분석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 학자들은 엄격한 문헌분석을 중요시하며, 사상의 역사적 객관성을 드러내는 데 힘을 쓰고 있다. 근래의 퇴계학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풍성한 성과를 거두었다. 근래 일본, 한국과 대만학계에서 등장한 퇴계 심학과 양명학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도 심사숙고할 문제이다. 어떤 연구든지 모두 자신의 나라와 지역, 지식축적과 사상인식에서 출발하는바 그 배후에는 반드시 주체적인 감정과 현실적 문제의식이 존재한다. 방법상의 겸채중장(兼采衆長)과 문제의식의 서로 어울림은 퇴계학 연구와 한국철학 연구가 더 깊이 있는 발전과 넓은 영향을 갖는 데 유리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 the status and research overview of Korean Confucianism in Eastern Asia with the macroscopic view. Mainly making Tuixi as an example on this basis, respectively make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overview among the moder...
This article introduce the status and research overview of Korean Confucianism in Eastern Asia with the macroscopic view. Mainly making Tuixi as an example on this basis, respectively make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overview among the modern Chinese mainland, Taiwan and Japan towards Korean Confucianism. The scholars who are from Chinese mainland think highly of the expression on meaning and principle in the research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shown the fair and peace; The scholars who come from Taiwan are obviously impacted by the western world(Taiwan uses the means influenced by the western thinking method) in the means of researching the Korean Confucianism; Japanese persistently rely on the literature and try to reproduce the objectivity of historicism. For decades, the research of Tuixi had made great achievements in Eastern Asia. It had understood the allover content of its thought, It is also worth thinking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uixi psychology and Yinyang study in Japan, Japan and Taiwan in recent years. Any research is unavoidable to start from own countries , areas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but there is a question idea behind the back that comes from emotion and fact. Making the advantage in study meanings and communication in question consciousness will be beneficial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study of Tuixi in depth and expand its influence.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현대사회와 한국 전통사상의 의의 ― 근현대 인문학 사회과학에 대한 진단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