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방한림전> 교육 방안 연구 -<女駙馬>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 Teaching <Banghanlimjun>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Contrasts with the <Emperor's Female Son-in-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using <Banghanlimjun> for Chinese learners through the method of contrasting Korean-Chinese literary work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ntrasting the <B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using <Banghanlimjun> for Chinese learners through the method of contrasting Korean-Chinese literary work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ntrasting the <Banghanlimjun> and the Chinese literary work <Emperor's Female Son-in-la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two works have commonalities in the content of 'women disguised as men, the number one scholar, same-sex marriage and female helper', while revealing differences in 'the opportunity and duration of choosing to pretend to be a man, duration of same-sex marriage, and the ending'.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e show the educational value of <Banghanlimju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methods using activities such as comparison of Korean-Chinese works, discussion, and role-playing were suggested for Chinese learners. We expect that Chinese learners will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more easily and broadly, and furthermore, this will attract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문학 작품의 대조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효과적인 <방한림전>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방한림전>과 중국 문학 작품 <女駙馬>와�...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문학 작품의 대조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효과적인 <방한림전>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방한림전>과 중국 문학 작품 <女駙馬>와의 대조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두 작품은 ‘여화위남, 장원급제, 동성혼, 여성 조력자’라는 내용에는 공통점을 보이고 ‘남장 선택의 계기 및 지속 시간, 동성혼 지속 시간, 결말’에는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대조 분석을 토대로 한국어 문학 교육에서 <방한림전>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중 작품 비교, 토론, 역할극 등 활동을 활용하는 수업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문학 작품을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정현, "활동 중심의 초등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 개발" 한국교육대학교 부설교과공통 연구소 2000

      2 박덕유, "한국어 말하기 교육론" 역락 2020

      3 胡曉傑, "한·중 여성전쟁영웅소설의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周旋子,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김진희, "토론연극을 활용한 <방한림전> 교육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6 강민정, "토론연극을 통한 소설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배두본, "초등학교 영어 교육 : 이론과 적용" 한국문화사 1997

      8 김복선, "초등영어 수준별 교육을 위한 심화·보충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남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43-62, 2004

      10 금지아, "여성영웅소설의 전개양상과 의식세계" 17 : 7-36, 2010

      1 황정현, "활동 중심의 초등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 개발" 한국교육대학교 부설교과공통 연구소 2000

      2 박덕유, "한국어 말하기 교육론" 역락 2020

      3 胡曉傑, "한·중 여성전쟁영웅소설의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周旋子, "한·중 소설 비교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김진희, "토론연극을 활용한 <방한림전> 교육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6 강민정, "토론연극을 통한 소설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배두본, "초등학교 영어 교육 : 이론과 적용" 한국문화사 1997

      8 김복선, "초등영어 수준별 교육을 위한 심화·보충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남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43-62, 2004

      10 금지아, "여성영웅소설의 전개양상과 의식세계" 17 : 7-36, 2010

      11 곽기숙, "여성영웅소설의 전개양상과 의식세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12 노윤영, "여성영웅소설의 교육적 가치 및 교재화 연구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이윤경, "여성영웅소설에 나타난 남장의 특징과 의미" 13 : 263-292, 2000

      14 최진경,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 연구: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2021

      15 장천, "상황중심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방안 연구"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3

      16 장시광, "방한림전 :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이담 2010

      17 호진양,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연구" 14 : 187-208, 2019

      18 조현우, "고전소설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교육" 한국고전연구학회 (22) : 55-82, 2010

      19 허순우, "고전소설 <방한림전>의 교육적 함의" 영주어문학회 29 : 163-196, 2015

      20 장원기,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1 양혜란, "고소설에 나타난 조선조 후기사회의 성차별의식 고찰" 4 : 109-155, 1998

      22 李祖琪, "淺析黃梅戱<女駙馬>的主要情節和人物形象" 02 : 37-38, 2020

      23 周慧, "從<雙救主>到黃梅戱經典劇目 <女駙馬>(之二)-黃梅戱 <女駙馬> 8个改編本之比較硏究" 002 : 16-17, 2008

      24 葉小軍, "勇敢而蒼白的"顚覆"-析<威尼斯商人>和 <女駙馬>中的"女扮남장"母題" 21 (21): 78-80, 2019

      25 葉維廉, "中國比較文學學科理論的墾拓" 北京大學出版社 83-87,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