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전기(1910~1931) 조선총독부의 사회사업과 그 특성 = The Government-General's Social Work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under the Former Part(1910~1931) of Japanese Colonial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5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ial work programs that had been led by Government- General during the former part(1910~1931) of Japanese colonial rule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 1) It had the dual nature that contained the meanings of the control and benefits of civili...

      The social work programs that had been led by Government- General during the former part(1910~1931) of Japanese colonial rule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 1) It had the dual nature that contained the meanings of the control and benefits of civilized country via the hygiene program that was led by the police and army doctors ; 2) Institutes to house and reform orphans, the blind, the deaf and juvenile vagrants to be 'good citizens' were established ; and3) Temporal royal bounty that was used for social work programs aimed to support the job placement program and public facility that coincided with the colonial polic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social work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former part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implemented not for the needs of social welfare clients, but for the policy and necessity of colonial gover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전기 조선총독부가 서울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던 사회사업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해당시기 간행되었던 『조선총독부관보』, 『조선사회...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전기 조선총독부가 서울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던 사회사업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해당시기 간행되었던 『조선총독부관보』, 『조선사회사업요람』, 『경성부사회사업요람』 등의 정부 간행지와 『조선급만주』, 『조선』 등의 일본어잡지 그리고 『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신문자료를 문헌고찰하였다. 일제전기 조선총독부가 주도한 사회사업에서 1) 경찰과 군의에 의해 주도된 위생사업이 내포한 문명국가의 통제와 시혜라는 이중적 성격, 2) 고아, 맹아자, 부랑아와 같은 사회패잔자를 선량한 신민으로 개조하기 위한 기관설립과 수용, 3) 주요 사회사업 자금인 임시은사금이 식민정책에 부합하는 수산사업과 공설사업 지원이라는 특성이 발견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일제 전기 조선총독부의 사회사업은 사회복지 대상자의 욕구보다는 식민당국의 정책과 필요에 의해 실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호, "합방의 콩고물, 임시은사금" 17 : 2010

      2 박윤재, "한말·일제 초 근대적 의학체계의 형성과 식민 지배" 연세대 2002

      3 류진석,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1989

      4 안상훈, "한국 근대의 사회복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5 박윤재, "조선총독부의 지방 의료정책과 의료 소비" 역사문제연구소 13 (13): 161-183, 2009

      6 이방현, "일제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이화사학연구소 (45) : 237-277, 2012

      7 백남중, "일제시대 장애인 복지 교육에 관한 연구 : 제생원 맹아부를 중심으로" 중앙대 2001

      8 강만길, "일제시대 빈민생활사 연구" 창작사 1987

      9 송치호, "일제시기 조선사회사업협회의 성격에 대한 실증분석 : '식민지배 도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 2007

      10 유선영, "식민지의 스티그마 정치 - 식민화 초기 부랑자표상의 현실효과" 한국사회사학회 (89) : 41-84, 2011

      1 김인호, "합방의 콩고물, 임시은사금" 17 : 2010

      2 박윤재, "한말·일제 초 근대적 의학체계의 형성과 식민 지배" 연세대 2002

      3 류진석,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1989

      4 안상훈, "한국 근대의 사회복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5 박윤재, "조선총독부의 지방 의료정책과 의료 소비" 역사문제연구소 13 (13): 161-183, 2009

      6 이방현, "일제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이화사학연구소 (45) : 237-277, 2012

      7 백남중, "일제시대 장애인 복지 교육에 관한 연구 : 제생원 맹아부를 중심으로" 중앙대 2001

      8 강만길, "일제시대 빈민생활사 연구" 창작사 1987

      9 송치호, "일제시기 조선사회사업협회의 성격에 대한 실증분석 : '식민지배 도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 2007

      10 유선영, "식민지의 스티그마 정치 - 식민화 초기 부랑자표상의 현실효과" 한국사회사학회 (89) : 41-84, 2011

      11 정근식, "식민지 위생경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유산: 식민지 통치성의 시각에서" 한국사회사학회 (90) : 221-270, 2011

      12 양옥경, "사료분석을 통해 본 개화기(1876년~1910년) 사회복지 현상 연구" 이화사회과학원 27 : 107-147, 2012

      13 홍금자, "근대 사회사업의 성립과 발달사적 구분에 관한 연구" 40 : 2000

      14 "舊韓國官報"

      15 "每日申報"

      16 "東亞日報"

      17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救療機關" 1912

      18 "朝鮮總督府官報"

      19 朝鮮総督府済生院, "朝鮮総督府済生院事業要覧" 1923

      20 朝鮮總督府, "朝鮮総督府医院第一回年報" 1911

      21 朝鮮総督府, "朝鮮総督府医院二十年史" 1928

      22 朝鮮総督府内務局社会課, "朝鮮社會事業要覽" 1923

      23 "朝鮮日報"

      24 朝鮮總督府, "朝鮮各道府郡 臨時恩賜金由来及其ノ事業概要" 1911

      25 "朝鮮及満州"

      26 朝鮮総督府内務局社会課, "朝鮮に於ける公設市場" 1930

      27 "朝鮮"

      28 慶尙南道, "慶尚南道社会事業概要" 1939

      29 "慈善"

      30 大友昌子, "帝國日本の植民地社會事業政策硏究‑臺灣·朝鮮" ミネルヴァ書房 2007

      31 朝鮮総督府内務局, "公設市場概況" 1924

      32 京城府社会課, "京城府社會事業要覽" 1924

      33 京城府, "京城府社會事業便覽" 1929

      34 京城府, "京城府内 社会事業概況" 1923

      35 배민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 임시은사금사업의 운영방향과 그 실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6 주상훈, "1910~20년대 관립 자혜의원 계획의 시기적 특징과 변화" 27 (2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
      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
      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3 1.02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