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 및 한강 본류역 구석기 유적의 입지와 성격 = Palaeolithic settlement patterns and lithic diversities in Seoul and mainstream Han River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5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cultural phase of initial human occupation in Seoul and mainstream Han River Area(mHRA) by investigating palaeolithic settlement patterns and lithic assemblage characteristics. The palaeolithic assemblage ...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cultural phase of initial human occupation in Seoul and mainstream Han River Area(mHRA) by investigating palaeolithic settlement patterns and lithic assemblage characteristics. The palaeolithic assemblage in the mHRA is, compared to those of southern/northen Han tributaries and Imjin River, yet to be documented because of erosion‑dominant fluvial environment and of vigorous 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urbanization of metropolitan Seoul Area.
      The palaeolithic settlement around the mHRA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1) the northeastern suburb group includes Godeokdong of Seoul, Minrakdong of Uijeongbu, Deokso, Hopyeongdong, and Jisaewul of Namyangju ;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such major technological shift as utilization of obsidian and production of microblade industry well‑demonstrated in the Hopyeongdong assemblage around MIS 2 ; 2) the southeastern suburb group includes palaeolithic sites, like Pyeongchangri and Samri in Yongin, Seongnam and Gwangju ; they are mostly small‑scaled settlements located on the low mountainous region and their lithic assemblages are predominantly composed of quartz tools ; 3) the downstream Han River group includes localities on the floodplain of Goyang, Paju, and Gimpo area ; their lithic assemblage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Imjin River Basin in that they commonly includes Acheulian‑like handaxe and other large cutting tools.
      The initial palaeolithic settlement in this area was possibly formed by centripetal population migrations from the adjacent area and its approximate age is around MIS 3 (60‑50 kya). Hominids in the mHRA might have undergone techno‑cultural adaptation under the stressful environmental condition approaching MIS 2 ; this adaptation process is reflected on the diversification of lithic raw material, change of site location(the altitude), and reduction of the number of tool types by the emergence of specialized, functionally integrated lithic tools.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this palaeolithic dynamics of the mHRA can be more vividly illustrated when culturally implicative data is newly discovered in the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서울을 중심으로 흐르는 한강 본류역에 분포하는 구석기 유적의 입지와 출토 유물의 성격을 통해 이 지역에 최초로 인구 점거가 이루어지는 시점의 문화상을 복원하기 위한 시도이...

      본고는 서울을 중심으로 흐르는 한강 본류역에 분포하는 구석기 유적의 입지와 출토 유물의 성격을 통해 이 지역에 최초로 인구 점거가 이루어지는 시점의 문화상을 복원하기 위한 시도이다. 한강 본류역의 구석기 문화는 남한강 및 북한강, 그리고 임진강과 같은 인접 하계망 지역에 비해 그다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예가 없는데, 그것은 침식 위주의 하천 환경과 도시화에 따른 대규모 개발의 영향 때문이다.
      한강 본류역의 구석기 유적은 크게 세 가지 군으로 나눌 수 있다. 1) 서울 동북 외곽 지역은 서울 시내의 고덕동, 의정부 민락동, 남양주 덕소, 호평동, 지새울 유적이 해당한다. 호평동 유적에서는 MIS 2기를 전후해서 잔돌날 및 흑요석의 사용례가 주목할 만하다. 2) 서울 동남 외곽 지역은 용인, 성남, 광주 지역을 포함하며 평창리, 삼리 등의 유적이 분포한다. 대부분 구릉성 산지에 분포하는 소규모 유적으로서 석영계 석재가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3) 한강 하류 지역은 고양, 파주, 김포 일대의 충적대지에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인근의 임진강 유역에서 발견되는 주먹도끼와 같은 대형 석기 위주이다.
      한강 본류역의 구석기 유적은 인근 지역에서 인구가 구심 이동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그 연대는 대략 MIS 3기가 시작되는 약 60,000~50,000 BP에 해당한다. 한강 유역에 거주하던 고인류는 환경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MIS 2기에 접어들면서 자체적인 기술적, 문화적 적응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석재의 다양화, 이동성 증가에 따른 유적 입지(해발고도)의 변화, 전문적인 석기의 등장과 함께 석기 형식 수효의 감소라는 측면에 반영되고 있다. 차후 서울 내부에서 문화적 맥락이 뚜렷한 구석기 유적이 발견되면 한강 본류역 구석기 문화의 보다 구체적인 면모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복, "龍仁 坪倉里 舊石器遺蹟 發掘調査報告書" 경기도박물관·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2000

      2 신영규, "한강하구역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의 공간적 분포" 한국지형학회 12 (12): 13-23, 2005

      3 배기동, "한강의 구석기 시대" 한국상고사학회 1994

      4 이융조,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한국고대학회 1 : 1991

      5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진인진 2012

      6 이선복, "한강유역사" 民音社 1992

      7 류은영, "한강유역 저습지 퇴적물에서의 제4기 고생태 및 고기후 연구" 대한지질학회 44 (44): 33-46, 2008

      8 이정철, "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편년과 석기공작 - 남한강과 한강본류의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회 1 (1): 89-116, 2012

      9 류종식, "한강수계의 수리지구화학 및 동위원소지구화학: 요약" 대한지질학회 44 (44): 467-477, 2008

      10 이광률, "하안단구의 개념과 지형 특성" 25 : 2011

      1 이선복, "龍仁 坪倉里 舊石器遺蹟 發掘調査報告書" 경기도박물관·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2000

      2 신영규, "한강하구역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의 공간적 분포" 한국지형학회 12 (12): 13-23, 2005

      3 배기동, "한강의 구석기 시대" 한국상고사학회 1994

      4 이융조,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한국고대학회 1 : 1991

      5 이정철, "한강유역의 구석기문화" 진인진 2012

      6 이선복, "한강유역사" 民音社 1992

      7 류은영, "한강유역 저습지 퇴적물에서의 제4기 고생태 및 고기후 연구" 대한지질학회 44 (44): 33-46, 2008

      8 이정철, "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편년과 석기공작 - 남한강과 한강본류의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회 1 (1): 89-116, 2012

      9 류종식, "한강수계의 수리지구화학 및 동위원소지구화학: 요약" 대한지질학회 44 (44): 467-477, 2008

      10 이광률, "하안단구의 개념과 지형 특성" 25 : 2011

      11 김종연, "하남시 일대 한강 하류 하천 퇴적층의 연구 2 - 퇴적층의 층서에 대한 고찰 -" 한국지형학회 13 (13): 55-73, 2006

      12 김종연, "하남시 일대 한강 하류 하천 퇴적층의 연구 1 - 퇴적층의 특징에 대한 고찰 -" 한국지형학회 12 (12): 43-54, 2005

      13 이정철, "파주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1 (1): 61-81, 2013

      14 이융조, "파주 운정1지구 구석기유적Ⅲ"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2

      15 이융조, "파주 운정1지구 구석기유적Ⅰ"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2

      16 이융조, "파주 운정 1지구 자연과학분석(Ⅴ)"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2

      17 이융조, "파주 운정 1지구 구석기유적Ⅱ"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2

      18 이융조, "파주 운정 1지구 구석기유적(Ⅳ)3, 6, 7, 36-3지점"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2

      19 김선태, "파주 동패리 III, 상지석리유적"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2

      20 유용욱, "중부 서해안 구석기유적 예보" 인천학연구원 1 (1): 117-153, 2014

      21 이선복, "임진강 유역 구석기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34 : 1996

      22 성춘택, "용인 천리 구석기 유적" 경희대학교중앙박물관 2013

      23 노선호, "용인 동백지구 3구역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개보" 한국구석기학회 2003

      24 안성민, "성남 삼평동 보뜰 구석기유적 발굴 조사 보고" 한국구석기학회 2006

      25 유용욱, "석영계 석재의 재고찰: 평창리 유적의 예"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2003

      26 김장석, "서울 고덕동 유적" 경희대학교중앙박물관 2012

      27 황용, "서울 面牧洞遺蹟 發見 舊石器의 形態學的 調査" 2 : 1970

      28 김소영, "남양주 호평동 후기구석기유적의 밀개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21-44, 2012

      29 장경호,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유적 ‑사능~호평간 도로개설 공사 구간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경기도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2007

      30 김경진,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II 구석기 유적 석기 기능 분석" 한국구석기학회 1 (1): 3-20, 2012

      31 홍미영,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유적 (Ⅱ)"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2008

      32 홍미영,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유적 (Ⅰ)"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2008

      33 김기태,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문화" 한국구석기학회 2007

      34 윤근일,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 유적(Ⅲ) ‑추가발굴조사보고서‑"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2010

      35 양정석, "남양주 덕소 유적 ‑남양주 덕소 초등학교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수원대학교 박물관 2008

      36 전범환, "김포 장기동 유적의 발굴조사 성과" 한국구석기학회 1 (1): 1-15, 2008

      37 김정기, "김포 장기동 유적(Ⅱ)"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1

      38 김정기, "김포 장기동 유적(Ⅰ)"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1

      39 신창수, "김포 신곡리·풍곡리 유적Ⅱ- 김포 풍곡리 구석기유적"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3

      40 정재훈, "김포 신곡리 구석기유적"

      41 김진영, "김포 마송 유적Ⅰ" 기호문화재연구원 2010

      42 김기태, "광주군 삼리 구석기 유적(2지역)의 석기 연구" 단국대 2001

      43 한창균, "광주 삼리 구석기 유적 ‑경기도 광주 2001 세계 도자기 엑스포 행사단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2003

      44 이재, "고양 탄현동 구석기유적" 국방문화재연구원 2010

      45 장경호, "고양 덕이동 구석기유적 파주 ‑교하~덕이 간 연결도로 구간 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2009

      46 박용안, "경기만 김포 조간대 지층의 제 4기 후기 층서" 13 (13): 1999

      47 김기태, "경기도 광주 삼리유적의 구석기문화" 한국구석기학회 2002

      48 최승엽,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강원대 2010

      49 崔夢龍, "議政府 民樂洞遺蹟 ‑試掘 및 發掘調査 報告書‑" 서울대학교박물관 1996

      50 김창환, "漢江流域史硏究" 社團法人 韓國鄕土史硏究全國協議會 1998

      51 권혁재, "漢江 下流의 沖積地形" 고려대 사범대학 9 :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
      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
      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3 1.02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