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원규 =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Museong Seowon and its Educational Regu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8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무성서원(武城書院)은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서원이다. 무성서원의 역사는 통일신라 시기 태산(泰山) 군수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최치원(崔致遠)의 생사당(生祠...

      무성서원(武城書院)은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서원이다. 무성서원의 역사는 통일신라 시기 태산(泰山) 군수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최치원(崔致遠)의 생사당(生祠堂)에서 기원하여 조선시대 태산사(泰山祠)로부터 시작한다. 1615년에 건립된 무성서원은 초기부터 일반적인 서원과는 달리 지방관에 의해 향촌의 흥학(興學)과 교화(敎化)를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하나였던 무성서원은 일찍이 정극인(丁克仁)이 창시한 고현동향약(古縣洞鄕約)이 시행된 곳이었다. 또한 구한말에는 호남 최초의 의병운동인 병오창의(丙午倡義)가 일어났던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무성서원 「원규(院規)」의 저작연대와 작성자는 현재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이이(李珥)의 「은병정사학규(隱屛精舍學規)」와 김원행(金元行)의 「석실서원학규(石室書院學規)」를 종합하여 17개항으로 요약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18세기 말경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원의 성립과정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조선시기 전라우도(全羅右道)의 대표 서원이었던 무성서원의 성립 과정과 강학(講學) 활동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무성서원원지(武城書院院誌』에 들어있는 「원규」 내용을 분석하여 향학(鄕學)의 중심지로서 무성서원의 강학활동과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의의를 재조명하고 향후 보존 및 활용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seong Seowon(武城書院) is the only seowon(school) in Jeollabuk-do that is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history of the Museong Seowon(武城書院) originates from the shrine of Choi Chi-won(崔致遠), the governor of Taesan county of th...

      Museong Seowon(武城書院) is the only seowon(school) in Jeollabuk-do that is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history of the Museong Seowon(武城書院) originates from the shrine of Choi Chi-won(崔致遠), the governor of Taesan county of the Unification Shilla period who is lauded for his wise governance. Museong Seowon’s history starts from Taesansa(泰山寺) during the Joseon Dynasty. Built in 1615, the Museong Seowon, unlike the general seowons, was govern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academic studies and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In 1868, the Museong Seowon, one of the 47 seowons that was not destroyed by the Heongseon Daewongun’s order to abolish all seowons, was the place where the Gohyundong-Hyangyak(古縣洞鄕約) created by Jeong Geuk-in(丁克仁) was practiced. It is also a historical place where Byung-Oh Changyi(丙午倡義), the first righteous army movement in Honam(湖南), took place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time of work and the author of the Museong Seowon “Educational regulations(院規)” is unknown at present. However, it is combining and summarizing Lee Yi’s The educational regulations of Eunbyeongjeongsa(隱屛精舍學規) and Kim Won-haeng’s The educational regulations of Suk-Sil Seowon(石室書院學規) into 17 sections so the date of the work is presumed to b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seowons and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and teaching activities of the Museong Seowon, the representative seowon of Jeollawoo-do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will examine the teaching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eong Seowon as the center of regional school(鄕學) by studying Educational regulations(院規) original texts of the Museong Seowon,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It will reexamine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useong Seowon and review future conservation and use meth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황수연, "화서학파의 여성인식 - 면암 최익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291-324, 2016

      3 "한국의 종교현황(2012.3)" 문화체육관광부 2011

      4 한국서원연합회, "한국의 서원유산 1" 2014

      5 한국서원연합회, "한국의 서원문화" 2014

      6 한국의서원세계유산등재추진단, "한국의 서원: 고문서, 고서, 책판" 2014

      7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8 정순목, "한국 서원교육제도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9 김학권, "한국 書院의 기원과 발달" 인문학연구소 10 (10): 215-228, 2009

      10 박종수, "포은선생 배향서원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포은학회 14 : 233-256, 2014

      1 "論語"

      2 황수연, "화서학파의 여성인식 - 면암 최익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291-324, 2016

      3 "한국의 종교현황(2012.3)" 문화체육관광부 2011

      4 한국서원연합회, "한국의 서원유산 1" 2014

      5 한국서원연합회, "한국의 서원문화" 2014

      6 한국의서원세계유산등재추진단, "한국의 서원: 고문서, 고서, 책판" 2014

      7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8 정순목, "한국 서원교육제도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9 김학권, "한국 書院의 기원과 발달" 인문학연구소 10 (10): 215-228, 2009

      10 박종수, "포은선생 배향서원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포은학회 14 : 233-256, 2014

      11 김난도, "트렌드 코리아 2018" 미래의 창 2017

      12 김정식, "칠광도(七狂圖)에 표현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30-37, 2008

      13 이수환, "조선후기 서원 연구" 일조각 2001

      14 김자운,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유학연구소 48 : 129-171, 2019

      15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 연구" 집문당 1997

      16 함정현, "조선시대 서원 교육과 현대 대학 교양國語敎育의 융합 방향의 일 모색" 동양고전연구소 (26) : 315-342, 2013

      17 정만조, "조선 서원의 성립과정" 국사편찬위원회 8 : 1980

      18 김정문, "정읍 무성서원 및 주변지역 정비·복원 기본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영문 (영문): 80-91, 2006

      19 진성수, "전북지역 서원(書院)의 현대적 활용 방안" 원불교사상연구원 (70) : 263-294, 2016

      20 "유교문화체험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2009.12)" 문화체육관광부 2008

      21 최종희, "세계유산 등재대상 함양 남계서원의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128-135, 2013

      22 김영모, "서원 경관의 보존·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1 : 2013

      23 박종배, "불우헌 정극인의 태인에서의 교육활동과 그 의의" 한국교육사학회 35 (35): 59-78, 2013

      24 시사매거진, "문화재청,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등재기념식 개최"

      25 조현중, "문화재청, 문화재 유형별 활용 길라잡이-잠자는 문화재를 깨우는 방법 22가지" 문화재청 2010

      26 KBS뉴스, "문화재청,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 등재 신청 철회…“향후 재신청”"

      27 "문화재청"

      28 손윤희, "무성서원의 건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9 김재식, "무성서원 및 주변지역 복원에 대한 연구" 1 : 2007

      30 한상우, "경남지역유교·선비문화유산활용제고를위한정책방안" 2014

      31 한국서원연합회, "韓國書院總覽 (上下)" 2011

      32 "陽谷集"

      33 "渼湖集"

      34 최만봉, "武城書院의 立地와 空間構成에 關한 硏究" 한국전통조경학회 영문 (영문): 69-77, 2004

      35 "武城書院院誌(下)"

      36 "桂苑筆耕集"

      37 "栗谷先生全書"

      38 "新增東國輿地勝覽"

      39 "五洲衍文長箋散稿"

      40 "世宗實錄"

      41 "不憂軒集"

      42 "三峯集"

      43 옥영정, "「竹溪志」의 編纂과 版本에 관한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 (31) : 297-322, 2005

      44 연합뉴스,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확정"

      45 박종배, "19세기 후반 무성서원의 강습례에 관한 일 고찰" 1 : 2011

      46 임선빈, "17세기 무성서원武城書院의 건립과 운영 ―제향인물과 사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35) : 257-293, 2018

      47 정만조, "17~18세기의 書院祠宇에 대한 試論" 2 : 1975

      48 金昌郁, "16세기 초기서원의 강학활동에 관한 연구" 慶尙大學校 大學院 1996

      49 임근실, "16세기 書院學規에 대한 검토와 그 특징" (6) :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Confucianism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9 1.162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