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홀리즘(Holism)에 근거한 Somatic Dance 교육의 개념 모형 연구 = A Proposed Conceptual Model for Somatic Dance based on Ho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9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Somatic Dance Education based on Holism, and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The conceptual model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is developed that connects Awareness, Sensibility, Experience, and Spirituality education through Somatic Embodiment Process of Soma, which is at the core of Corporality, Temporality, Spaciality, and Relationship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enables learners to produce individual knowledge through soma connected with the body, mind, and spirit, and is a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as an integrated arts education centered on body expression. In addition,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expand the embodied experience in nature and environment, and further connect with their inner worl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Somatic Dance Education based on Holism, and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The conceptual model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is devel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Somatic Dance Education based on Holism, and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The conceptual model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is developed that connects Awareness, Sensibility, Experience, and Spirituality education through Somatic Embodiment Process of Soma, which is at the core of Corporality, Temporality, Spaciality, and Relationship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enables learners to produce individual knowledge through soma connected with the body, mind, and spirit, and is a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as an integrated arts education centered on body expression. In addition,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Holistic Somatic Dance education, expand the embodied experience in nature and environment, and further connect with their inner wor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인탁, "홀리즘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145-160, 2009

      2 문영, "홀리스틱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무용교육 모형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29-42, 2014

      3 민경숙, "홀리스틱 예술 통합 교육과 교육과정 : 제3주제 발표" 1 : 88-128, 2013

      4 박수현, "홀리스틱 영성교육과 무용교육의 관계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6 (26): 51-67, 2015

      5 일본홀리스틱교육연구회,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책사랑 1995

      6 송민영, "홀리스틱 교육사상" 학지사 2006

      7 밀러, J.,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1996

      8 이미경, "현대 공간디자인에서의 현상학적 특징과 가능성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10-19, 2011

      9 안선희, "할프린 신체부분은유기법 중심의 소매틱 즉흥춤 프로그램이 신체 자각과 표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10 박수현, "한국무용의 영성적 가치" 한국무용교육학회 27 (27): 131-149, 2016

      1 오인탁, "홀리즘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145-160, 2009

      2 문영, "홀리스틱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무용교육 모형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29-42, 2014

      3 민경숙, "홀리스틱 예술 통합 교육과 교육과정 : 제3주제 발표" 1 : 88-128, 2013

      4 박수현, "홀리스틱 영성교육과 무용교육의 관계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6 (26): 51-67, 2015

      5 일본홀리스틱교육연구회,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책사랑 1995

      6 송민영, "홀리스틱 교육사상" 학지사 2006

      7 밀러, J.,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1996

      8 이미경, "현대 공간디자인에서의 현상학적 특징과 가능성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10-19, 2011

      9 안선희, "할프린 신체부분은유기법 중심의 소매틱 즉흥춤 프로그램이 신체 자각과 표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10 박수현, "한국무용의 영성적 가치" 한국무용교육학회 27 (27): 131-149, 2016

      11 김말복, "컨템포러리 댄스의 몸" 한국무용예술학회 34 (34): 1-27, 2011

      12 김재리, "춤의 수평성: 타나카 민(田中泯)의 ‘바디 웨더(Body Weather)’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6 (76): 33-50, 2018

      13 허명진, "춤에 있어서 지각의 문제와 시간성 : 메를로-퐁티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4 조수현, "총체적 언어 접근을 통한 교실 수업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박수현, "움직임의 영성적 특성"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16 소광희, "시간의 철학적 성찰" 문예출판사 2001

      17 전미현, "소매틱스 이론을 적용한 움직임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14 : 167-186, 2008

      18 윤미정, "소매틱 차원에서 본 접촉즉흥무용의 의미와 기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9 김경희,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연구" 대한무용학회 75 (75): 21-36, 2017

      20 임용자, "분석심리학과 무용동작치료" (추계) : 33-35, 2012

      21 서예원,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42 (42): 21-49, 2013

      22 메를로-퐁티, "[단행본]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23 Hanna, Thomas, "What is Somatics?" (Spring/Summer) : 1-10, 1986

      24 Fortin, Sylvie, "Three Voices : Researching how somatic education informs contemporary dance technique classes" 3 (3): 155-179, 2002

      25 Eddy, Martha,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ody-Mind Centering®(BMC)in dance pedagogy" 6 (6): 86-91, 2006

      26 Hanna, Thomas, "The field of Somatics" (Autumn) : 30-34, 1976

      27 Laban, Rudolf, "The Language of Movement : A Guidebook to choreutics" Plays, inc 1974

      28 Needleman, Jacob, "The Heart of Philosophy" Knopf 1982

      29 이기련, "Somatic 차원에서의 무용교육 전개방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0 ISMETA, "Registered Somatic Dance Educator Requirements"

      31 김경희, "Pedagogical Inquiry of BodyMind Dancing™" 대한무용학회 73 (73): 63-74, 2015

      32 Gardner, Howard, "Multiple Intelligences : The Theory in Practice" Basic Books 1993

      33 Eddy, Martha, "Mindful Movement : The Evolution of the Somatic Arts and Conscious Action" Intellect Ltc 2017

      34 Smuts, Jan, "Holism and Evolution" Macmillan 1926

      35 Williamson, Amanda, "Dance, Somatics and Spiritualities : Contemporary Sacred Narratives" Intellect Books 2014

      36 Eddy, Martha, "Dance and somatic inquiry in studios and community dance programs" 2 (2): 119-146,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Dance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